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Review on the Pharmacopuncture Used in Herpes Zoster Related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한의학 학술지에 게재된 대상포진 임상논문에서 사용된 약침에 관한 고찰

  • Cho, Young-Sun (Dept. of Oriental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 Dermatology, College of Korean Medicine, Gachon University) ;
  • Sim, Sung-Yong (Dept. of Oriental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 Dermatology, College of Korean Medicine, Gachon University)
  • 조영선 (가천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
  • 심성용 (가천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 Received : 2016.01.09
  • Accepted : 2016.02.10
  • Published : 2016.02.25

Abstract

Objective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trends of pharmacopuncture used to treat Herpes Zoster related articles that have been published in the Korean medicine journal.Method : We studied 14 research papers treated with pharmacopuncture for Herpes Zoster in Korean medicine journal. We analyzed for type of pharmacopuncture used, treatment point and clinical type.Results : 1. The number of searched journal is 14 papers. 2. The most common clinical type is herpes zoster generalisatus. Others types are postherpetic neuralgia, ramsay hunt syndrome, herpes zoster ophthalmicus, postherpetic paralysis 3. Pharmacopunctures used to treat herpes zoster are BV, Hwangreonhaedok-tang pharmacopuncture, Ginseng Pharmacopuncture, CF, JsD, Immuno-yakchim, etc. The most frequently used type of harmacopuncture is BV. 4. The most used part as a treatment point is a-shi point.Conclusions : It is needed to improve the cure rate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Herpes zoster treatments.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treatments to increase the cure rate of about Herpes zoster.

Keywords

Ⅰ. 서 론

대상포진(Herpes Zoster)은 잠복되어 있는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의 재활성화에 의해, 피부 신경절을 따라 편측성의 군집성 수포성 피부발진, 신경통 등을 형성하는 질환이다1,2). 주로 침범한 하나의 신경분절에 편측성으로 홍반구진과 반점, 수포를 형성하지만, 드물게 다발성 또는 전신성으로 발생할 수 있다3,4). 일반적으로 발진이 발생하기 수일(평균 4~5일) 전부터 동통, 압통, 감각 이상이 발생하며, 특히 60대 이상에서는 가벼운 자극에도 과민반응이 흔히 나타난다3). 발생 부위는 흉추 신경피절에서 가장 높으며, 삼차신경, 경추 신경피절의 순으로 자주 발생한다5). 일시적인 면역기능 저하, 물리적 및 기계적 손상, 악성 종양, 면역억제제 투여 등의 다양한 인자에 의해 재활성화되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6). 주로 노인이나 세포 면역이 저하된 경우에 병발한다7). 드물게 환자가 통증을 호소하지만 피부 병변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며, 보통 고령인 경우 발병률이 증가하고 피부발진의 중증도와 지속 기간, 통증이 더 심하게 나타난다5,7,8).

한의학에서 대상포진은 그 임상증상과 발병부위의 유사성으로 纏腰火丹, 蛇串瘡, 甑帶瘡 등으로 알려져 있다9). <醫宗金鑑·外科心法要訣>에서 “纏腰火丹俗名蛇串瘡 有乾濕不同 紅黃之異 皆如累累珠形.”라고 특징을 설명하고 있으며10), 대상포진의 발병 원인으로는 情志內傷으로 肝鬱氣滯하여 久則化火하여 火毒이 피부에 나타난 것, 脾의 健運失調로 濕熱이 발생하여 피부에서 相搏한 것, 體弱하여 氣血凝滯하였을 때 毒邪에 감수되어 발생한 것 등 다양하다9).

최근 들어 대상포진 환자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2009년부터 2014년까지 대상포진(B02) 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자료를 기준으로 대상포진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9년 45만 명에서 2014년 64만 명으로 연평균 7.3% 증가하였다11).

대상포진의 발생이 증가함에 따라 합병증 발생도 증가하고 있는데, 가장 흔한 합병증인 포진후 신경통은 고령일수록 이행률이 증가하며, 급성통증의 강도나 발진의 정도가 심하거나 심한 전구 증상이 있는 경우에도 포진후 신경통으로 이행할 가능성이 높다11,12). 한번 발생하면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지속적인 통증으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초래하여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12).

이처럼 대상포진 환자가 증가와 합병증의 예방을 위해 대상포진 치료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대상포진의 치료는 통증을 억제뿐만 아니라, 포진후 통증 등의 합병증을 예방하거나 최소화하는 것으로, 피부병변의 빠른 치유와 통증감소, 포진후 신경통의 발생빈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발진 시작 72시간 이내에 경구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하며, 스테로이드, 진통제, gabapentin 등의 투여나 교감신경 차단술 등을 시행하기도 하고 예방을 위해 예방접종을 권장하기도 한다1,12).

한의학적 치료로는 치료로는 龍膽瀉肝湯, 除濕胃苓湯, 柴胡淸肝湯, 逍遙散, 活血祛瘀湯 등의 한약처방, 淸熱解毒약류가 주로 사용되는 외용약, 침, 이침 등이 복합적으로 사용되는데10), 다용되는 치료방법 중 하나가 약침요법이다.

지금까지 대상포진에 대해 보고된 내용은 대부분이 증례논문으로, 기존에 나온 논문들의 치료방법과 그 효과에 대해 종합적으로 분석한 논문은 거의 보이지 않았다. 이에 현재까지 국내 한의학 학술지에 보고된 대상포진 관련 임상 논문 중 약침을 사용한 논문에 대해 분석해보고 그 경향성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연구 대상은 전통의학정보포털 OASIS (http://oasis.kiom.re.kr), 한국전통지식포탈 (http://www.koreantk.com)에서 ‘대상포진’, ‘Herpes Zoster', 'Ramsay Hunt'을 검색어로 하였을 때 검색된 한의학논문 109편 중 중복검색 되었거나 원문을 찾을 수 없는 논문 27편을 제외한 총 82편의 논문의 내용을 수기로 확인하여 임상 논문 중 치료 방법으로 약침에 대해 기술되어 있는 논문 14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2. 연구 방법

이상에서 검색된 14편의 논문들을 연도별, 학회지별로 게재된 논문의 수를 분석하여 논문들이 게재된 경향성을 파악하였고, 각 논문에서의 치료 대상, 치료에 사용한 약침의 종류와 사용부위를 위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Ⅲ. 결 과

1. 논문의 경향

1) 게재 연도별 논문 수

2000년 1편, 2001년 2편, 2004년에는 1편이 게재되었고 2007년부터는 2009년을 제외하고는 적어도 한편의 논문이 지속적으로 게재되었다.

Fig. 1.Flow Chart of Study Selection Process

2) 학회지별 게재 논문 수

학회지 별로 게재된 논문의 수를 보면 14편의 논문 중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이 5편으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침구학회지가 2편이었으며, 그 외에 대한한의학회지, 대한동의생리병리학회지,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대한약침학회지, 대한면역약침학회지, 사상체질의학회지, 동서의학 등의 학회지에 각각 1편씩이 게재되었다.

2. 임상유형에 따른 분류

논문별 증례에서 치료 대상이 된 대상포진의 유형을 세분화하였다. 하나의 논문에 여러 개의 증례가 있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증례의 수로 계산을 하였다. 그 결과 총 42건의 증례 중에 범발성 대상포진인 경우가 28건(66.7%)으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였고, 포진 후 통증이 6건, Ramsay Hunt 증후군이 5건, 안구대상포진이 2건, 포진 후 마비가 1건이었다(Table 1).

Table 1.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Clinical Type of Herpes Zoster

3. 논문에서 사용된 약침 종류 및 부위 (Table 2)

Table 2.① G : Ginseng Pharmacopuncture ② HH : Hwangryunhaedok-tang Pharmacopuncture

각 논문에서 사용한 약침의 종류와 시술 부위를 살펴보았다. 하나의 논문에 여러 개의 증례가 있는 경우도 있었지만 사용된 약침과 시술 부위는 유사하였기에 약침을 사용한 빈도를 논문의 편수로 계산하였다.

14편의 논문 중 가장 많이 사용된 것은 BV로 총 7편의 논문에서 사용되었다. 그 다음으로는 황련해독탕 약침액으로 5편의 논문에서 사용되었으며, 그 외에는 CF(紅花), JsD(胡桃), 면역약침(MOK, V(麝香, 熊膽, 牛黃 등), D(V의 변방), S, CS(朱木)), 산삼약침, CFC, N/S 등이 각 1편씩 사용되었다.

시술 부위를 살펴보면 阿是穴과 환부 주변 경혈점을 주로 사용하였다. 특히 범발성 대상포진이나 포진후 통증의 경우에는 시술 부위를 특정 경혈로 지정하기에 어려움이 더 많기에 아시혈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았고, Ramsay Hunt 증후군이나 안구 대상포진과 같은 경우는 안면부의 경혈점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Ⅳ. 고 찰

대상포진에 대한 임상 논문들을 살펴보면 치료방법 중의 하나로 약침이 다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약침은 1960년대 본격적인 연구결과가 소개된 이후 많은 발전을 거듭하여 다양한 약침제제와 치료 기술이 개발되었다. 약침은 효과가 신속하며, 예후를 판단하기 쉽게 정량화시킬 수 있고, 효과대비 부작용이 적다는 이점이 있어 임상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13).

OASIS와 한국전통지식포탈에서 대상포진의 치료 방법으로 약침을 사용한 한의학 증례논문을 검색한 결과 총 14편이 대상이 되었다. 14편의 논문들을 게재된 연도별, 학회지별로 분석한 결과 2000년 이후로 매년 약 1편의 논문이 꾸준히 게재되고 있었으며,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에 게재된 경우가 5편으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였다.

각 논문의 증례에서 환자의 임상유형을 분석한 결과 범발성 대상포진을 치료한 경우가 총 42건 중 28건으로 대다수를 차지하였고, 그 외에는 포진 후 통증과 Ramsay Hunt 증후군, 포진 후 마비 등이 있었다. 그 중 포진후 통증은 대상포진의 가장 흔하고 심각한 합병증이며, 만성 통증으로 인해 육체적, 정서적 장애를 보여 통증의 감소뿐만 아니라 우울이나 불면증 등과 같은 증상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포진 후통증 이외의 대상포진의 합병증으로는 뇌염, 망막염, 척수염, 대측의 지연성 편측 부전마비, 포진후 소양증 등이 있다11).

각 논문에서 사용된 약침을 살펴보면 총 14편 중 7편에서 봉약침(BV), 5편에서 황련해독탕 약침액을 사용하였고, 산삼약침, CF, JsD, 면역약침 등이 각 1편씩 사용되었다.

봉약침은 독낭에서 봉독을 추출, 가공하여 약침 제제로 만든 후 질병과 유관한 부위 및 혈위에 주입함으로써 자침의 효과와 봉독의 생화학적 약리 작용을 동시에 이용하여 생체의 기능을 조정하고 병리 상태를 개선시켜 질환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치료법이다14). 항염, 소염, 진통, 면역조절기능, 항균, 항바이러스 효과, 해열, 혈관투과성 촉진효과가 있으며, 신경계의 흥분작용을 통해 신경장애를 개선하는 효과도 있다15).

황련해독탕은 黃連, 黃柏, 黃芩, 梔子로 구성된 처방으로 일절의 火熱症을 淸熱瀉火解毒시키는 처방이다. 황련해독탕 약침은 팔강약침에 속하는 것으로 황련해독탕을 증류 추출한 후 냉각, 여과 과정 등을 거쳐 사용하는데, 淸熱解毒의 효능으로 三焦實熱, 虛火上衝의 標治에 쓰이고 두통, 항강, 불면, 열성피부병, 心火, 肝膽火, 肺火 등에 응용한다16,17).

山蔘은 대표적인 補氣劑로 두릅나무과에 속한 다년생 초목인 人蔘(Panax ginseng C.A.Mey.)이 야생상태에서 자연 발아하여 성장한 蔘이며, 산양산삼은 산삼을 인위적으로 재배한 것으로 산삼약침은 산양산삼을 사용한다. 현재까지 보고된 효능은 신경기능, 체액과 신진대사기능 조절, 강심, 항이뇨 및 성기능 증강효과, stress에 대한 저항력 증진, 염증 억제, 항산화, 면역항제 생산의 촉진 등이며, 산삼약침에 대한 기존 연구에서는 항산화, 항암, 항암제에 대한 정상세포의 방어효과와 면역조절기능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18-20).

CF (Carthami Fructus)는 活血通經, 散瘀止痛하는 효능이 있는 紅花子를 원료로 만든 것으로, 척추질환, 관절질환, 연부조직 손상, 타박상, 월경불순, 허증 변비, 근육경결 등에 시술되고 있다21,22). JsD (Juglans sinensisDode)는 補腎固精, 溫肺定喘, 潤腸의 효능이 있어 腎虛喘嗽, 腰痛脚弱, 遺精 등에 사용되어온 胡挑를 원료로 만든 것으로, JsD 약침은 진통, 항산화, 항알레르기 등에 효과가 있다는 실험 보고가 발표되었으며, 근육과 골의 만성통증성 질환에 사용할 수 있다22,23).

면역 약침(MOK, V, D, S, CS)은 경락이론과 기미이론을 접목하여 인체의 경락에 약침을 주입하여 치료하는 방법으로 모두 세포독성 및 유전독성이 없으며, 항산화 효과와 항염증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또한 인체의 기혈 순환을 도와주고, 면역저하의 원인 중의 하나인 스트레스, 우울 성향을 치료하기에 면역을 강화시키고 대상포진을 치료한다24). MOK 약침은 자하거 추출물인 M과 OK(우황, 사향, 웅담)를 혼합하여 만든 약침액으로, 심장질환, 갑상선 질환, 수면장애 등의 다양한 질환에 사용된다25,26). V 약침은 사향, 웅담, 우황 등의 한약제로 조제한 약침액으로 주로 소염, 진통작용에 사용하며, 항산화, 항염 작용 등이 우수하다는 연구가 있다27). D 약침은 V 약침의 변방으로 V 약침에 비해 웅담과 사향의 비율이 높아진 약침으로 임상에서는 디스크 초기 염증이 심하거나 급성기 요통일 때 사용된다. S 약침은 Rg3와 인삼을 발효시 생산되는 F2, Compound K ginsenoide가 특이하게 함유되어 항암 및 대사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4). CS 약침은 주목에서 추출한 성분을 사용하는 약침으로 임상적으로 주로 진통작용을 목표로 사용한다29)(Table 3).

Table 3.The Compositions and Effects of Pharmacopuncture

대상포진은 잠복해 있던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의 재발로 인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봉약침, 산삼약침 등의 항염, 항바이러스, 면역력 강화 등의 효과가 있는 약침액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 중에서도 봉약침이 가장 높은 빈도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봉약침의 효과에 대해 여러 실험연구와 임상들로 다양하게 검증되었기에 다른 약침액에 비하여 광범위하게 다빈도로 사용되는 것이 이유 중 하나라고 생각된다. 산삼약침을 사용한 경우는 산삼의 염증 억제, 면역력 강화 등의 효능으로 생각해보면 항염의 효과도 있지만 산삼의 補氣효과를 이용하여 스트레스나 만성 피로 등으로 신체 면역력이 저하되어 있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사용을 하였고, 면역 약침의 경우에는 다양한 약침을 병행하여 사용함으로써 인체의 정기를 강화하고 外邪를 瀉하여 질병을 치료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대상포진의 수포, 발적, 작열감 등의 피부증상들이 熱毒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보아 淸熱瀉火解毒효과가 탁월한 황련해독탕 약침이 다수의 대상포진 치료에 활용된 것이라 생각한다. 이와 달리 CF와 JsD 약침액은 Ramsay Hunt 증후군의 회복기(통증이 경감된 이후)에 사용되었기에, 이는 소염, 진통보다는 안면마비 증상에 초점을 두고 사용이 된 것이라 생각된다.

대상포진의 치료 시 사용되는 경혈은 환부 주위를 기본으로 少陽, 厥陰, 足陽明, 太陰, 手少陽의 경혈을 瀉하며, 熱盛한 경우에는 合谷, 大椎를 사용한다30). 대상포진 14편의 논문을 살펴보았을 때 아시혈과 주변 경혈이 주된 혈로 사용되었으며, Ramsay Hunt증후군이나 안구 대상포진의 경우 안면부 혈위들이 주로 사용되었고, 이후통이 있는 경우에는 翳風(TE17), 腕骨(GB12) 등이 사용되었다. 원위부 혈로는 合谷, 曲池 등의 혈이 사용되었다.

대상포진의 약침치료에 대해 종합해보면 대부분 항염, 항바이러스, 면역력 강화의 효능을 가진 약침들이 사용되었으며, 그 시술 부위는 아시혈을 위주로 취혈하였다. 이상의 개념에서 생각해 볼 때 위에서 언급된 약침의 종류 이외에도 유사한 효능의 약침액을 대상포진 치료에 응용해 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며, 그와 관련된 실험과 임상 보고가 더욱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본 논문은 그동안 보고된 대상포진에 대한 임상 논문들에서 약침이 사용된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하지만 대상 논문들에서 한약 등의 여러 가지 치료방법을 병행하여 사용하였기에 약침의 효능으로 대상포진이 치료되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또한 대상포진의 치료방법으로 활용되는 여러 치료법 중에 약침만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전체적인 치료법을 파악하기에는 미진한 부분이 있다. 그러므로 약침뿐만 아니라 다른 치료 방법에 대해서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현재 활용되고 있는 치료에 대한 파악을 용이하게 하고, 치료율을 더욱 높이는 방향으로 발전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Ⅴ. 결 론

현재까지 보고된 대상포진에 대한 한의학 임상논문 중 약침을 치료방법으로 사용한 논문 14편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References

  1. Whitley RJ. Varicella-Zoster Virus Infections. In:Kasper DL, Hauser SL, Longo DL, Jameson JL, Loscalzo J. Harrison's Princiles of Internal Medicin. 17th ed. New York:McGraw-Hill. 2008:1102-5.
  2. Song JY, Chung BS, Choi KC, Shin BS. A 5-Year Period Clinical Observation on Herpes Zoster and the Incidence of Postherpetic Neuralgia (2002∼2006); A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Historical Control Group of a Previous Study (1995∼1999). Korean J Dermatol. 2008;46(4):431-6.
  3. Korean Dermatological Association. Textbook of Dermatology. Seoul;Daehan medi. 2014:468-70.
  4. Kim SJ, Kang JD, Yoon NH, Park SD. A Case of Herpes Zoster Duplex Bilateralis. Korean J Dermatol. 2004;42(3):367-9.
  5. Lee JA, Yoon NH, Park SD. A Clinical Study of the Nature of Pain Associated with Herpes Zoster. Korean J Dermatol. 2006;44(11):1298-303.
  6. Kim YJ. Clinical Observation of Postherpetic Neuralgia in Patients with Herpes Zoster. Korean J Dermatol. 2001;39(12):1364-9.
  7. KoMGI. Guideline of Herpes Zoster and Postherpetic Neuralgia Patients. 2008. Available from:URL:http://www.guideline.or.kr/func/download_renew.php?number=17
  8. Kim CG, Na CH, Choi KC, Shin BS. A Comparative Study of the Clinical Findings Associated with Herpes Zoster and According to Age. Korean J Dermatol. 2009;47(12):1338-44.
  9. Kim SB, Kim JH, Lim KS. A Literature Study on Herpes Zoster.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1994;7(1):85-94.
  10. National Oriental Medical School Dermatology & Surgery Textbook Editing Board. Text of Traditional Korean Dermatology & Surgery. Busan:Sunwo Publisher. 2007:427-31.
  11.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mmune Disease, Herpes Zoster Patients, Frequently in Women over 50. 2015. Available from: URL:http://www.nhis.or.kr/bbs7/attachments/20173
  12. Lee IH, Kim BS, Lee SC, Jo DH. The Effect of Stellate Ganglion Block on the Pain of Acute Stage and the Prevention of Postherpetic Neuralgia in the Treatment of Senile Herpes Zoster Patients. Korean J Dermatol. 1999;37(5):571-9.
  13. Hong KE. Analysis Study of Survey for Safety and Efficacy of Pharmacopuncture. J of Kor institute of pharmacopuncture. 2010;13(3):91-102. https://doi.org/10.3831/KPI.2010.13.3.091
  14. Ko HG, Kwon KR, In CS. Bongdokyakchimyobeob. Seoul: Kyunghee University publisher. 2003:1-16.
  15. Kang MS. A Clinical Study on the Case of Herpes Zoster Otiucus Occurred in Pregnancy Treated with Bee Venom Pharmarcopuncture. The Acupuncture. 2010;27(2):155-60.
  16. Hong CH. Two cases of Seborrheic Dermatitis treated by Hwangryunhaedok-tang Pharmacopuncture Therapy. J Oriental Med Surgery,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2012;25(2):68-75. https://doi.org/10.6114/jkood.2012.25.2.068
  17. Cho JY, Kim YJ, Kim EJ, Lee SD, Kim KS. The Effects of Hwangryunhaedok-tang Pharmacopuncture by the Anti-inflammatory Action of Suppression of iNOS Production on Mice with Allergic Rhinitis. The Acupuncture. 2012;29(1):89-101.
  18. Lee YE, Lee HJ, Kim JS. The Anti-wrinkle Effects of Cultivated Wild Ginseng Pharmacopuncture. The Acupuncture. 2015;32(2):97-103. https://doi.org/10.13045/acupunct.2015023
  19. Baek SH, Lee IH, Kim MJ, Kim EJm Ha IH, Lee IH, et al. Component Analysis and Toxicity Study of Combined Cultivated Wild Ginseng Pharmacopuncture. J Int. Korean Med. 2015:36(2)189-99.
  20. Kim YJ, Lee JM, Lee E.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cultivated wild ginseng pharmacopuncture. J Meridian Acupoint. 2010;27(1):31-7.
  21. Choi SW, Park PB, Oh SJ. A Case Report of Carpal Tunnel Syndrome with Raynaud's Phenomenon Treated by Bee Venom and Carthami Flos Pharmacopuncture. J of Kor institute of pharmacopuncture. 2009;12(1):103-8. https://doi.org/10.3831/KPI.2009.12.1.103
  22. Kwon K, Park YH. Two case studies of Ramsay Hunt syndrome. J Oriental Med Surgery, Ophthalmol Otolaryngol. 2001;14(2):183-93.
  23. Jang SC, Lee YT, Song CH. The Effects of Herbal-acupuncture with Juglandis Semen on the Anti-allergic Reaction. J Meridian Acupoint. 2003;20(3):81-90.
  24. Lee HS, Lee H, Sohn IM, Lee DJ. Clinical Effectiveness of Immono-Yakchim in Herpes Zoster : A case Series. Korea Immuno-Yakchim Society. 2014;3(2):31-40.
  25. Hwang JH. A Case Report of Hwa-byeong with MOK Herbal Acupuncture Therapy. Korea Immuno-Yakchim Society. 2013;2(1):43-55.
  26. Kim HJ, Gwan R, Han JW, Jung C, Park KH. Analysis of Physioactivities on MOK Yakchim. Korea Immuno-Yakchim Society. 2013;2(1):17-25.
  27. Kim HJ, Gwan R, Han JW, Jung C.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V Yakchim. Korea Immuno-Yakchim Society. 2013;2(1):1-8.
  28. Kim HJ, Gwan R, Han JW, Jung C. Park KH. Analysis of Physioactivities on D Yakchim. Korea Immuno-Yakchim Society. 2013;2(1):27-34.
  29. Kim HJ, Kim SK, Choi IH, Jung C, Lu HY, Doo KH, et al.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CS Yakchim. Korea Immuno-Yakchim Society. 2013;2(1):43-51.
  30. Korea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Textbook Editing Board. Th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Medicine. Kyounggi:Jipmoondang. 2012:876-7.

Cited by

  1. 대상포진의 급성기 치료에 대한 국내 연구 현황 : 증례 보고 분석 vol.33, pp.1, 2020, https://doi.org/10.6114/jkood.2020.33.1.056
  2. 국내 증례 보고를 통해 본 대상포진의 한방 단독 치료와 한·양방 협진 치료의 효과 분석 vol.34, pp.1, 2016, https://doi.org/10.6114/jkood.2021.34.1.044
  3. A Review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Postherpetic Neuralgia vol.38, pp.4, 2016, https://doi.org/10.13045/jar.2021.00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