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acts of Abuse Damage Experiences on Ego-Resilienc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학대피해경험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이조경 (신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백순희 (신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5.09.24
  • Accepted : 2015.12.29
  • Published : 2016.03.28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youth's abuse experiences on the ego-resilience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For this purpose, the survey and analysis were carried out targeted on 568 students in the 1st, 2nd and 3rd grade of middle schools in Busan. First, it was indicated that abuse experiences of youth affect on ego- resilience. In detail, the lower the grade and the less the abuse experiences, the ego-resilience gets increased. Second, in view of impacts of youth's abuse experiences on resilience, the social support has a moderating effect.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suggests the social support measures to be taken by home, school, community and country in order to improve the resilience which could be a self-power to overcome his or her own circumstances and situations despite the negative experiences of abuse experienced youth.

본 연구는 중학생 청소년의 학대피해경험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부산시내 중학생 1, 2, 3학년 568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청소년의 피학대경험은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학년이 낮을수록 그리고 학대피해 경험이 없을수록 자아탄력성은 증가하였다. 두 번째, 청소년의 피학대경험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는 조절효과를 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중심으로 학대피해 청소년의 부정적 경험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환경과 상황을 이겨낼 수 있는 힘이라고 할 수 있는 자아탄력성을 높이기 위하여 가정, 학교, 지역사회와 국가의 사회적 지지 방안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보건복지부와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2014 전국 아동학대 현황보고서, 2015.
  2. D. F. Perkins and K. R. Jones, "Risk behaviors and resiliency: withing physically abused adolescents," Child Abuse and Neglect, Vol.28, No.5, pp.5477-563, 2004.
  3. S. R. Jaffee, A. Caspi, T. E. Moffitt, M. Polo-Tomas, and A. Taylor, "Individual, family, and neighborhood factors distinguish resilient from non-resilient maltreated children: A cumulative streeors model," Child Abuse and Neglect, Vol.31, pp.231-253, 2007. https://doi.org/10.1016/j.chiabu.2006.03.011
  4. J. Block, "Assimilation, accommodation, and the dynamics of personality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Vol.53, pp.281-295, 1982. https://doi.org/10.2307/1128971
  5. A. Tellegen, "Structures of mood personality and their relevance to assessing anxiety with an emphasis on self-report," 1985.
  6. 박현진, 자아탄력성에 따른 지각된 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7. J. Block,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construct of ego-contro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tanford University, 1950.
  8. D. Cicchetti and S. Toth, "Social policy implications of research in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Editorial,"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Vol.12, pp.551-554, 2000. https://doi.org/10.1017/S0954579400004016
  9. J. Block and A. M. Kremen,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0, No.2, pp.349-361, 1996. https://doi.org/10.1037/0022-3514.70.2.349
  10. 송영경,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및 학교적응,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1. 좌문경, 학대를 경험한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2008.
  12. 허행식,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3. 강석화,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와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4. C. A. Markstrom, S. K. Marshall, and R. J. Tryon, "Resiliency, social support, and coping in rural low-income Appalachian adolescents from two racial groups," Journal of Adolescence, Vol.23, pp.693-703, 2000. https://doi.org/10.1006/jado.2000.0353
  15. D. M. Licitra-Kleckle and G. A. Waas, "Perceived social support among high-stress adolescent: The role of peers and family,"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Vol.8, pp.381-402, 1993. https://doi.org/10.1177/074355489384003
  16. 김선자, 조옥귀,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자기존중감 및 행동문제와의 관계," 교육이론과 실천, 경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제13권, 제1호, pp.361-385, 2003.
  17. 노필순, 윤혜미, "중학생의 빈곤감, 가족기능과 사회적 지지 및 문제행동," 학교사회복지, Vol.12, pp.23-46, 2007.
  18. 김만지, "청소년의 가족관련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제40권, 제3호, pp.55-66, 2002.
  19. 김세원, 사회적 지지가 학대경험 아동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0. 이영분, 김나예,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대경험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Vol.39, pp.151-180, 2012.
  21. J. Korbin, "Cultural perspectives and research directions for the 21th century," Child A buses and Neglect, Vol.15, pp.67-77, 1991. https://doi.org/10.1016/0145-2134(91)90010-B
  22. 황혜자, 조수진, "아동학대와 세대간 전승에 관한 고찰-애착 이론과 관련하여-," 사회과학논집, 제26권, 제1호, 2007.
  23. 허남순, "아동학대의 실태 및 대책," 한국아동복지학, 제1권, 제1호, 1993.
  24. 박풍규, "우리나라 아동학대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구사회과학연구, 제33권, 제1 호, 2011.
  25. 김현수, 부모로부터의 학대 및 방임 경험과 아동의 또래 간 공격성 및 피공격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26. M. Rutter, "Psychosocial Resilience and Protective Mechanism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Vol.57, No.3, pp.316-331, 1987. https://doi.org/10.1111/j.1939-0025.1987.tb03541.x
  27. A. A. Masten, J. D. Coatsworth, J. Neemann, S. D. Gest, A. L. Tellegen, and N. Garmezy, "The structure and coherence of competence from childhood through adolescence," Chil Development, Vol.66, pp.1635-1659, 1995. https://doi.org/10.2307/1131901
  28. S. S. Luthar, D. Cicchetti, and B. Becker, "The construct of resilience: A critical evaluation and guidelines for future work," Child Development, Vol.71, No.3, pp.543-562, 2000. https://doi.org/10.1111/1467-8624.00164
  29. F. Fonagy, M. Steele, H. Steele, A. Higgitt, and M. Target, "The Emmanuel Miller Memorial Lecture 1992: The Theory and Practice of Resilienc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Vol.35, No.2, pp.231-257, 1994. https://doi.org/10.1111/j.1469-7610.1994.tb01160.x
  30. J. G. Dyer and T. M. McGuinness, "Resilience: Analysis of the concept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Vol.10, No.5, pp.276-282, 1996. https://doi.org/10.1016/S0883-9417(96)80036-7
  31. M. Rutter, "Resilience in the face of adversity: Protective factors and resilience to psychiatric disorder,"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128, pp.493-509, 1985.
  32. N. Garmezy, "Stress-resistant children: The search for protective factors, In J. E. Stevenson (Eds.). Recent research in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Books Supplement, No.4, pp.213-233, Oxford, England: Pergamom, 1985.
  33. 김혜성, "회복력(Resilience) 개념 개발," 한국간호과학회 학술저널, 제28권, 제2호, pp.403-413, 1998.
  34. 한현아, 가정의 위험요인,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및 또래관계의 질이 청소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35. 박종명,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자아탄력성과 학업성적 및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6. 강지영, 인권에 대한 인지능력과 정서적 공감이 인권옹호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37. 김혜성, 김혜련, 박수경, "개인적 특성과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 학교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모로부터 학대를 경험한 청소년집단과 경험하지 않은 청소년집단 비교를 통하여," 한국아동복지학, 제21권, pp.207-232, 2006.
  38. 정예진, 아동이 지각한 학대경험정도와 사회적 지지 및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39. 김경호, 김현옥, "아동학대 잠재위험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요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중재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12권, 제2호, pp.171-192, 2007.
  40. 신혜영, 최해림, "부모로부터의 학대경험과 공격성 및 대인불안간의 관계: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5권, 제2호, pp.295-307, 2003.
  41. 장해영, 학대받은 경험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42. 한지숙, 피학대아동의 가정복귀 후 심리 행동적 적응 요인,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43. 황은수, 아동의 학대경험이 우울과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인식정서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44. D. Cicchetti, F. A. Rogosch, M. Lynch, and K. D. Holt, "Resilience in maltreated children: Processes leading to adaptive outcome,"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Vol.5, pp.629-629, 1993. https://doi.org/10.1017/S0954579400006209
  45. 이상준, 가정폭력경험 청소년의 탄력성과 보호 요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a.
  46. 이상준, "청소년의 가정폭력 노출이 사회적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환경적 보호요인의 역할," 한국사회복지학, 제58권, 제2호, pp.331-353, 2006b.
  47. 주소영, 아동학대와 탄력성의 관계에서 인지능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48. S. Cohen and H. M. Hoberman,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essl,"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13, No.2, pp.99-125, 1983. https://doi.org/10.1111/j.1559-1816.1983.tb02325.x
  49. S. Cobb, "Social support as a medi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Vol.38, pp.300-312, 1976. https://doi.org/10.1097/00006842-197609000-00003
  50. R. A. Thompson, Preventing Child Maltreatment through Social: A Critocal Analysis, Thousand Oaks. CA: Sage. 1995.
  51. 김연수,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와 사회적 지지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52. 장덕희, 가정폭력경험자녀의 적응을 위한 사회복지설천개입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53. 김영현, 학대경험아동의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보호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54. 부산광역시교육청, 부산교육통계, 학년 및 연령별 학생수-교육청별, 2015.
  55. 홍은주, "아동기 학대경험이 아동의 심리, 사회발달에 미치는 영향," 아동과 권리, 제2권, 제1호, 1998.
  56. E. C. Klohnen,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Journal of Personality Social Psychology, Vol.70, No.5, pp.1067-1079, 1996. https://doi.org/10.1037/0022-3514.70.5.1067
  57. 박지원,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5.
  58. 이종환, 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 공동체, 2008.
  59. 김용석, "사회복지 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척도의 개발과 평가,"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1권, 제3호, 2009.
  60. 이학식, 임지훈, SPSS 18.0 매뉴얼, 집현재, 2011.
  61. 이혜영, 청소년의 피학대경험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