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정보활용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 투고 : 2016.02.18
  • 심사 : 2016.03.14
  • 발행 : 2016.03.30

초록

본 연구는 정보활용교육의 효과를 메타분석 방법으로 통합하여 제시하고자 45편의 연구에서 총 69개의 효과크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무선효과 모형을 적용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활용교육의 전체 효과크기 평균은 0.72(Hedges'g)로 Cohen의 해석기준에 의하면 중간 이상 크기를 보였다. 둘째, 정보활용 교육을 단독형태와 교과연계형태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두 가지 유형 모두 중간 이상 크기의 효과가 있으며 유형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셋째, 정보활용교육의 효과크기는 측정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변인별 효과크기는 정보활용능력, 인지적 특성, 문제해결능력, 학업성취,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정의적 특성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상학년, 연구설계 유형, 측정도구 형태가 효과크기의 차이를 설명하는 조절변수로 나타났다. 메타분석결과를 종합하면 정보활용교육은 교육유형, 연구특성 등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이며 중간크기 이상의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size the effects of th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using meta-analysis. Results using random-effect models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ES)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Hedges'g) was 0.72, which could be interpreted based on Cohen's guidelines as moderate to large. Second, the two types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demonstrating more than medium ES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ESs. Third, the ESs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differed depending on the measuring variables. Fourth, grade, study design and the form of the measurement tool were moderator variables that explain the differences in ESs. In sum, the effects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having more than medium effect size, seem quite stable across instruction types and study designs.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은경. 2006. 미국 학교도서관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연구에 대한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3): 381-414. (Kwon, Eun-Kyung. 2006. "A Study on the Impact of School Library Programs on Student Achievement in the US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7(3): 381-414.)
  2. 기민진. 2013. "국어교과의 도서관협력수업이 중학생의 학습흥미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문헌정보교육전공. (Ki, Min-Jin. 2013. A Study of the Effect of Korean Language subject through Library Based Instruction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Interest and Academic Achievement. M.A. thesis. Kongju University.)
  3. 김성준. 2011. 학교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을 위한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3): 271-292. (Kim, Sung-Jun. 201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Literacy Textbook, School Library and Information Literac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3): 271-292.)
  4. 김수정. 2015. 문헌정보학 분야 정보활용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6(3): 207-239. (Kim, Soojung. 2015. "Research Trends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6(3): 207-239.) https://doi.org/10.14699/kbiblia.2015.26.3.207
  5. 김지영 외. 2015. 통합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3): 403-417. (Kim, JiYoung et al. 2015.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Integrated Education Researc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5(3): 403-417.)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3.0403
  6. 노정순. 2008. 문헌정보학 분야에서 메타분석 연구에 관한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1): 45-61. (Ro, Jung-Soon. 2008. "A Review of the Meta-Analysi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1): 45-61.) https://doi.org/10.4275/KSLIS.2008.42.1.045
  7. 박수희. 2005. "대학생을 위한 웹기반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Park, Soo-Hee. 2005. Development of web-based information literacy program for undergraduate students and its effect analysis. M.A. thesis. Soongsil University.)
  8. 박종배. 2014. 대학생의 도서관 이용과 학업성취도 간의 영향관계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2): 5-27. (Park, Jong-Bae. 2014. "The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Academic Library Usage and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5(2): 5-27.)
  9. 박주현, 장우권. 2014. PISA 2009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교도서관 변인의 영향력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1(3): 331-351. (Park, Ju-Hyoen and Woo-Kwon Chang. 2014. "Analysis of PISA 2009 Impacts of School Library Level Variables on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3): 331-351.) https://doi.org/10.3743/KOSIM.2014.31.3.331
  10. 박현영. 2006. "도서관불안척도의 개발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ark, Hyun-Young. 200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brary Anxiety Scales. Ph. D. diss. Chungang University.)
  11. 서만덕, 남영준. 2010. 정보활용능력 분야 학위논문 분석을 통한 양적 연구 동향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7(4): 309-328. (Seo, Man-Deok and Young-Joon Nam. 2010. "A Research on the Trend of Quantitative Research through the Analysis of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of Information Literac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7(4): 309-328.) https://doi.org/10.3743/KOSIM.2010.27.4.309
  12. 양소라. 2010. "메타분석과 실증연구를 통한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Yang, Sora. 2010. Meta-analysis and empirical study on the educational excellence of students through library-assisted instruction. M.A. thesis. Yonsei University.)
  13. 오성삼. 2002. "메타분석의 이론과 실제". 서울: 건국대학교 출판부. (Oh, Sungsam. 2002. Meta-analysis: theory and practice. Seoul: Konkuk University.)
  14. 윤희윤, 김신영. 2006. 대학도서관의 온라인 튜터리얼 분석과 개선방향.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1): 169-192. (Yoon, Hee-Yoon and Sin-Young Kim. 2006. "The Analysis and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University Library Online Tutorial."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7(1): 169-192.)
  15. 이병기. 2012. "정보활용교육론". 경기: 조은글터. (Lee, Byeong-Ki. 2012.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Goyang: Joengulteo.)
  16. 이병기. 2013. 길포드의 지능구조모형에 의한 정보활용능력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성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2): 181-200. (Lee, Byeong-Ki. 2013.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Information Literacy Test by Guilford's Structure of Intellect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7(2): 181-200.)
  17. 이병주. 2009. "대학도서관의 정보활용능력 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Lee, Byeong-Joo. 2009. A study on the Effect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of Academy Library. M.A. thesis. Hannam University.)
  18. 이승길. 2004.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이 고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Lee, Seung-Gil. 2004. The effect of school library-assisted instruction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M.A.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19. 이제환. 2011. 한국 도서관계의 이용자교육.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1): 3-27. (Lee, Jae-Whoan. 2011. "User Education in Korean Libraries: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1): 3-27.)
  20. 이지연. 2009. 학교도서관이 학교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4): 353-380. (Lee, Jee-Yeon. 2009. "A Study on the Effects of School Libraries in School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4): 353-380.) https://doi.org/10.4275/KSLIS.2009.43.4.353
  21. 정영미. 2009. 정보활용 교육이 도서관과 정보활용능력 자가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4): 265-280. (Jung, Young-Mi. 2009.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and the Impact of Self Awareness on Information Literacy and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4): 265-280.) https://doi.org/10.4275/KSLIS.2009.43.4.265
  22. 정재영. 2008. 대학도서관의 웹기반 정보활용교육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1): 195-217. (Chung, Jae-Young. 2008. "A Study on the Web-based Information Literacy Model Development for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1): 195-217.)
  23. 조미아. 2005.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독서교육의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Cho, Mi-Ah. 2005. A Study on the Effect of Reading Instruction on the Creative Ability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h. D. diss. Sungkyunkwan University.)
  24. 최주연. 2009. "학교도서관 이용자 교육의 현황과 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Choi, Joo-Yeon. 2009. The state of Use Education at School Libraries and its effects. M.A. thesis. Hanyang University.)
  25.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3. "학교도서관 평가 적용 및 교육적 효과 측정 연구".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3-4.
  26. 한국도서관협회 학교도서관교육과정위원회. 2007.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교육과정 기준". 서울: 학교도서관협회.
  27. 홍세희. 2013. "메타분석의 이론과 적용". 서울: 에스앤엠 리서치 그룹. (Hong, Sehee. 2013. theory and practice of Meta-analysis. Seoul: S&M.)
  28. 황성동. 2015. "R을 이용한 메타분석". 서울: 학지사. (Hwang, Sung-Dong. 2015. Meta-analysis using R. Seoul: Hakjisa.)
  29.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989. Presidential Committee on information literacy, Final report. Chicago: ALA.
  30. Ankem, K. 2005. "Approaches to meta-analysis: A guide for LIS researchers."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27(2): 164-176. https://doi.org/10.1016/j.lisr.2005.01.003
  31. Borenstein et al. 2009.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UK: Wiley.
  32.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New York: Academic.
  33. Cooper, H. 2010. Research synthesis and meta-analysis: A step-by-step approach. CA: Sage publications.
  34. Duval, S. and R. Tweedie. 2000. "Trim and Fill: A simple funnel plot-based method of testing and adjus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 analysis." Biometrics, 56(2): 455-463. https://doi.org/10.1111/j.0006-341X.2000.00455.x
  35. Higgins, J. P. and S. Green. 2008.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Chichester: Wiley-Blackwell.
  36. Pillemer, D. and R. Light. 1980. "Synthesizing outcomes: How to use research evidence from many studies." Harvard Educational Review, 50(2): 176-195. https://doi.org/10.17763/haer.50.2.v755316522jkup33
  37. Rothstein, H. R. 2008. "Publication bias as a threat to the validity of meta-analytic results." Journal of Experimental Criminology, 4(1): 61-81. https://doi.org/10.1007/s11292-007-9046-9

피인용 문헌

  1. 대학도서관 이용자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의 특징과 과제 vol.48, pp.3, 2016, https://doi.org/10.16981/kliss.48.201709.83
  2. 고등학생의 정보활용능력과 비판적 사고성향의 관계에 대한 사례 연구 vol.29, pp.1, 2018, https://doi.org/10.14699/kbiblia.2018.29.1.277
  3. 정보활용능력 일반교양과목 운영에 관한 연구 - 서울 D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vol.31, pp.2, 2016, https://doi.org/10.14699/kbiblia.2020.31.2.119
  4. 통합정보기술수용모형을 적용한 교과교사의 도서관활용수업 수용 요인에 관한 연구 vol.51, pp.3, 2016, https://doi.org/10.16981/kliss.51.3.202009.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