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the Policy Network in the Defense Industry Exportation Support Policy: Focusing on the Success of the T-50 Exportation to Indonesia

방산수출 지원정책에 관한 정책네트워크 연구: T-50 인도네시아 수출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 전종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대학원 공공정책학)
  • Received : 2015.11.10
  • Accepted : 2016.01.06
  • Published : 2016.03.31

Abstract

T-50 exportation to Indonesia embodied an objective of governmental policy and became a catalyst accelerating the exportation of domestic defense industries. Defense industry exportation is recognized as a new growth engine creating economic interests and it became an important policy of the government. This study will suggest an effective direction for the support policy of the defense industry exportation through analysis on factors behind the success of the T-50 exportation to indonesia in the view of policy network. Policy network theory has its efficacy and workability in analyzing what kind of results are yielded from each policy actor's attributes and their interaction during the execution and establishment of the support policy for the defense exportation. The type of policy network of the T-50 exportation to Indonesia was a policy community. Many governmental ministries, defense industry which is the group of interest, and experts from the research institutes have established the Korea Defense Trade Support Center(KODITS) for accomplishing common policy goal with mutually shared sentiment, and sought for a strategy for the success of the defense industry exportation having official and unofficial meeting centering around the KODITS. Although there were oppositions and conflicts among major actors, though forming a cooperative relationship among majority of the actors, policy-wise decision making for the exportation of the T-50 to Indonesia was efficiently carried out.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was the key in the success of the T-50 exportation. Considering that the policy community from cooperative mutual interaction is efficient in reaching the goal of the defense industry exportation support policy, this study suggests operating government-wise temporary Task Force(TF) to succeed in big exportation projects such as the T-X exportation to the U.S. In addition, institutional and procedural supplementation such as regular meetings among the head of related governmental ministries and etc. are required in order to enhance the mutually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ing the TF.

T-50 인도네시아 수출은 정부의 정책목표를 구현하고 국내 방산업체들의 해외수출활동을 촉진시키는 촉매제가 되었다. 방산수출은 국가의 위상을 높이고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신성장 동력으로서 인정받게 되었으며 정부의 주요 정책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였다. 본고는 T-50 인도네시아 수출 성공의 동인(動因)을 정책 네트워크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효과적인 방산수출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정책네트워크 이론(Policy Network Theory)은 방산수출 지원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과정에서 각 정책행위자들의 속성과 그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이 어떤 산출물을 가져왔는지를 분석하는 데에 유용성과 적실성을 갖았다. T-50 인도네시아 수출에 관한 정책네트워크는 정책공동체(policy community) 유형으로서 다수의 정부부처와 이익집단인 방산업체, 그리고 연구기관의 전문가들이 공동의 정책목표 달성을 위해 상호 공감대를 형성하여 범정부조직인 방산물자교역지원센터(KODITS)를 창설하고 이를 중심으로 행위자들이 공식 비공식 접촉을 지속하면서 수출 성공을 위한 전략을 모색하였다. 일부 주요 정책행위자 사이에 대립과 갈등이 존재했으나, 다수의 행위자가 강한 협력의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T-50 인도네시아 수출을 위한 정책결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고, 그것은 T-50 수출 성공의 중요한 동인이 되었다. 시사점으로 협력적 상호작용에 의한 정책공동체 유형이 방산수출 지원정책의 목표 달성에 유용함을 고려, 미국에 대한 훈련기(T-X) 수출 등 대형 방산수출프로젝트 추진시 범정부차원의 한시적 테스크포스(TF)를 운영할 필요가 있으며 TF에 참여한 기관들이 상호 협력의 관계를 강화할 수 있도록 기관장들간 정기적인 논의의 장 마련 등 제도 절차적 보완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민 (2010), 방산물자교역지원센터 향후 발전방향, 서울: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보고서.
  2. 김시권 (2012), "한국 방위산업체의 수출경쟁력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성준 (2015), "(주)KAI 사례연구: FA-50 경전투기 수출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영란 (2010), "방산물자 수출마케팅 연구: 항공기 수출사례를 중심으로", 숙명여대 국제관계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용남 (2012), "방산수출 활성화를 위한 전략수립 연구", 한국경영교육학회 2010년도 추계 학술발표논문.
  6. 김주환 (2004), "정책네트워크의 변화와 정책반응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현 (2011), "T-50 헐값 수출? 포니보다 더 역사에 남을 것",데일리안, 2011년 4월 15일, URL: http://www.dailian.co.kr/news/view/244644
  8. 방위사업청 (2014), 방위사업 통계연보.
  9. 박해육.고경훈 (2007), 지방자치단체 정책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임실군 치즈벨리 지역혁신 사례를 중심으로 , 서울: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0. 배응환 (2001), "정책네트워크모형의 행정학연구에 적용탐색", 한국행정연구 , 제10권 제3호, pp. 258-298.
  11. 송희준 (2009), "정책네트워크와 공공거버넌스", 이화학술원 교수포럼.
  12. 안영수 (2012), 방위산업의 경쟁력 분석과 주요국의 수출방안 , 서울: 산업연구원.
  13. 안영수 (2014), 정부간거래의 부상과 우리 기업의 수출 촉진전략: 방산 및 보안산업을 중심으로, 서울: 산업연구원.
  14. 이성휘 (2015.9.1), "코트라 방산물자교역지원센터는 산업부 공무원의 쉼터", 뉴스토마토, http://thin-barked23.rssing.com/browser.php?indx=12790367&item=48222
  15. 이순호 (1999), "노동복지정책네트워크의 변화: 고용보험제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이정훈 (2009.4.30), "T-50 해외수출 좌절 내막(1): 정권 따라 춤추는 防産 인사.정책 난맥", 신동아 , pp. 248-259.
  17. 임도빈 (2009), "질적 연구 방법의 내용과 적용전략: 양적인 질적 연구와 질적인 질적 연구", 정부학연구, 제15권 제1호, pp. 155-188.
  18. 임치규 (2010), "방위산업육성 정책이 방산업체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유현민 (2011.4.12), "최대한 낮춘 가격 주효..경쟁기종 사고로 반전", 연합뉴스.
  20. 유순길 (2003), "방산물자의 수출 장애요인 분석 및 활성화 방안 연구", 국방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윤석환 (1996), "정보통신정책영역에 있어서의 정책연계망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장영길 (2013), "정부와 이익집단 간의 정책네트워크 연구: 건설산업의 분리 발주 제도 폐지 추진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장원준.안영수.김정호 외 (2012), "주요 방산수출국가의 수출지원제도 분석과 시사점", KIET산업경제, 164, pp. 19-29.
  24. 한기훈 (2005), "방산물자 수출활성화 방안 연구: AHP를 이용한 정책 개선을 중심으로", 국방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한국항공우주산업 홈페이지, http://www.koreaaero.com
  26. 홍성만 (2006), "정책네트워크 분석: 정책행위자간 동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정책현상 규명하기", 국토, 통권297호, pp. 120-127.
  27. 홍종윤 (2010), "한국 방송 정책결정 과정의 역동성: 정책옹호연합체론을 통한 방송 정책결정 체계 이론의 재구성", 한국언론학보, 제54권 제6호, pp. 201-226.
  28. Heclo, H. (1978), "Issue Networks and the Executive Establishment", In Anthony King (ed.), The New American Political System (pp. 87-124),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Institute.
  29. Jordan, G. and K. Schubert (1992), "A Preliminary Ordering of Policy Network Labels", European Journal of Political Research, Vol. 21, No. 1-2, pp. 7-27. https://doi.org/10.1111/j.1475-6765.1992.tb00286.x
  30. Knoke, D. and J. Kuklinski (1982), "Network Analysis", Beverly Hills, CA: Sage.
  31. Lewis, J. M., G. Robins and P. Wang (2012), "Statistical Network Analysis for Analyzing Policy Networks", Policy Studies Journal, Vol. 40, No. 3, pp. 375-401. https://doi.org/10.1111/j.1541-0072.2012.00458.x
  32. Leifeld P. and V. Schneider (2012), "Information Exchange in Policy Networks",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Vol. 56, No. 3, pp. 731-744. https://doi.org/10.1111/j.1540-5907.2011.00580.x
  33. Marsh, D. and R. A. W. Rhodes (1992), "Policy Communities and Issue Networks: Beyond Typology", In D. Marsh and R. W. A. Rhodes (ed.), Policy Networks in British Government, pp. 249-287, Oxford: Clarendon Press.
  34. Rhodes, R. A. W. (1990), "Policy Networks: A British Perspective", Journal of Theoretical Politics, Vol. 2, No. 3, pp. 219-318.
  35. Rhodes, R. A. W. (1997), Understanding Governance: Policy Networks, Governance, Reflexivity and Accountability,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36. Sandstrom, A. & Carlsson, L.(2008), "The Performance of Policy Networks: The Relation between Network Structure and Network Performance", Policy Studies Journal, Vol. 36, No. 4, pp. 497-524. https://doi.org/10.1111/j.1541-0072.2008.00281.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