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Fathers' Paid Work Time and Jobs' Family-Friendly Policies on Parenting Participation in Dual-Earner Families

맞벌이가정 아버지의 근로시간특성과 가족친화제도가 자녀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6.09.01
  • Accepted : 2016.11.25
  • Published : 2016.11.30

Abstract

Fathers are increasingly expected to participate in parenting due to the higher participation of women in economic activities, the growing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and the greater emphasis on the role of fat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id work time and jobs' family-friendly policies on parenting participation in dual-earner familie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577 fathers of dual earner families through a child care center in the Gyeongsangbukdo Province,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for Windows. The statistical methods employed included mean, standard deviation,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athers of dual-earner families showed an above average level of participation in parenting (3.26). By category, they were less involved (2.89) in household chores, and more active in daily guidance and leisure activities (3.48). Second,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affecting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was having a regular office-closing time. Fathers who were younger, had a higher level of education, had a regular office-closing time, had more vacation leave, and whose companies implemented family-friendly policies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parenting. Third, the key factors influencing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by sub-category were found to be having a regular office-closing time and jobs with family-friendly policies. Fathers with a greater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were more inclined to participate in household chores, while those who were younger and more educated actively participated in daily guidance and leisure activities.

Keywords

References

  1. 강혜련.최서연(2001). 기혼여성 직장-가정 갈등의 예측변수와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5(3), 1-14.
  2. 강희경(2004). 학령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녀 양육참여도와 근무조건 융통성에 따른 양육스트레스. 부모교육연구, 1(1), 87-105.
  3. 고광민.이숙현.권영인(2012). 아버지의 직무스트레스가 양육 참여 수준 및 부모 역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일 - 가족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9(3), 113-137.
  4. 곽은희(2011).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 성역할 고정관념, 유아 사회성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가윤.신혜영(2013). 아버지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양육참여,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의 상대적 영향력 탐색.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2), 191-213.
  6. 김보람(2013).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소영.옥선화(2000). 기혼 남성의 아버지 역할과 직업역할 몰입 유형화와 생활만족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2), 125-139.
  8. 김혜연.신유림(2005).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역할만족도와 관련된 변인 연구: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5), 93-102.
  9. 김혜영.황정미.선보영.김동기(2008). 남성의 부성경험과 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0. 박영순(1990). 영 유아의 사회성 및 인지 발달에 관한 아버지의 참여도 조사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백경미(2009). 성인지적 가족친화제도 모색을 위한 기업 유형별 여성의 일과 삶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법제처 http://www.law.go.kr/
  13. 서혜영(1998). 남성의 일-아버지 역할 갈등과 부모 역할 만족도 및 부모로서의 유능감.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송명순(2008). 아버지의 양육태도 및 역할수행에 따른 유아의 자아개념.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안수미.이기영.이승미(2013).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와 자녀양육시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2), 93-119.
  16. 여성가족부 http://www.mogef.go.kr/
  17. 유계숙(2010). 기업의 가족친화제도가 근로자의 자녀출산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2), 89-96.
  18. 유영미(2013).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에 대한 인식과 실태조사 연구. 한양사이버대학교 휴먼서비스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미현.최혜순(2014). 아버지 양육참여 관련 연구동향 분석. 청소년학연구, 21(4), 307-330.
  20. 이성희.한은주(1998). 기혼남성의 아버지 역할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 (2), 23-39.
  21. 이숙현.권영인(2009). 기업의 가족친화적 문화와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 일-가족 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1(1), 1-28.
  22. 이재법(2015). 맞벌이 가정 아버지의 직무만족과 자녀양육참여가 가정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이지영(2008). 아버지의 양육효능감과 자녀양육참여: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을 매개 변인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임애련(2015).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직업만족도 및 양육참여: 아버지 기질의 조절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임인숙(2003). 한국 기업의 가족친화제도의 한계: 취업여성을 위한 육아지원제도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15(3), 63-86.
  26. 장재홍.김태성(2002). 아버지의 자녀양육행동과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및 자녀양육태도간의 관계. 청소년상담연구, 10(2), 123-139.
  27. 정유진(2013). 가족친화제도와 조직문화가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조선화(1997). 아버지 역할에 관한 우리나라 연구의 동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4(1), 179-203.
  29. 최경순(1992). 아버지 양육행동 및 참여도와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최성일.유계숙(2007). 가족친화적 기업정책이 근로자의 일-가족조화, 인적자원성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경로모형 검증.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2), 1-26.
  31. 최순자.深谷昌志.이광형(2007). 한국 일본 대만 아버지의 자녀양육 의식 국제비교. 한국일본교육학연구, 11(2), 133-150.
  32. 최혜숙.이은해(1998). 맞벌이 가족에서 아버지의 가사와 자녀양육 참여. Yonsei Journal of Human Ecology, 12, 84-93.
  33. 허경옥(1994). 부의 자녀 양육에의 참여 시간 결정요인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3(3), 63-70.
  34. 허선자(1993). 아버지의 역할지각 및 양육참여 행동에 영향을 주는 변인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헤럴드경제 (2015.1.14). '프렌디 대디'는 예능일뿐... 아빠는 가정보다 일을 좋아해.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50114000456&md=20150114135157_BL.
  36. 홍영희(2006).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자녀 양육참여와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발달.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Amato, P. R., Meyers, C. E. & Emery, R. E.(2009). Changes in nonresident father-child contact from 1976 to 2002. Family Relations, 58(1), 41-53. https://doi.org/10.1111/j.1741-3729.2008.00533.x
  38. Becker, G. S.(1965). A theory of the allocation of time. The Economic Journal, 75, 493-517. https://doi.org/10.2307/2228949
  39. Becker, G. S.(1974). A theory of marriage: Part II.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82(2), 11-26. https://doi.org/10.1086/260287
  40. Berk, S. F.(1985). The gender factory: The apportionment of work in American household. New York: Plenum Press.
  41. Forth, J., Lissenburgh, S., Callender, C. & Millward, N.(1997). Family friendly working arrangements in Britain, Research Report 16. London: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Employment.
  42. Greenhaus, J. H. & Beutel, N. J.(1985). Source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0, 76-88. https://doi.org/10.5465/amr.1985.4277352
  43. Kwon, Y. & Roy, K.(2007). Changing social expectations and paternal caregiving experiences for working class and middle class Korean fathers.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 38, 285-305.
  44. Marks, S. R. & MacDermid, S. M.(1996). Multiple roles, and the self:: A theory of role balanc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8(2), 417-432. https://doi.org/10.2307/353506
  45. Nock, S. L. & Kingston, P. W.(1985). Consequences of the family work day.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7(3), 619-629. https://doi.org/10.2307/352263
  46. Pleck, J. H.(1993). Are "family supportive" employer policies relevant to men? In J. C. Hood(Ed.), Men, work and family(pp.217-237). Newbury Park, CA: Sage.
  47. Pleck, J. H.(2010). Paternal involvement: revised conceptualization and theoretical linkages with child outcomes. In M. E. Lamb (Ed.), The Role of the father in Child Development(pp. 67-107). London: Wiley.
  48. Staines, G. L.(1980). Spillover versus compensa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non-work. Human Relations, 33, 111-129. https://doi.org/10.1177/001872678003300203
  49. Thomas, L. T. & Ganster, D. C.(1995). Impact of family-supportive work variables on work-family conflict and strain: A control perspectiv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0(1), 6-15 https://doi.org/10.1037/0021-9010.8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