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Scientific Literacy on Korean Science Curriculum of Earth Science Contents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지구과학 영역의 과학적 소양 분석

  • Received : 2016.10.11
  • Accepted : 2016.10.21
  • Published : 2016.12.30

Abstract

This study is conducted to search about changing earth science contents influenced by the scientific literacy from the 7th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Earth science area is divided into astronomy, geology, meteorology and oceanography contents. Among the elements of scientific literacy, the contents were analyzed focusing on STS elements. In the astronomical and meteorological content areas, there were aspects of scientific literacy in all periods from the 7th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Except for the 2007 revised curriculum in the geological area and the 7th curriculum in the oceanographic content area, the aspects of scientific literacy appeared at all times. It is emphasized the usefuln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astronomical content area and the use of science in everyday life in geological and meteorological content area. In the oceanographic content area, it is emphasized that content of science related social issue such as resource shortag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This study can be extended to the fields of physics, chemistry and life science, we suggest to inquire the scientific literacy as a integrated science.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과학과 교육과정 중 과학적 소양이 교육의 목표로 제시된 7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과학' 과목의 지구과학영역 내용 변화를 과학적 소양의 측면에서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지구과학 영역을 천문, 지질, 기상, 해양 내용으로 구분하여 과학적 소양의 요소 중에서 STS적인 요소에 초점을 두고 내용을 분석하였다. 천문과 기상 내용 영역에서는 7차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모든 시기에서 과학적 소양의 측면이 나타났으며, 지질 영역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 해양 영역에서는 7차 교육과정을 제외하고 모든 시기에서 과학적 소양의 측면이 나타났다. 천문 내용 영역에서는 과학과 기술의 유용성이 강조되었고, 지질과 기상 내용 영역에서는 일상생활에서의 과학의 이용이 강조되었다. 해양 내용영역에서는 자원부족과 환경오염 등 과학관련 사회적 이슈가 강조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을 과학적 소양이라는 새로운 측면에서 살펴보려는 시도로 차후 지구과학의 다른 영역 및 물리, 화학, 생물 과목으로 확대하여 내용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 기존의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이라는 과목의 테두리에서 벗어나 통합된 학문의 관점에서 과학적 소양을 알아볼 것을 제안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11). 과학과 교육과정.
  2. 교육부 (1997). 과학과 교육과정.
  3. 교육부 (2015). 과학과 교육과정.
  4. 교육인적자원부 (2007). 과학과 교육과정.
  5. 이상균 (2015). 스마트 기기 활용 설계 기반 STEAM 프로그램이 과학 흥미도와 융합인재 소양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3). 240-250.
  6. 이혜림, 최현동 (2012). 제6차, 제7차,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STS 관련 내요요 비교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5(1), 42-50.
  7. 하병권, 김용권 (2015). 환경 관련 체험학습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2). 206-217.
  8.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89). Science for all americans. A project 2061 report on literacy goals in science, mathematics, and technology. Washington, DC.
  9. Bingle, W. H., & Gaskell, P. J. (1994). Scientific literacy for decisionmaking and the social construction of scientific knowledge. Science Education, 78(2), 185-201. https://doi.org/10.1002/sce.3730780206
  10. Bybee, R., McCrae, B. & Laurie, R. (2009). PISA 2006: An assessment of scientific literac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8), 865-883. https://doi.org/10.1002/tea.20333
  11. Chiappetta, E. L., Fillman D. A., Sethna, G. H. (1991). A method to quantify major themes of scientific literacy in science textbook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8). 713-725. https://doi.org/10.1002/tea.3660280808
  12. Coleman, S. L., & Soellner, A. M. (1995). Scientific literacy and earthquake prediction.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43(2), 147-151. https://doi.org/10.5408/0022-1368-43.2.147
  13. Eijck, M. (2010). Addressing the dynamics of science in curricular reform for scientific literacy: The case of genomic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2(8), 2429-2449. https://doi.org/10.1080/09500690903473399
  14. Five, H.., Huebner, W., Birnbaum, A. S. & Nicoloch, M. (2014). Developing a measure of scientific for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Education, 98(4), 549-580. https://doi.org/10.1002/sce.21115
  15. Hurd, P. D. (1958). Scientific literacy: its meaning for american schools. Educational Leadership. 16(1), 13-16 & 52.
  16.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1971). School science education for the 70s. The Science Teacher, 38(8), 46-56.
  17.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1982). Science-technology-society Science education for the 80s. A position statement. Washington, DC. NSTA.
  18. OECD (2013). PISA 2015 Draft Science Framework. Paris. OECD.
  19. Yuenyong, C., & Narjaikaew, P. (2009). Scientific literacy and thailand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 Science Education, 4(3), 335-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