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the Effects of Toddler's Temperament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 on the Development of Vocabulary Ability

걸음마기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영아의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 김기철 (원광보건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5.12.15
  • Accepted : 2016.01.26
  • Published : 2016.02.29

Abstract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toddler's temperament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 on the development of vocabulary ability.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299 infants between the ages of 18 and 24 months and their mothers in 47 day care centers in I city, Jeollabukd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infant's temperament and vocabulary based on the composition of temperament, approach-avoidance, adaptability, and mood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and response intens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receptive vocabulary. Second, according to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parenting behavior and infant's vocabulary ability based on the sub-factors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 instructional parenting behavior and setting-limits parenting behavior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hird, according to the effects of infant's temperament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 on the development of infant's vocabulary ability, as for the understanding of vocabulary, the explanation power of approach-avoidance is the highest, followed by instructional parenting behavior, response intensity, and mood. As for expressive vocabulary, the explanation power of instructional parenting behavior is the highest, followed by mood, response intensity and activity. In the development of infant's vocabulary ability, it was found that receptive vocabulary was affected the most by approach-avoidance, and expressive vocabulary was affected the most by instructional parenting behavior. Mothers will have to have interrelation skills suitable for temperament for the development of infant's receptive vocabulary, and have parenting behavior expressing the traits of things and events for the development of expressive vocabulary.

본 연구에서는 걸음마기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행동이 영아의 어휘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I시에 위치한 47개 어린이집의 18~24개월 영아 299명과 어머니이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의 기질과 어휘력의 관계를 기질의 구성차원별로 살펴보면, 접근-회피와 적응성, 기분은 이해 및 표현어휘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반응강도는 이해어휘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어휘력의 관계를 어머니 양육행동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교수적 양육행동과 긍정한계선 설정 양육행동은 이해 및 표현어휘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영아의 어휘력 발달에 대한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행동을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이해어휘에 대해서는 접근-회피의 설명력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교수적 양육행동, 반응강도, 기분의 순으로 설명력이 나타났다. 표현어휘에 대해서는 교수적 양육행동의 설명력이 가장 높았고, 기분, 반응강도, 활동성 순으로 설명력이 나타났다. 영아 어휘력 발달에 있어서 이해어휘는 영아의 기질인 접근-회피가, 표현어휘는 어머니 양육행동인 교수적 양육행동의 영향력이 가장 큰 변임임이 밝혀져, 어머니는 영아의 이해어휘 발달을 위해 기질에 적합한 상호작용과 표현어휘 발달을 위해 사물과 사건의 특성에 대해 말로 표현해 주는 양육행동을 하여야겠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옥경, 김명순 (2011). 영아 언어의 이해. 서울: 학지사.
  2. 곽금주, 김민화, 한은주 (2004). 영아-어머니의 상호작용 방식과 영아기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 아동학회지, 25(5), 111-128.
  3. 김말경 (2011) 어머니 양육행동이 영아 발달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영아 성과 기질의 중재적 역할. 울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미정, 이경님 (2011). 영아기와 걸음마기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253-271.
  5. 김영실, 신애선 (2013). 영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 행동에 따른 영아의 이해언어 및 표현언어 능력. 어린이미디어연구, 12(3), 157-176.
  6. 김 현 (2010). 영아 기질, 어머니 양육 행동, 교사 상호작용과 영아 언어능력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6(1), 67-93.
  7. 박재윤 (2013).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기질-양육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보건복지부 (2014). 영아보육프로그램 운영의 이해. 서울: 보건복지부.
  9. 배소영 (2003). 영유아기 의미평가도구 MCDI-K의 타당도와 신뢰도에 관한 연구. 언어청각장애연구, 8(2), 1-14.
  10. 백경숙 (1996). 영유아기 종일제 보육시설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신애선 (2014). 10-24개월 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기질 및 어휘력 간의 관계.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신애선 (2015). 영아의 기질이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 양육행동의 매개검증 효과. 유아교육연구, 35(3), 223-240.
  13. 엄성애 (2003). 영아의 공격성에 관련된 변인들: 영아의 성, 연령,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 보육 경험 및 보육의 질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양수정 (2007). 영아의 기질에 따른 또래 간 상호작용의 차이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유희정 (2008). 만 2세아의 성과 기질, 대상에 따른 비언어적 의사소통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이지연, 이근영, 장유경 (2004). 어머니의 책 읽기 상호작용 유형이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7(1), 131-146.
  17. 이형민, 박성연, 서소정. (2008). 어머니의 양육유형 및 민감성이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6(2), 97-111.
  18. 임용순 (2002). 한국 영아의 어휘발달과 어머니와의 상호작용.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장유경 (2004). 한국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 18개월-36개월.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7(4), 91-105.
  20. 장유경, 성지현 (2011). 영아, 어머니, 가정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24개월 영아의 표현어휘 습득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4(2), 137-154.
  21. 장유경, 이근영 (2006). 영아의 기질과 초기 어휘 습득의 관계. 아동학회지, 27(6), 263-276.
  22. 장유경, 이근영, 최유리, 이순묵 (2007). 18-24개월 영아의 기질과 어휘습득: 단기 종단적 연구. 인간발달연구, 14, 23-42.
  23. 장유경, 이근영, 곽금주, 성현란 (2003). 어머니의 언어적 입력이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6(4), 227-241.
  24. 장유경, 최유리, 이근영 (2007). 24개월 영아의 어휘습득, 책읽기 활동과 청각기억 능력의 발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1), 51-65.
  25. 정미라, 강수경, 김민정, 최혜정 (2013). 12개월 영아의 기질, 영아에 대한 어머니 애착, 양육스트레스와 영아발달 간의 구조적 관계. 유아교육연구, 34(3), 333-354.
  26. 정미라, 권정윤, 박수경 (2011). 애착안정성과 어머니 양육행동의 민감성이 12 개월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5(6), 335-352.
  27. 최선녀 (2015). 어머니 심리적 변인 및 양육행동과 영아기질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구조분석.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최은희 (2000). 한국 아동의 어휘 발달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하지영 (2004).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보육경험이 남녀 아동의 불순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Baldwin, D. A. (2000). Interpersonal understanding fuels knowledge acquisition. Current Direction in Psychological Science, 9(2), 40-45. https://doi.org/10.1111/1467-8721.00057
  31. Barnes, S., Gutfreund, M., Satterly, D., & Wells, G. (1983). Characteristics of adult speech which predict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Journal of Child Language, 10(1), 65-84.
  32. Baumrind, D. (1993). The average expectable environment is not good enough: A response to Scarr. Child Development, 64(5), 1299-1317. https://doi.org/10.2307/1131536
  33. Baumrind, D. (1996). A blanket injunction against disciplinary use of spanking is not warranted by the data. Pediatrics, 98(4), 828-831.
  34. Berk, L. E. (2012). Child development, 아동발달(이종숙, 이옥, 신은수, 안선희, 이경옥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원판 2008).
  35. Bloom, L. (1993). The transition from infancy to language: Acquiring the power of expression.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36. Bloom, L., Beckwith, R., & Capatides, J. (1988). Developments in the expression of affect.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11(2), 169-186. https://doi.org/10.1016/S0163-6383(88)80004-3
  37. Bornstein, M. H. (1985). How infant and mother jointly contribute to developing cognitive competence in child.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U.S.A), 82(21), 7470-7473. https://doi.org/10.1073/pnas.82.21.7470
  38. Bornstein, M. H., Tamis-LeMonda, C. S., Pascual, L., Haynes, O. M., Painter, K. M., Galperĺn, C. Z., & Pecheux, M. G. (1996). Ideas about parenting in Argentina, France, and the United St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19(2), 347-367. https://doi.org/10.1177/016502549601900207
  39. Coleman, P. K., Trent, A., Bryan, S., King, B., Rogers, N., & Nazir, M. (2002). Parenting behavior, mothers' self-efficacy beliefs, and toddler performance on the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72(2), 123-140. https://doi.org/10.1080/03004430210888
  40. Diener, M. L., Goldstein, L. H., & Mangelsdorf, S. C. (1995). The role of prenatal expectations in parents' reports of infant temperament. Merrill-Palmer Quarterly, 41(2), 172-190.
  41. Dixon Jr, W. E., & Smith, P. H. (2000). Links between early temperament and language acquisition. Merrill-Palmer Quarterly, 46(3), 417-440.
  42. Elardo, R., Bradley, R., & Caldwell, B. M. (1977). A longitudinal study of the relation of infants' home environments to language development at age three. Child Development, 48(2), 595-603. https://doi.org/10.2307/1128658
  43. Fenson, L., Dale, P, S., Reznick, J. S., Bates, E., Thal, D, J., & Pethick, S. J. (1994). Variability in early communicative development.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9(5, Serial No. 242).
  44. Fox, S. E., Levitt, P., and Nelson III, C. A. (2010). How the timing and quality of early experiences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brain architecture. Child Development, 81(1), 28-40. https://doi.org/10.1111/j.1467-8624.2009.01380.x
  45. Fullard, W., McDevitt, S. C., & Carey, W. B. (1984). Assessing temperament in one to three years of children.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9(2), 205-217. https://doi.org/10.1093/jpepsy/9.2.205
  46. Goswami U. (2010). Cognitive development, 인지발달(정명숙, 박영신, 이현진, 김경미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원판 1998).
  47. Hoff, G. E. (2001). Language development, 언어발달(이현진, 박영신, 김혜리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원판 1998).
  48. Hoff, G. E. (2003). The specificity of environmental influence: Socioeconomic status affects early vocabulary development via maternal speech. Child Development, 74(5), 1368-1379. https://doi.org/10.1111/1467-8624.00612
  49. Hoff, E., & Naigles, L. (2002). How children use input to acquire a lexicon. Child Development, 73(2), 418-433. https://doi.org/10.1111/1467-8624.00415
  50. Huttenlocher, P. R. (1974). Dendritic development in neocortex of children with mental defect and infantile spasms. Neurology, 24(3), 203-203. https://doi.org/10.1212/WNL.24.3.203
  51. Huttenlocher, J., Haight, W., Bryk, A., Seltzer, M., & Lyons, T. (1991). Early vocabulary growth: Relation to language input and gender. Developmental psychology, 27(2), 236-248. https://doi.org/10.1037/0012-1649.27.2.236
  52. Lee, C. L., & Bates, J. E. (1985). Monther-infant interaction at age two years olds and perceived difficult temperament. Child Development, 56(5), 1314-1325. https://doi.org/10.2307/1130246
  53. Mebert, C. J. (1991). Dimensions of subjectivity in parents' ratings of infant temperament. Child Development, 62(2), 352-361. https://doi.org/10.2307/1131008
  54. Owens, R. E. (2013). Language development, 언어발달(이승복, 이화란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판 1998).
  55. Pae, S. (1993). Early vocabulary in Korean: Are nouns easier to learn than verb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Kansas, Kansas, USA.
  56. Justice, L. M., Bowles, R., Pence, K., & Gosse, C. (2010). A scalable tool for assessing children's language abilities within a narrative context: The NAP (Narrative Assessment Protocol).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5(2), 218-234. https://doi.org/10.1016/j.ecresq.2009.11.002
  57. Saslow, E. R. (1993). Temperament and day care: An examination of differences in expression across setting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emple University.
  58. Slomkowski, C. L., Nelson, K., Dunn, J., & Plomin, R. (1992). Temperament and language: Relations from toddlerhood to middle childhood. Developmental Psychology, 28(6), 1090-1095. https://doi.org/10.1037/0012-1649.28.6.1090
  59. Snow, C. E. (1983). Literacy and language: Relationships during the preschool years. Harvard Educational Review, 53(2), 165-189. https://doi.org/10.17763/haer.53.2.t6177w39817w2861
  60. Thomas, A., & Chess, S. (1977). Temperament and development. New York: Brunner/Mazel.
  61. Vygotsky, L. S.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62. Wachs, T. D., & Chan, A. (1986). Specificity of environmental action, as seen in environmental correlates of infants' communication performance. Child Development, 57(6), 1464-1474. https://doi.org/10.2307/1130424
  63. Whitehurst, G. J., Falco, F. L., Lonigan, C. J., Fischel, J, E., Debaryshe, B, D., Valdez-Menchaca, M, C., & Caufiels, M. (1998). Accelerating language development through picture book reading. Developmental Psychology, 24(4), 522-559. https://doi.org/10.1037/0012-1649.24.4.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