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idential Segregation by Education Attainment and Neighborhood Disparity: A Case Study of Seoul

교육수준별 거주지 분리와 근린주거환경 격차: 서울시를 사례로

  • Chung, Su-Yeul (Department of Geography, College of Humanities & Social Science, Sangmyung University) ;
  • Lee, Jung-Hyun (Department of Geography, College of Humanities & Social Science, SangMyung University)
  • 정수열 (상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 이정현 (상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Received : 2016.11.25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Socio-economic polarization in Korea partly due to recent globalization and industrial restructuring could reduce social mobility significantly through passing down educational achievement to one's children. Under the notion that residential segregation is geographical frame for the reproduction of educational inequality, this research investigates residential segregation by educational attainment and neighborhood disparity with a case study of Seoul. The statistical analyses employed local segregation measures such as Location Quotient and Local Moran's I and a variety of variables that reflect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As a result, it found that there are sharp and clear contracts between low- and high-educational group concentrations/clusters particularly in terms of housing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facilities. This results provide some evidences that support the arguments about the causes of residential segregation by class in Korean Cities.

최근 세계화와 산업구조조정으로 인해 가속되는 사회경제적 양극화는 학력자본의 세대 간 대물림으로 고착될 위험에 처해 있다. 본 연구는 학력자본의 대물림은 거주지 분리를 매개로 이루어진다는 인식 하에 중년층의 교육수준별 거주지 분리에 따른 근린주거환경의 격차를 서울시를 사례로 분석하였다. 국지적 거주지 분리 측도를 통해 근린별 거주지 분리를 측정하고 자연, 주택, 지역인구, 생활 편의 교통, 교육, 복지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근린주거환경을 가늠하는 변수들을 활용했다. 분석 결과 학력층별 집중-집적지 간에는 뚜렷한 근린주거환경의 격차가 나타났다. 특히 저학력층과 고학력층 집중-집적지 사이에는 주택환경과 교육환경 측면에서 정반대의 성격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도시의 계층별 거주지 분리의 원인에 대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되기도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오혁.윤완섭, 1991, "서울시 아파트의 공간적 확산과 주거지 분화", 한국사회사연구회, 한국의 도시문제와 지역사회, 한국사회사연구회 논문집 제29집. 문학과 지성사, 94-132.
  2. 김동현.임업, 2010, "인적자본의 거주지 분리에 관한 탐색적 공간자료 분석", 지역연구 26(2), 41-53.
  3. 김창석, 2002, "서울시 상류계층(파워엘리트)의 주거지역 분포특성과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65-85.
  4. 김희삼, 2015, "사회 이동성 복원을 위한 교육정책의 방향", KDI FOCUS 통권 제54호, 1-8.
  5. 도경선, 1994, "서울시의 사회계층별 거주지분화에 관한 연구", 지리학논총 23(2), 25-48.
  6. 류주현, 2009, "외국인 통근 특성에 따른 지역 유형별 비교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44(3), 207-429.
  7. 박배균.정건화, 2004, "세계화와 "잊어버림"의 정치: 안산시 원곡동의 외국인 거주지역에 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0(4), 800-823.
  8. 박세훈.정소양, 2010, "외국인 주거지의 공간분포 특성과 정책함의", 국토연구 64, 59-76.
  9. 이영아, 2015, "한국의 빈곤층 밀집 지역 분포 및 형성 과정 고찰",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8(1), 45-56.
  10. 정수열, 2008, "인종민족별 거주지 분화 이론에 대한 고찰과 평가 - 미국 시카고 아시아인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43(4), 511-525.
  11. 정수열, 2010, "이민자의 주거 집중이 자영업 활동에 미치는 영향", 국토지리학회지 44(1), 25-34.
  12. 정수열, 2015, "계층별 거주지 분화와 경제적 양극화",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6(4), 1-16.
  13. 최은영, 2004, 서울의 거주지 분리 심화와 교육환경의 차별화,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최은영.조대헌, 2005, "서울 강남구의 경제적 장벽과 인구이동 특성", 서울도시연구 6(4), 1-20.
  15. 최재헌.강민조, 2003, "외국인 거주지 분석을 통한 서울시 국제적 부문의 형성", 한국도시지리학회지 6(1), 17-30쪽.
  16. 한주연, 1989, "서울시의 직업별 거주지 분리현상에 관한 연구", 지리교육논집 21, 32-70.
  17. Brown, L.A. and S-Y Chung, 2006, "Spatial Segregation, Segregation Indices, and the Geographic Perspective", Population, Space, and Place (formerly, International Journal of Population Geography) 12, 125-143. https://doi.org/10.1002/psp.403
  18. Brown, L.A. and S-Y Chung, 2008, "Market-Led Pluralism: Re-Thinking Our Understanding of Racial/Ethnic Spatial Patterning in US Cities",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98, 180-212. https://doi.org/10.1080/00045600701734612
  19. Chung, S-Y and L.A. Brown, 2007, "Racial/Ethnic Residential Sorting in Spatial Context: Testing the Explanatory Frameworks", Urban Geography 28, 312-339. https://doi.org/10.2747/0272-3638.28.4.312
  20. Chung, S-Y, 2009,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of Racial/Ethnic Segregation in U.S. Cities",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43(4), 497-514. (정수열, 2009, 근린성격 분석을 통해 살펴본 미국 인종민족별 거주지분화, 국토지리학회지 43(4), 497-514.)
  21. Fong, E. and K. Shibuya, 2000, "The Spatial Separation of the Poor in Canadian Cities, Demography, 37(4), 449-459. https://doi.org/10.1353/dem.2000.0003
  22. Massey, D.S. and N.A. Denton, 1988, "The Dimensions of Residential Segregation", Social Forces 67, 281-315. https://doi.org/10.2307/2579183
  23. Massey, D.S., M.J. White, V. Phua, 1996, "The Dimension of Segregation Revisited", Sociological Methods and Research 25, 172-206. https://doi.org/10.1177/0049124196025002002
  24. Reardon and Bischoff, 2011, "Income Inequality and Income Segregation",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16(4), 1092-1153. https://doi.org/10.1086/657114
  25. Townshend and Walker, 2002, The Structure of Income Residential Segregation in Canadian Metropolitan Areas, Canadian Journal of Regional Science, 25,1, 25-52.
  26. Yim, S.H. and Y.W. Lee, 2002, "Social Polarization and its Spatial Characteristics(사회적 양극화와 공간적 특성)",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y(도시지리학회지) 8(2), 270-279.

Cited by

  1. Disparity in Spatial Access to Public Daycare and Kindergarten across GIS-Constructed Regions in Seoul, South Korea vol.11, pp.19, 2016, https://doi.org/10.3390/su11195503
  2. Explaining Spatial Distribution of the Middle Class: A Multiple Indicator Approach with Multiple Explanatory Dimensions vol.12, pp.4, 2016, https://doi.org/10.1007/s12061-018-927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