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the Effect of Incentive Gap of Teacher's Merit-pay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교사의 교원성과급 등급이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6.09.30
  • Accepted : 2016.10.18
  • Published : 2016.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nalysis on the effect of incentive gap of teacher's merit-pay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study verified the hypothetical path model and analyzed the effects of incentive gap of teacher's merit-pa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762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fou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incentive gap of teacher's merit-pa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ly, incentive gap of teacher's merit-pay affe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Lastly, S grade teachers of teacher's merit-pay are mor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level were higher than A and B grade teacher. Therefore teacher's merit-pay have positive impacts to the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교원성과급 등급이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인천 경기 지역에 근무하는 초 중등 교사 76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조직몰입에 대한 인식 수준은 3.44,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인식 수준은 3.99로 나타났다. 또한 배경 변인에서는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 모두 부장교사, 21년 이상고경력교사, 한국교총 가입 교사의 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조직몰입은 상대적으로 중등학교 교사와 남교사의 인식 수준이, 조직시민행동은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원성과급 등급에 따른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의 하위변인 간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성과급의 등급과 하위변인들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S등급 교사의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의 수준이 가장 높고 다음은 A등급 교사, B등급 교사의 순이었다. 셋째, 교원성과급 등급이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교원 성과급 등급은 조직몰입에 3.623-.218(A등급)-.392(B등급)만큼의 영향을 미치고, 조직시민 행동에 4.132-.166(A등급)-.279(B등급)만큼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명현(2006). 민간경비원의 조직공정성지각이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 김영진(2008). 성과중심의 인적자원관리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중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 김혁동(2010). 학교조직의 공정성과 구성원간의 신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논단, 9(2), 155-178.
  4. 김호균(2007). 조직공정성인식, 조직신뢰, 조직시민행동간 영향관계분석. 한국행정학보, 41(2), 69-94.
  5. 김호균(2008). 조직신뢰, 상사신뢰와 조직효과성. 행정논총, 46(1), 177-208.
  6. 김희규(2013). 교사의 교원성과급에 관한 공정성 인식이 직무만족 및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학연구, 19(2), 69-91.
  7. 노덕선(2009). 스포츠센터 조직구성원의 조직공정성,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의 관계. 서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8. 박금희(2009). 조직구성원의 신뢰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박창화(2014). 교사들의 교원성과급제도 수용현상에 대한 분석.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서지영(2012). 교사의 팔로워십 유형과 교원 성과급과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송광용(1995). 능력 및 실적반영 교원보수체제 도입방안. 초.중등교원 보수 체제 개편방향 탐색. 교원보수체제 연구위원회 세미나 보고서.
  12. 유근혁(2015). 개인성과급에 대한 초등교사의 공정성 인식이 교사헌신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윤병섭, 이영안, 이홍재(2010). 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책연구, 10(3), 219-238.
  14. 윤우제, 서인석, 권기헌(2011). 조직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 지방행정연구, 25(3), 155-192.
  15. 이만규(2004). 보상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이선교(2006).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원성과급 제도 인식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이후경(2011). 성과급 지급방식이 종업원의 임금에 관한 의사결정, 태도 및 동기부여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임정숙(2008). 구성원의 공정성 지각이 조직지원인식,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릉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정영희(2013). 교원 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인식과 성취동기, 조직헌신, 직무만족의 관계 분석. 중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정홍술(2002). 분배.절차.상호작용공정성이 상사에 대한 신뢰, 조직지원인식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조국행(2001). 공정성이 조직몰입, 직무만족,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호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최지혜(2005). 교원 성과급제도와 교원의 성취동기와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한주희, 이종건(2009). 기업의 사회적 책임, 조직신뢰 및 조직시민행동의 관계. 기업경영연구, 16(4), 25-43.
  24. 함상규(2007). 조직공정성지각이 행정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 상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 홍철희(2009).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의 조직공정성, 교사의 조직시민행동이 교사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6. Adams, J. S.(1965). Inequity in Social Exchange. In Berkowitz, L. (ed.) Advances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NY: Academic Press.
  27. Greenberg, J.(1990a). Organizational Justice: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Journal of Management, 16, 432.
  28. Hoy, W. K. & Miskel, C. G.(2005).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6th ed.). New York: McGraw-Hill.
  29. McCauley, D. P. & Kuhnert, K. W.(1992). A Theoretical Review & Empirical Investigation of Employee Trust.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16(2), 265-285.
  30. Meyer, P. J. & Allen, J. N.(1984). Testing the side best theory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some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9, 372-378. https://doi.org/10.1037/0021-9010.69.3.372
  31. Organ, D. W.(1988).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Good Soldier Syndrome. Mass: Lexinton Books.
  32. Reyes, P.(1990).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eachers. In Pedro Reyes(ed). Teachers and Their Workplace.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Inc.
  33. Riehl, C. & Sipple, J.(1996). Making the most of time and talent: Secondary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s, teaching task environments, and teacher commitment.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3(4), 873-901. https://doi.org/10.3102/00028312033004873
  34. Williams, L. J. & Anderson, S. E.(1991). Job Satisfaction &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Predictor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 In-role Behaviors. Journal of Management, 17(3), 601-618. https://doi.org/10.1177/01492063910170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