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reative Pattern Elements of Dancheong in Yeongnamnu Pavilion, Miryang

밀양 영남루 단청의 창의적 조형요소에 관한 연구

  • 구미주 (부산대학교 건축학과) ;
  • 곽동해 (한서대학교 문화재보존학과) ;
  • 이호열 (부산대학교 건축학과)
  • Received : 2016.10.15
  • Accepted : 2016.12.07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original design and character of dancheong in Yeongnamnu P avilion which features unusual portraits of twisting dragons and four heavenly creatures. Its artistic value and originality can be found in the portraits of four heavenly creatures which are painted on the interior seonjayeon(fan shape rafter) and in the unique design of crossbeam meoricho(flower decorations on each side of pillars). Yeongnamnu's crossbeam meoricho is janggu-meoricho type(meoricho with hourglass figure) with full-shape lotus and half-shape flower decorations. And it can be said that, dragon portrait painted on the border of lotus and flower decorations in green and yellow is a very unique style of dancheong, for the reason that it has scarcely been used before and ever since. The portrait of four heavenly creatures painted on each corner of seonjayeon is also found to be unique in design, for the reason that the design has rarely been used throughout history, with only two exceptions in mural tombs of Goguryeo and folding screen in Injeongjeon Hall of Changdeokgung P alace. With its unique and authentic feature along with its rarity in number, the portrait of four heavenly creatures painted on Yeongnamnu can be considered as quite symbolic and important.

Keywords

References

  1. 淮南子
  2. 營造法式
  3. 承政院日記
  4. 朝鮮王朝實錄
  5. 林下筆記
  6. 新增東國輿地勝覽
  7. 密州誌
  8. 密州舊誌
  9. 嶺南樓題詠詩文, 정경주 편역, 밀양문화원, 2002
  10. 곽동해, 전통안료의 문헌사적 연구, 학연문화사, 2012
  11. 곽동해, 한국의 단청, 학연문화사, 2002
  12. 곽동해, 전통불화의 맥, 학연문화사, 2006
  13. 김동현, 한국 목조건축의 기법, 도서출판 발언, 1995
  14. 김한옥, 단청도감, 현암사, 2007
  15. 김희정, 한국 단청의 이해, 한티미디어, 2012
  16. 馬瑞田, 中國古建彩畵, 文物出版社, 1996
  17. 野崎誠近, 中國吉祥圖案, 古亭書屋編譯, 衆文圖書股份有限公司, 1979
  18. 임영주, 단청, 대원사, 1991
  19. 장기인.한석성, 한국건축대계 III: 단청, 보성문화사, 1982
  20. 竹島卓一, 營造法式の硏究, 第三, 中央公論美術出版, 昭和47(1972)
  21. 한석성.박해진.김대벽,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단청, 현암사, 2004
  22. 김동현.장기인.김병호, (Forum) 한국의 단청, 공간, 103호, 1976.1.
  23. 신영훈.김동현, 한국고건축단장: 그 양식과 기법 17.18. 단청(上).단청(下), 공간, 51.52호, 1971.2-3.
  24. 신영훈, 건축에 응용된 문양의 상징성 (김원룡 외, 한국의 미 13: 사원건축), 중앙일보사, 1983
  25. 임영주, 한국 단청양식의 원류에 대하여, 문화재, 17호, 1984
  26. 예용해, 단청, 문화재, 7호, 1973
  27. 장경호, 우리나라 단청과 그 보존, 공간, 160호, 1980.10.
  28. 이호열, 밀양 영남루 연혁 및 건축형식 변천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9권, 1호, 2000.3.6.
  29. 곽동해, 연화머리초의 성립에 대한 고찰, 동악미술사학, 6호, 2005
  30. 정경용, 韓國丹靑에 關한 硏究-大樑紋樣을 中心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9
  31. 양윤식, 문헌자료조사 (안동시, 봉정사 대웅전 해체 수리공사보고서), 2004
  32. 조선총독부, 조선고적도보, 11권, 1931
  33. 하강진, 19세기말 오횡묵이 저술한 밀양 관련 시문과 그 의미, 밀양문학, 22집, 2009
  34. 문화재청, 밀양 영남루 실측조사보고서, 1999
  35. 밀양시, 밀양 영남루 국보 승격을 위한 학술용역,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