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Literature Review on the Type and Cooking Methods for Emandoo during the Joseon Dynasty, with a focus on Euigwe and old literature

조선시대 어만두(魚饅頭)의 종류 및 조리방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 - 의궤와 고문헌을 중심으로

  • Oh, Soonduk (Nursing Dept. Euigwe Joseon Dynasty Food Culture Research Institute)
  • 오순덕 (조선왕조의궤 음식문화연구소)
  • Received : 2015.07.02
  • Accepted : 2016.01.10
  • Published : 2016.02.29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types and cooking methods of Emandoo as recorded in 15 royal palace studies and 8 old literature texts of the Joseon dynasty (1392-1909). Early Joseon Dynasty kind of Emandoo one kind, two kinds of mid and late 15 kinds, a total of 18 paper was introduced. A Emandoo ingredient materials of a pheasant, chicken, beef, abalone, sea cucumber, etc. were used. Emandoo were able to see that the current 'mulmandu' form of life that icing on the water after the starch into a small thin sliced fish flesh. The size of a Emandoo made small clams. The use of 'Gocho (苦椒)' on Chojang(醋醬), starting with 'emandoo" of Muhsin jinchan Euigwe"(1848) Further study will be conducted on recipes and ingredients recorded in these Euigwe and old books in order to develop a standardized recipe to make Emandoo appealing to a global palate.

조선시대 의궤 15책과 고문헌 8권에 수록되어 있는 어만두에 대하여 문헌 고찰하였다. 조선시대 전기에는 1종, 중기에 2종, 후기에 15종으로 모두 18종이 소개되었다. 만두소의 재료로는 꿩, 닭, 소고기, 전복, 해삼 등이 사용되었다. 어만두는 생선살을 얇게 저며 소를 넣고 녹말을 입힌 후 물에 삶은 것으로 현재의 '물만두' 형태임을 알 수 있었다. 어만두의 크기는 작은 모시조개 크기로 만들었다. 초장에 '고초(苦椒)'의 사용은 "무신 진찬의 궤"(1848년)의 '어만두'를 시작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어만두에 대한 새로운 조명과 메뉴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Keywords

References

  1. K.O. Kim. "A study on "Mandu", Gomunhwa 40:41:117-132, 1992년. 김광언. "만두 考(고)", 고문화(古文化) 40:41, pp. 117-132, 1992년.
  2. G.H. Jang. "Traditionally Foods", Inje Food Science Forum 1(1):49-81, 1993년. 장지현. 전통식품-그 유구한 역사와 찬란한 미래(未來). 인제식품과학Forum논총 1(1):49-81, 1993년.
  3. S.D. Oh, "A Literature Review of Traditional Foods in Korean Festivals in the Joseon Dynasty", Korean J. Food & Nutr 25(1):32-49, 2012년. 오순덕. "조선시대 세시음식(歲時飮食)에 대한 문헌적 고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5(1):32-49, 2012년. https://doi.org/10.9799/ksfan.2012.25.1.032
  4. G.H. Jang. Food Culture in Old Books, Nongsim R&BD, p. 42, 2011년. 장지현. 고서 속 음식문화연구, 농심 R&BD 음식문화원, p. 42. 2011년.
  5. S.M. Hong. Dongguksesigi, Dongmunseon, 1849년. 홍석모(洪錫謨). 동국세기시, 동문선, 1849년.
  6. Unknown authorship. JooChan(酒饌)(In: Yoon SK editor, 1998), Shinkwang publishers, Seoul, Korea, the early 1800s. 저자미상. 주찬(酒饌(윤숙경 편역, 1998), 신광출판사, 서울, 1800년대 초엽.
  7. M.J. Park. "A Study on the Eumsikbub(Chanbub)",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4(2), 1996년. 박미자. "음식법(찬법)의 조리학적 고찰", 대한가정학회지 34(2), 1996년.
  8. S.D. Oh. "A Literature Review on the Mandoo in the Royal Palace of Joseon Dynasty", Korean J. Dietary Culture 29(2):301-308, 2014년, 오순덕. "조선왕조 궁중음식 중 만두류의 문헌적 고찰",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9(2):301-308, 2014년.
  9. E.M. Kim, S.H. Cho, R.W. Chung, Y.J. Choi, S.I. Won, G.H. Cha, H.S. Kim, H.G. Lee. "Investigation of Main Dishes on Literature before the 17th Century", Korean J. Food Cookery SCI, 22(3):314-336, 2006년. 김은미, 조신호, 정낙원, 최영진, 원선임, 차경희, 김현숙, 이효지, "17세기 이전 주식류의 문헌적 고찰", 한국조리과학회지, 22(3):314-336, 2006년.
  10. H.J. Bok. "The A Literary Investigation on Mandu (Dumpling) -Types and Cooking Methods of Mandu (Dumpling) During the Joseon Era (1400's-1900's)". Korean J. Dietary Culture, 23(2):273-292. 2008년. 복혜자. "만두의 조리방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조선시대 만두의 종류와 조리방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 (1400년대-1900년대까지).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3(2):273-292. 2008년.
  11. K.S. Kim, M.J. Lee, B.J. Han. "A Study of the Types of Mandoo and Its Cooking Methods in the Old Cooking Books - Focused on the Cooking Books issued in 1600 to 1950", Journal of the East Asian of Dietary Life 9(1):3-16, 1999년. 김기숙, 이미정, 한복진, "고조리서에 수록된 만두의 종류와 조리법에 관한 고찰-160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발간된 고 조리서를 중심으로",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9(1):3-16, 1999년.
  12. Gihae Jinyeoneuigwe(己亥 進宴儀軌), Kyujanggak, 1719년. 기해 진연의궤(己亥 進宴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719년(숙종 45년).
  13. Wonhaengelmyojungrieuigwe(園行乙卯整理儀軌), Kyujanggak, 1795년. 원행을묘정리의궤(園行乙卯整理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795(정조 20년).
  14. Chunghae Chungraeeuigwe(丁亥 整礼儀軌), Kyujanggak, 1827년. 정해 정례의궤(丁亥 整禮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27(순조 27년).
  15. Muja Jinjakeuigwe(戊子 進爵儀軌), Kyujanggak, 1828년. 무자 진작의궤(戊子 進爵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28년(순조 28년)
  16. Gichuk Jinchaneuigwe(己丑 進饌儀軌), Kyujanggak, 1829년. 기축 진찬의궤(己丑 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29년(순조 29년).
  17. Musin Jinchaneuigwe(戊申 進饌儀軌), Kyujanggak, 1848년. 무신 진찬의궤(戊申 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48년(헌종 14년).
  18. Mujin Jinchaneuigwe(戊辰 進饌儀軌), Kyujanggak, 1868년. 무진 진찬의궤(戊辰 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68년(고종 5년).
  19. Kyeyu Jinjakeuigwe(癸酉 進爵儀軌), Kyujanggak, 1873년. 계유 진작의궤(癸酉 進爵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73년(고종 10년).
  20. Chungchuk Jinchaneuigwe(丁丑 進饌儀軌), Kyujanggak, 1877년. 정축 진찬의궤(丁丑 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77년(고종 14년).
  21. Chunghae Jinchaneuigwe(丁亥 進饌儀軌), Kyujanggak, 1887년. 정해 진찬의궤)(丁亥 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87년(고종 24년).
  22. Imjin Jinchaneuigwe(壬辰 進饌儀軌), Kyujanggak, 1892년. 임진 진찬의궤(壬辰 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92년(고종 29년).
  23. Sinchuk Jinchaneuigwe(辛丑 進饌儀軌), Kyujanggak, 1901년 5월. 신축 진찬의궤(辛丑 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901년 5월(대한제국 고종 5년).
  24. Sinchuk Jinyeoneuigwe(辛丑 進宴儀軌), Kyujanggak, 1901년 7월. 신축 진연의궤(辛丑 進宴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901년 7월(대한제국 고종 5년).
  25. Imin Jinchaneuigwe(壬寅 進饌儀軌), Kyujanggak, 1902년 4월. 임인 진찬의궤(壬寅 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902년 4월(대한제국 고종 6년).
  26. Imin Jinyeoneuigwe(壬寅 進宴儀軌), Kyujanggak, 1902년 11월. 임인 진연의궤(壬寅 進宴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902년 11월(대한제국 고종 6년).
  27. S.E. Jen. Sangayolog(RDA editor, 2010), Gyeonggi-do, 1449년. 전순의 원저. 산가요록(농촌진흥청 편역, 2010), 경기도. 1449년.
  28. Andong Jang. Gugeonsiebang(In: Hwang HS editor, 1980), Hanguk Inseo Publishers, Seoul. 1670년경. 안동장씨(安東張氏) 원저. 규곤시의방(閨壼是議方)(황혜성 편역, 1980), 한국인서출판사, 서울, 1670년경.
  29. J.L. Ryu. Jeungbosanlimgyeongje(增補山林經濟)(In: G.J. Lee et al. 13 editor, 2003), Shinkwang publishers, Seoul, Korea, 1767년. 류중림(柳重臨) 원저. 증보산림경제(이강자 등 13인 편역, 2002), 신광출판사, 서울, 1767년.
  30. Y.G. Se. Imwonsiprukji(In: H.G. Lee et al 4 editor, 2007), Gyomunsa, Gyeonggi-do, 1827년. 서유구 원저. 임원십육지(정조지)(이효지 등 4인 편역, 2007년), 교문사, 경기도, 2007년.
  31. Unknown authorship. Hankukgosikmunheunjipsung III-JooChan(酒饌)(In: S.W. Lee, 1992), Suhaksa, p. 1192, Seoul, the early 1800s. 저자미상. 한국고식문헌집성III-주찬(酒饌(이성우 편, 1992), 수학사, p. 1192, 서울, 1800년대 초엽.
  32. S.S. Yoon, H.J. Cho, "Commentary Emsikbub of the Late Joseon Period", Korean J. Dietary Culture 8(1):79-84, 1993년. 윤서석, 조후종. "조선시대 후기의 조리서인 음식법의 해설I",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8(1) 79-84, 1993년.
  33. S.S. Yoon, H.J. Cho, "Commentary Emsikbub of the Late Joseon Period", Korean J. Dietary Culture 8(2):159-165, 1993년. 윤서석, 조후종. "조선시대 후기의 조리서인 음식법의 해설III",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8(2):159-165, 1993년.
  34. S.S. Yoon, H.J. Cho, "Commentary Emsikbub of the Late Joseon Period", Korean J. Dietary Culture 8(3):301-308, 1993년. 윤서석, 조후종. "조선시대 후기의 조리서인 음식법의 해설III",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8(3):301-308, 1993년.
  35. Unknown authorship. Eumsigbangmun, (RDA, 2010), RDA, p. 30, Gyeonggi-do, The late 1800s. 저자미상. 규곤요람.음식방문.酒方文.술빚는법.甘藷耕藏說.月餘農歌(농촌진흥청 편역, 2010), 농촌진흥청, p. 30, 경기도, 1800년대말엽.
  36. Unknown authorship. Siuijeonseo(是議全書)(In: Lee HG, et al. 11 editor, 2004), Shinkwang publishers, Seoul, Korea, the late 1800s. 저자미상. 시의전서(이효지 등 11인 편역, 2004), 신광출판사, 서울, 1800년대말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