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Diffusion of Main Information and Peripheral Information: Focusing on Visibility and Connectivity of Word based on Network Analysis

핵심 정보와 주변 정보의 확산 과정 연구: 단어의 가시성(visibility)과 연결성(connectivity) 분석을 중심으로 본 언론의 프레임

  • Received : 2015.11.16
  • Accepted : 2015.12.04
  • Published : 2016.03.28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of press report on the death of Beongen Yoo based on network analysis and how issue diffuses via Internet and SNS in mainstream news and conservative channels of comprehensive programming. Issue salience, word's visibility and word's connectivity are the main keyword and analysis criteria of this study. Conservative channel of comprehensive programming focused on the surrounding information rather than core information compared to Mainstream media, Conservative channels of comprehensive media was interested in Yu, Beongeon, an article left, brand, rumor of a body and Mainstream media focused on the results of DNA test. Mainstream media covers this case as the discovery of the Yu, Beongeon body, Mainstream media reported as 'the discovery of the body frame, conservative channels of comprehensive programming reports as blame of investigation at the first stage. The former focuses on the cause of death and the latter focuses on the raising of strong doubts frame at the second stage. In case of the third stage the latter covered on the emphasis of the surrounding information. They frames the issue differently based on network analysis. The view point of conservative channel of comprehensive programming is diffused via SNS. This study highlights the role of journalist of mainstream media in the process of agenda-setting

이 연구는 유병언 사망 사건과 관련된 언론 보도를 네트워크 분석하고, 이 사건이 소셜네트워크사이트를 통해 어떻게 확산되는지 이슈의 확산 과정을 네트워크 분석했다. 지상파 언론과 종편을 분석 대상으로 언론보도의 이슈 현저성, 단어의 가시성과 연결성을 분석했다. 네트워크 분석 결과 종편은 사건과 관련된 핵심 정보보다는 유병언 유류품, 브랜드, 시신에 대한 루머를 강조했고, 지상파 방송은 국과수의 DNA 검사 결과를 중심으로 보도했다. 시기별로 보면 1기 지상파는 '유병언 시신 발견 프레임'을, 종편은 '수사 비난 프레임', '명품 강조 프레임'으로 사건을 틀지었다. 2기 지상파는 '유병언 사인 분석 프레임'을, 종편은 '의혹 제기 프레임'을 강조했다. 3기 지상파는 몇 건 밖에 보도하지 않아 분석의 의미가 없고 종편은 '주변 정보 강조 프레임'이 부각되었다. 언론의 보도는 유투브와 SNS를 통해 확산되었는데, 네트워크 분석 결과 유병언 사망과 관련된 루머가 주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과 SNS의 발달로 독자들이 적극적으로 의견을 표출하면서 루머를 확산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음모론의 확산 과정에서 주류 언론은 종편의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보도에 밀려 영향을 발휘하지 못했음이 밝혀졌다.

Keywords

References

  1. 중앙일보 2014년 8월 1일자, 이규연의 시시각각 "죽은 유병언과 산 권은희".
  2. P. J. Shoemaker and S. D. Reese, Mediating the Messages :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 Second Edition, Longman Publishers: USA., 1996.
  3. M. Robert Entmann,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Vol.43, No.4, pp.51-58, 1993. https://doi.org/10.1111/j.1460-2466.1993.tb01304.x
  4. S. C. Zyglidopoulos and A. P. Georgiadis, Media Visibility as a Driver Corporate Performance, Working Paper Series, Cambridge Business School, 2006.
  5. 로이슈(Lawissue) 7월 25일자, 박지원 "유병언 사체 바꿔치기 괴담․․․ 신고자 매실밭 주인 휴대폰 통화기록 보면 끝!" 참조.
  6. P. J. Shoemaker and S. D. Reese, Mediating the Messages :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 Second Edition, Longman Publishers: USA., 1996.
  7. S. W. Litthlejohn, Theories of Human Communication, Ninth Edition. Thomson, 2008.
  8. E. F. Loftus, Eyewitness testimony, (2nd ed.)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96.
  9. 홍주현, "취재원으로서 SNS 정보와 언론의 매체 가시성(media visibility)과 정확성.자극성 연구: 트위터의 '강남역 맨홀 뚜껑 역류 사건'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8권, 제1호, pp.252-282, 2014.
  10. H. Reingold, Net Smart, 2012, 넷스마트: 구글, 페이스북, 위기, 그리고 그보다 스마트해야 할 당신, 문학동네, 김광수 옮김, 2014.
  11. B. Monahan, The Shock of the News:Media Coverage and the Making of 9/11, New York:NYU Press, 2010.
  12. K. Arceneaux and M. Johnson, Changing Minds Or Changing Channels? Partisan news in an age of choice. Chicago Studies in American Politic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2.
  13. 박성희, "제17대 대통령 후보 합동 토론 언어네트워크 분석- 북한 관련 이슈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제45권, pp.220-254, 2009.
  14. 홍주현, "18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의 연설문 네트워크 분석: 단어의 가시성(visibility)과 단어 간 연결성(connectivity)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29-44, 2014.
  15. 이승희, 임소혜, "트위터의 매체 간 의제설정: TV 토론 방송과 트위터의 여론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호, pp.139-149, 2014.
  16. A. Gille, H. Guille, H. C. Favre, and, D. A. Zighed, Information Diffusion in Online Social Networks: A Survey, SIGMOD Record, Vol.42, No.2, 2013.
  17. A. Jungherr, Twitter in politics: Lessons learned during the German Superwahljahr 2009, CHI, Atlanta, Georgia, USA., pp.10-15, 2010(4).
  18. J. Klausen, E. T. Barbieri, A. R. Minick and A. Y. Zelin, The YouTube Jihadists: A Social Network Analysis of Al-Muhajiroun's Propaganda Campaign, PERSPECTIVES ON TERRORISM, Vol.6, No.1, pp.36-53, 2012.
  19.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종편 시사.보도 방송언어 문제점 분석' 보고서, 2015.
  20. 홍주현, 이미나, "정부의 위기 상황에서 의제설정과정 참여자들의 메시지 분석: 파라벤 치약 논란과 정부의 대응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15권, 제7호, pp.460-476, 2015.
  21. E. F. Loftus, Eyewitness testimony, (2nd ed.)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96.
  22. 미래한국 2015년 8월 7일자, '괴담 제조기'로 전락한 종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