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acts of Factors of Welfare Attitude for Social Workers in Seoul

사회복지사의 복지태도 영향 요인: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 박지영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5.11.17
  • Accepted : 2015.12.29
  • Published : 2016.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the tendency and determinants of welfare attitudes for social workers in Seoul province. Based on Survey data, this study focuses mainly on how socialization patterns, self-interest, and value and norm influence attitudes towards welf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interest theory has a limit to explain welfare attitudes for social workers in Seoul province. Second, Ideology factor has an impact on welfare attitudes for social workers in Seoul province. In other words, egalitarian social workers have more pro-welfare attitudes. Based on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at strengthening value of equality in welfare policy and program.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의 복지태도에 대한 경향성과 결정요인으로서 사회화, 자기이해, 이데올로기 요인과 복지태도의 인과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서, 사회복지사의 친복지적 태도 강화를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에 소재한 복지대상별 사회복지시설을 무작위로 균등 할당하여, 406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복지태도를 측정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서울지역 사회복지사의 복지태도에 대한 경향성은 복지실천의지와 복지책임주체의 태도가 일치하는 일관적인 태도를 보였다. 둘째, 서울지역 사회복지사의 복지태도를 설명하는 결정요인으로서 이데로올로기 요인의 설명력이 사회화 요인과 자기이해 요인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복지의 규범과 가치 특성인 분배지향적인 평등주의 이념이 긍정적인 복지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론을 토대로, 사회복지사의 친복지적 태도를 강화하기 위해 분배지향성을 바탕으로 사회통합 분위기를 조성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합리적인 복지재정정책 수립의 필요성 등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V. George and P. Wilding, Welfare and Ideology, Person Education Limited London, U. K., 1994.
  2. B. I. Page and R. Y. Shapiro, "Effects of public opinion on public policy,"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77, pp.175-190, 1983. https://doi.org/10.2307/1956018
  3. C. O. Jones,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public policy(3rd ed), Montery, Caliornia: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1984.
  4. P. Taylor-Gooby, Public opinion, ideology, and state welfare, Routledge Kegan & Paul, 1985.
  5. 우아영, 복지의식에 관한 사회계급간 비교연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6. 주은선, 백정미, "한국인의 복지의식 지형: 계층, 복지수요, 공공복지 수급경험의 영향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34권, pp.203-225, 2007.
  7. 이한나, 이미라, "한국인의 복지태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제30권, 제2호, pp.254-286, 2010.
  8. 김신영, "한국인의 복지의식 결정요인 연구: 국가의 공적책임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조사연구, 제11권, 제1호, pp.87-105, 2010.
  9. 류진석, "복지태도의 미시적 결정구조와 특성," 한국사회복지학, 제56권, 제4호, pp.79-101, 2004.
  10. 최균, 류진석, "복지의식의 경향과 특징: 이중성," 사회복지연구, 제16호, pp.223-254, 2000.
  11. 김상균, 정원오, "90년대 한국인의 복지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25권, pp.1-33, 1995.
  12. 양옥경, "가족주의 가치관에 따른 한국인의 복지의식 연구: 서울지역 기혼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51권, pp.229-256, 2002.
  13. 허만형, "이데올로기 정향분석: 서울시민의 복지의식 탐색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회보, 제13권, 제2호, pp.99-118, 2009.
  14. 김성한, 보건사회부 관료의 복지이념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
  15. 이봉화, 복지행정공무원의 의식과 실태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16. 정동일, 부산광역시 지방공무원의 복지의식에 관한 조사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7. 박병현, 홍봉선, "부산지역 대학생들의 복지의식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사회과학논총, 제22호, 1995.
  18. 서재욱, 김윤태, "이중화와 복지태도: 임금 근로자의 복지태도에 관한 분석," 사회복지정책, 제41권, 제1호, pp.95-121, 2014.
  19. 김사현, "한국인의 복지태도 불일치에 대한 탐색적 연구: 복지지출과 증세에 대한 태도불일치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41권, 제1호, pp.27-57, 2015.
  20. 김영란, "이데올로기와 복지태도," 고려사회학논집, 제9권, pp.229-249, 1995.
  21. 안치민, "사회복지에 대한 의식과 계급," 사회와문화, 제9권, 제1호, pp.211-227, 1995.
  22. 조돈문, "복지의식의 계급효과와 공사부문 효과," 산업노동연구, 제7권, 제1호, pp.157-191, 2001.
  23. 이성균, "한국사회 복지의식의 특성과 결정요인: 국가의 복지책임지지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제36권, 제2호, pp.205-228, 2002.
  24. 안상훈, "한국의 친복지태도 결정요인과 그 경로구조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정책, 제16권, 제1호, pp.163-192, 2009.
  25. 안상훈, "계급정치의 희석과 복지국가의 대안적 방어기제: 복지지위모형에 대한 거시적 증거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19권, 제1호, pp.159-181, 2002.
  26. 현외성, "민간복지시설 종사자의 복지태도 연구: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교육, 제21권, pp.69-95, 2013.
  27. 백정미, 주은선, 김은지, "복지인식구조의 국가간 비교: 사민주의, 자유주의, 보수주의 복지국가와 한국," 사회복지연구, 제37권, pp.319-344, 2008.
  28. 김태성, 류진석, 안상훈, 현대 복지국가의 변화와 대응, 나남출판, 2005.
  29. 김사현, 복지국가의 제도적 특성이 복지태도에 미치는 효과: 노동인구 및 비노동인구에 대한 복지태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30. 이인재, "IMF관리체제이후 한국인의 사회복지 의식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지연구, 제12권, pp.205-228, 1998.
  31. S. Svallfors, "Class, attitudes and the welfare state: Sweden in comparative perspective," Social policy & administration, Vol.38, No.2, pp.119-138, 2004. https://doi.org/10.1111/j.1467-9515.2004.00381.x
  32. M. Blekesaune, "Economic conditions and public attitudes towards welfare state policies," ISER Working Paper, pp.06-45, 2006.
  33. 김희자, "한국인의 복지태도의 분화," 사회복지정책, 제8권, pp.106-124, 1999.
  34. Y. Hansenfeld and J. A. Rafferty, "The determinants of public attitudes toward the welfare state," Social Forces, Vol.67, pp.1027-1048, 1989. https://doi.org/10.1093/sf/67.4.1027
  35. S. Svallfors, "The end of class politics? structural cleavages and attitudes to swedish welfare policies," Act a Sociological, Vol.38, pp.53-74, 1995. https://doi.org/10.1177/000169939503800105
  36. S. Nau, The moral economy of welfare states: Britain and Germany compared, London: New York, Routledge, 2003.
  37. F. Cybelle, "The Changing Color of Welfare? How Whites' Attitudes toward Latinos Influence Support for Welfare1,"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110.3, pp.580-625, 2004. https://doi.org/10.1086/422587
  38. 구혜영, "공무원의 복지의식 영향요인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제30권, pp.1-27, 2015.
  39. 함철호, 이중섭, "지역별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6권, 제4호, pp.299-325, 2010.
  40. M. Blekesaune and J. Quadagon, "Public attitudes toward welfare state policies," ISER Working Paper, pp.06-45, 2003.
  41. G. Esping-Anderson, The three worlds of welfare capitalism, Cambridge, 1990.
  42. H. J. Andress and T. Heien, "Four Worlds of Welfare State Attitudes? A Comparison 0f Germany, Norway, and the United States,"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Vol.17, pp.337-56, 2001. https://doi.org/10.1093/esr/17.4.337
  43. J. T. Scott, et al, "Just deserts: an experimental study of distributive justice Norms,"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Vol.45, No.44, pp.749-767, 2001. https://doi.org/10.2307/2669322
  44. A. Goerres, Demands for welfare state provisions by a powerful generation: comparing British and German baby-boomers, Paper prepared for delivery at the 2007 Bi-annual conference of the European consortium of political research, September, pp.6-8, 2007.
  45. F. Groskind, "Ideological Influences of Public Support for Assistance to Poor Families," Social Work, Vol.39, No.1, pp.81-90, 1994.
  46. M. Blekesaune and J. Quadagno, "Public attitudes towards welfare state policies: A comparative analysis of 24 nations,"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Vol.19, No.5, pp.415-427, 2003. https://doi.org/10.1093/esr/19.5.415
  47. 이중섭, "한국인의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제36권, 제4호, pp.73-99, 2009.
  48. P. Pierson, Dismantling the Welfare State?, 박시종 역, 복지국가는 해체되는가: 레이건, 대처, 그리고 축소의 정치,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4.
  49. P. Pierson, The New Politics of the Welfare State,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 2001.
  50. J. R. Kluegel and P. Mateju, "Egalitarian vs. Inegalitarian Principles of Distributive Justice," In: R. James, D. Kluegel, and Wegener, B(Hg.), Social Justice and Political Change, Public Opinion in Capitalist and Post-Communist States, Berlin: Walter de Gruyter, pp.209-238, 1995.
  51. F. Koster, "The European union's impact on welfare state attitudes: a longitudinal and multilevel investigation," Paper prepared for the 38th world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institute of sociology budapest, June, pp.26-30, 2008.
  52. R. M. Coughlin, Ideology, Public Opinion and Welfare Policy: Attitudes towards Taxing and Spending in Industrialized Societies, Berkeley: Institute of International Studies, University of California, 1980.
  53. 황아란, "정치세대와 이념 성향: 민주화 성취 세대를 중심으로," 국가전략, 제15권, 제2호, pp.123-151, 2008.
  54. 송지준, SPSS/AMOS통계분석방법, 21세기 세계사, 2014.
  55. P. A. Pettersen, "Welfare state legitimacy: ranking, rating, paying. The popularity and support for Norwegian welfare programmes in the Mid 1990s," Scandinavian Political Studies, Vol.24, No1, pp.24-49.
  56. C. S. Lipsmeyer and T. Nordstrom, "East versus West: comparing political attitudes and welfare preferences across European societies," Journal of European Public Policy, Vol.10, pp.339-364, 2003. https://doi.org/10.1080/1350176032000085342
  57. 홍선미, "사회복지사의 이데올로기 변화에 대한 역사적 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pp.311-335,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