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iterature Review on the Jeonuhwa in the Royal Cuisine of Joseon Dynasty

조선왕조 궁중음식(宮中飮食) 중 전유화(煎油花)의 문헌적 고찰

  • Oh, Soonduk (Dept. Euigwe Joseon Dynasty Food Culture Research Institute)
  • 오순덕 (조선왕조 의궤음식 문화연구소)
  • Received : 2016.08.25
  • Accepted : 2016.09.25
  • Published : 2016.12.30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d the different types of Jeonuhwa as recorded in 16 royal palace studies from the Joseon dynasty (1392-1909). The ingredients used in Jeonuhwa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categorized as follows: 16.0% for gray mullet(秀魚) and fish(生鮮), 14.2% each for liver and cow stomach, 12.3% for sea cucumber(海蔘), 4.7% each for crab(蟹), clam(生蛤), and chunyup(千葉), 3.9% each for pork meat(豬肉), octopus, 2.8% each for oyster(石花), pheasant(生雉), and chicken(鷄), 2.0% each for croaker(民魚), and brain (骨), 0.9% each for duck(鴨子), pigeon(山鳩), dobi(都飛), snapper, white fish(白魚), mussel(紅蛤), haeran(蟹卵), quail(鶉鳥), egg(鷄卵), and sesame(實荏子). This observation may be associated with commercial industrial development that prevaile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Further studies will be conducted on recipes and ingredients recorded in Euigwe in order to develop a standardized recipe for Jeonuhwa.

조선시대 의궤 16책에 수록되어 있는 궁중음식 중 전유화(煎油花)에 대하여 문헌 고찰하였다. 조선왕조 궁중음식의 전유화는 주재료에 따라 분석한 결과 수어 & 생선이 16.0%로 가장 높았고, 간과 양이 각각 14.2%, 해삼 12.3%, 게(蟹: 해) 생합 천엽이 각각 4.7%, 돼지고기(저육) 낙지(락제) 각각 3.9%, 굴(석화) 꿩(생치) 닭(계) 각각 2.8%, 민어 골이 각각 2.0%, 오리(鴨子: 압자) 산비둘기(山鳩: 산구) 도비(都飛) 도미 백어 홍합 해란 메추리(순조) 계란 실임자 각각 0.9%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전유화(煎油花)에 대한 새로운 조명과 메뉴개발을 통해 한식의 세계화에 기여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Keywords

References

  1. R.W. Chung, S.H. Cho, Y.J. Choi, E.M. Kim, S.I. Won, G.H. Cha, H.S. Kim, H.G. Lee. 2007. An Investigation of Side-dishes found in Korean Literatures before the 17th Century. Korean J. Food Cookery Sci. 23(5):731-748, 2007. 정낙원, 조신호, 최영진, 김은미, 원선임, 차경희, 김현숙, 이효지, "17세기 이전 조선시대 찬물류의 문헌적 고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3(5):731-748, 2007.
  2. Y.S. Sin, Joseonhwangtodaebaekgwa(朝鮮 鄕土大百科). Singeung P&P(Co.). Seoul, 2005. 신영석. 조선향토대백과. 신흥 P&P(주). 서울, 2005.
  3. P.S. Hwang. 1870. Myeongmulgirak(名物紀略). (In: Hong JG. 2011). Hakminmunhwasa. 황필수 원저, 명물기략(名物紀略) 전(全), (홍재곤 편역, 2011), 학민문화사.
  4. S.Y. Cheon. 1986. Eumsikmul Myenge Go 2(飮食物 名語 考 2. Journal of Suweon University.(4). p. 107 천소영, 음식물명어 고 (2). 수원대학교 논문집(4):107, 1986.
  5. G.J. Lee, H.G. Lee. 1987. A Bibliographical Study of Dry Cooking Methed of Korean Side Dishes. The Journal of Korean living science research(5). pp. 151-179 이광자, 이효지. "건열조리방법(乾熱調理法)에 의한 찬물류(饌物類)의 분석적 고찰", 한국생활과학연구(5):151-179, 1987.
  6.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Gugeonyodam(閨壼要覽), Gyeonggi-do, 2010. 농촌진흥청, 규곤요람.음식방문.酒方文.술 빚는법.甘藷耕藏說.月餘農歌(저자미상, 1896년), 농촌진흥청, 경기도, 2010.
  7. H.G. Lee, S.S. Yoon, "An analytical Studies on Side Dishes in the Royal Parties of Yi Dynasty", Korean J. Dietary Culture. 1(2):101-115, 1986. 이효지, 윤서석, "조선시대 궁중음식중 찬물류(饌物類)의 분석적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2):101-115, 1986.
  8. Y.S. Ma, H.G. Lee. 1999a. A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meat and poultry jeon. The Journal of Korean living science research(17). pp. 71-99 마영순, 이효지. "전(煎)의 문헌적 연구( I )", 한국생활과학연구 1(17):71-99, 1999a.
  9. Y.S. Ma, H.G. Lee. 1999b. A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fish and shellfish jeon. The Journal of Korean living science research(17). pp.101-129 마영순, 이효지. "전(煎)의 문헌적 연구(II)", 한국생활과학연구 1(17):101-129, 1999b.
  10. Y.S. Ma, H.G. Lee. 2000. A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jeon(III). The Journal of Korean living science research(18). pp.145-185 마영순, 이효지. "전(煎)의문헌적 연구(III)", 한국생활과학연구 1(18):145-185, 2000.
  11. Y.J. Choi. 2012. A Bibliographical Study of Korean Fan Fried Side dishes(Jeon) in Korean Literatures before the 1900s. Korean J. Food Cookery Sci. 28(5):629-639 최영진. "1900년대 이전 문헌에 기록된 전 조리법의 문헌적 고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8(5):629-639, 2012. https://doi.org/10.9724/kfcs.2012.28.5.629
  12. J.H. Cho, Y.E. Chang, J.S. Kim. 2012. A Literature Review on the History Of the Jeon(Korean Pancake)in the Modern Cookbooks. Korean J. Food Culture. 27(6):607-626 조주형, 장영은, 김진숙. "근대 이후 조리서에 나타난 전(煎)의 변화 분석 및 문헌고찰",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7(6):607-626, 2012. https://doi.org/10.7318/KJFC/2012.27.6.607
  13. S.B. Kim, Joseon Dynasty Royal Eugwe Food Culture, Suhaksa, p. 382-388, Seoul, 2000. 김상보, 조선왕조궁중의궤음식문화, 수학사, 서울, 2000.
  14. Pungjeongdogameuigwe(豊呈都監儀軌), Kyujanggak, 1630. 풍정도감의궤, 서울대학교 규장각, 1630.
  15. SukjongjoGihaeJinyeoneuigwe(肅宗朝己亥進宴儀軌)(In: B.S. Song, C.R. Park, 2001), Minsokwon(Co.), Seoul, Korea. 肅宗朝己亥進宴儀軌(숙종조기해진연의궤)(송방송, 박정련 국역, 2001), 민속원. 서울, 대한민국.
  16. Wonhaengelmyojungrieuigwe(園行乙卯整理儀軌), Kyujanggak, 1795. 원행을묘정리의궤(園行乙卯整理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795(정조 20년).
  17. Chunghae Chungraeeuigwe(丁亥 整礼儀軌), Kyujanggak, 1827. 정해 정례의궤(丁亥整禮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27(순조 27년).
  18. Muja Jinjakeuigwe(戊子 進爵儀軌), Kyujanggak, 1828. 무자 진작의궤(戊子進爵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28년(순조 28년)
  19. Gichuk Jinchaneuigwe(己丑 進饌儀軌), Kyujanggak, 1829. 기축 진찬의궤(己丑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29년(순조 29년).
  20. Musin Jinchaneuigwe(戊申 進饌儀軌), Kyujanggak, 1848. 무신 진찬의궤(戊申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48년(헌종 14년).
  21. Mujin Jinchaneuigwe(戊辰 進饌儀軌), Kyujanggak, 1868. 무진 진찬의궤(戊辰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68년(고종 5년).
  22. Kyeyu Jinjakeuigwe(癸酉 進爵儀軌), Kyujanggak, 1873. 계유 진작의궤(癸酉進爵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73년(고종 10년).
  23. Chungchuk Jinchaneuigwe(丁丑 進饌儀軌), Kyujanggak, 1877. 정축 진찬의궤(丁丑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77년(고종 14년).
  24. Chunghae Jinchaneuigwe(丁亥 進饌儀軌), Kyujanggak, 1887. 정해 진찬의궤)(丁亥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87년(고종 24년).
  25. Imjin Jinchaneuigwe(壬辰 進饌儀軌), Kyujanggak, 1892. 임진 진찬의궤(壬辰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92년(고종 29년).
  26. Sinchuk Jinchaneuigwe(辛丑 進饌儀軌), Kyujanggak, 1901년 5월. 신축 진찬의궤(辛丑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901년 5월(대한제국 고종 5년).
  27. Sinchuk Jinyeoneuigwe(辛丑 進宴儀軌), Kyujanggak, 1901년 7월. 신축 진연의궤(辛丑進宴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901년 7월(대한제국 고종 5년).
  28. Imin Jinchaneuigwe(壬寅 進饌儀軌), Kyujanggak, 1902년 4월. 임인 진찬의궤(壬寅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902년 4월(대한 제국 고종 6년).
  29. Imin Jinyeoneuigwe(壬寅 進宴儀軌), Kyujanggak, 1902년 11월. 임인 진연의궤(壬寅進宴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902년 11월(대한제국 고종 6년).
  30. Andong Jang(安東張氏). 1670년경. Gugeonsiebang(閨壼是議方). (In: Hwang HS editor. 1980). Hanguk Inseo Publishers, Seoul, Korea. 안동장씨. 규곤시의방(閨壼是議方) (황혜성 편역, 1980), 한국인서출판사, 서울, 대한민국.
  31. J.L. Ryu. 1767. Jeungbosanlimgyeongje (增補山林經濟). (In: Lee GJ, et al. 13 editor. 2003). Shinkwang publishers, Seoul, Korea. 류중림. 증보산림경제 (이강자 등 13 인 편역, 2002), 신광출판사, 서울, 대한민국.
  32. Unknown authorship. the late 1800s, Siuijeonseo(是議全書). (In: Lee HG, et al. 11 editor, 2004). Shinkwang publishers, Seoul, Korea. 저자미상. 시의전서 (이효지 등 11인 편역, 2004). 신광출판사, 서울, 대한민국
  33. H.G. Lee. 1984. A Study on the Book(Yorok). The Journal of Korean living science research(2). pp. 73-83 이효지. "요록의 조리학적 고찰". 한국생활과학연구. 한양대학교 한국생활과학연구소:73-83, 1984.
  34. Y.G. Se. Imwonsiprukji(In: H.G. Lee et al 4 editor, 2007), Gyomunsa, Gyeonggi-do, 1827년. 서유구 원저. 임원십육지(정조지) (이효지 등 4인 편역, 2007년), 교문사, 경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