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Factors Motivating Empathic Responses of Women in their 30s and 40s: Focusing on Kakao Story

SNS에서 30/40대 여성들의 공감 표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카카오스토리 중심으로

  • Received : 2016.01.15
  • Accepted : 2016.03.03
  • Published : 2016.03.28

Abstract

Recently, many people switch from an open SNS like facebook to a closed SNS like Kakaostory to expect more empathetic responses. In this study, I derive the design factors that motivate empathetic responses in SNS. In particular, I focus on Kakaostory that is popular for women in their 30s and 40s. I conduct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and find out the design factors and identified the type of photos that induce comments and feeling icons. While writing comments is influenced by the relationship with the poster and the contents, adding a feeling icons is affected by the states of the responders. The heavy users are more affected by the contents than by relationship. The photos with more responses have better image quality and capture situation better. The photos with more comments are cuter, brighter, and more positive. The photos with feeling icons only are visually sophisticated. This results can be useful to develop a design that induce empathetic responses.

최근 페이스북 같은 개방형 SNS에서 공감을 얻지 못하는 사람들이 점차 폐쇄형 SNS로 옮겨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사람들의 무반응 또는 부정적인 반응에 대한 두려움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해 SNS의 활성화를 위해 공감표현을 돕는 디자인을 개발할 수 있도록 공감 표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특히, 관계유지를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는 카카오스토리에서 주 사용자인 30/40대 여성을 대상으로 공감 반응을 하는데 영향을 주는 요인과 공감 반응을 유발 시키는 사진의 유형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댓글을 통한 공감표현은 주로 친분과 콘텐츠에 동일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콘텐츠의 생산과 소비에 모두 적극적인 사용자들은 댓글을 남길 때 친분 보다 내용에 더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느낌 아이콘을 통한 공감표현은 주로 반응하는 사람의 상태에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공감 반응을 하고 싶은 사진의 유형은 영상미가 좋고 상황이 파악되는 사진으로 보여 졌다. 댓글을 남기고 싶은 사진의 유형은 주로 귀엽거나 밝고 긍정적인 사진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느낌 아이콘만 남기고 싶은 사진은 주로 시각적으로 세련된 이미지로 유추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향후 공감 표현을 유도하고 강화하는 디자인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N. B. Ellison, C. Steinfield, and C. Lampe, "The benefits of Facebook "friends:" Social capital and college students' use of online social network sites,"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12, No.4, pp.1143-1168, 2007.
  2. K. M. Sheldon, N. Abad, and C. Hinsch, "A two-process view of Facebook use and relatedness need-satisfaction: disconnection drives use, and connection rewards it," Psychology of Popular Media Culture, Vol.1(S), pp.2-15, 2011. https://doi.org/10.1037/2160-4134.1.S.2
  3. T. Ryan and S. Xenos, "Who uses Facebook? An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g Five, shyness, narcissism, loneliness, and Facebook usag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7, No.5, pp.1658-1664, 2011. https://doi.org/10.1016/j.chb.2011.02.004
  4. E. Kross, P. Verduyn, E. Demiralp, J. Park, D. S. Lee, N. Lin, H. Shablack, J. Jonides, and O. Ybarra, "Facebook use predicts declines in subjective well-being in young adults," PloS one, Vol.8, No.8, 2013.
  5. C. E. Karlen and J. R. Daniels, "Cyberostracism and social monitoring: Social anxiety's effects on reactions to exclusion and inclusion online (Unpublished manuscript)," 2011. http://digitalcommons.iwu.edu/psych_honproj/147
  6. http://www.smh.com.au/digital-life/digital-life-news/being-ignored-on-facebook-can-lower-selfesteem-20140513-zrbjl.html
  7. http://www.theguardian.com/technology/2013/apr/28/facebook-loses-users-biggest-markets
  8.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4/13/0200000000AKR20150413163800702.HTML
  9. 장성희, 김승인, "폐쇄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사용성 평가 연구-네이버밴드와 카카오그룹을 중심으로," 디지털 디자인학 연구, 제14권, 제1호, pp.377-386, 2014.
  10. http://www.huffingtonpost.kr/2015/09/16/story_n_8143198.html
  11. 제러미 리프킨, 공감의 시대, 민음사, 2010.
  12. 박성희, 공감학: 어제와 오늘, 학지사, 2004
  13. P. D. MacLean, The triune brain in evolution: Role in paleocerebral functions, Springer Science &Business Media, 1990.
  14. 강민정, 윤주현, "공감을 이끌어내는 SNS 디자인 프레임워크 제안,"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1, pp.549-558, 2015.
  15. 요한 하위징가, 이종인(역), 호모루덴스-놀이하는 인간, 연암서가, 2010.
  16. C. Bucher, J. Shivers, and R. Bucher, Recreation for today's society (2nd ed.), Prentice/Hall International, 1984.
  17. 이정권, 최영, "소셜미디어 이용 동기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9권, 제1호, pp.115-148, 2015.
  18. 박현선, 김상현, "SNS 이용자의 폐쇄형 SNS로의 전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Information Systems Review, Vol.16, No.3, pp.135-160, 2014. https://doi.org/10.14329/isr.2014.16.3.135
  19. 소택화, 고준, "모바일 폐쇄형 SNS 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심층인터뷰와 실증분석," 정보시스템연구, 제24권, 제3호, pp.21-46, 2015.
  20. 이지영, 신재권, 이상우, "카카오스토리 이용패턴과 이용동기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제15호, 제1호, pp.379-387,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1.379
  21. http://www.etnews.com/20150316000215
  22.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newsid=01328406609308240&SCD=JE41&DCD=A00504
  23. 이영희, 여성을 위한 디자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5.
  24. M. L. Hoffman, Empathy and moral development: Implications for caring and just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25. S. I. Greenspan and B. L. Beryl, The Growth of the Mind: and the Endagered Origins of Intelligence, Da Capo Press, 1997.
  26. A. Aron, E. Melinat, E. N. Aron, R. D. Vallone, and R. J. Bator, "The experimental generation of interpersonal closeness: A procedure and some preliminary finding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23, No.4, pp.363-377, 1997. https://doi.org/10.1177/0146167297234003
  27. M. R. Mehl, S. Vazire, S. E. Holleran, and C. S. Clark, "Eavesdropping on happiness: Well-being is related to having less small talk and more substantive conversations," Psychological Science, Vol.21, No.4, pp.539-541, 2010. https://doi.org/10.1177/0956797610362675
  28.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38&aid=0002226731
  29. M. Burke, R. Kraut, and C. Marlow, "Social capital on Facebook: Differentiating uses and users," In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ACM, pp.571-580, 2011.
  30. N. L. Collins and L. C. Miller, "Self-disclosure and liking: a meta-analytic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Vol.116, No.3, p.457, 1994. https://doi.org/10.1037/0033-2909.116.3.457
  31. H. T. Reis and P. Shaver, "Intimacy as an interpersonal process," Handbook of personal relationships, Vol.24, No.3, pp.367-389, 1988.
  32. 김선정, 김태용, "SNS 콘텐츠의 감성이 사용자의 감정상태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제29권, 제1호, pp.5-47, 2012.
  33. S. Bakhshi, D. A. Shamma, and E. Gilbert, "Faces engage us: Photos with faces attract more likes and comments on instagram," In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ACM, pp.965-974. 2014.
  34. 송난희, 여성의 자기 고백적 글쓰기를 통한 상처받은 경험의 의미화와 치유에 관한 연구: 여성주의 사이트<언니네>의 자기만의 방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여성학협동과정 석사학위논문, 2002.
  35. 윤명희, "소셜네트워크에서 여성/주의 정체성의 복합적 수행," 페미니즘 연구, 제13권, 제1호, pp.131-169, 2013.
  36. 김수아, "온라인 글쓰기에서의 자기 서사와 정체성 구성," 한국언론학보, 제52권, 제5호, pp.56-82, 2008.
  37. 김종기, 한지연, "모바일 SNS 사용이 30-40 대 기혼여성의 대인관계 강화와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사용촉진 요인을 중심으로," 정보시스템 연구, 제23권, 제1호, pp.53-71, 2014.
  38. A. Aron, E. Melinat, E. N. Aron, R. D. Vallone, and R. J. Bator, "The experimental generation of interpersonal closeness: A procedure and some preliminary finding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23, No.4, pp.363-377, 1997. https://doi.org/10.1177/0146167297234003
  39. 최수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지속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IS 지속이용 모델과 고객 가치-만족-충성도 모델의 통합적 접근,"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제23권, 제4호, pp.1-28,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