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roposal Develoment Strategy for the Luxury Brand of Fashion Brand

패션브랜드의 명품화를 위한 제품아이덴티티 개발전략 제시 - 밀워드브라운의 2015 명품브랜드 가치순위를 중심으로 -

  • Cha, You-Me (Dept. of Fashion Design, Konkuk university) ;
  • Lee, Jin-A (Dept. of Fashion Design, Konkuk university) ;
  • Kim, In-Kyung (Dept. of Fashion Design, Konkuk university)
  • 차유미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 패션디자인전공) ;
  • 이진아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의상디자인전공) ;
  • 김인경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 패션디자인전공)
  • Received : 2015.09.30
  • Accepted : 2015.11.02
  • Published : 2016.02.28

Abstract

As the fashion industry increasingly fierce competition in the market we are elements of product quality can only be differentiated through a difficult period. Because academia and strengthen brand image and measures proposed business, a way to strengthen advertising and promotional marketing. However, this action reminds consumers that have a direct feel of the experience with the product is very easy to see, but counterproductive when advertising and contradictions. Korean fashion brand has sufficient capacity in this part of the judgment, because reason can not spread to the global luxury fashion brand. This study analyzed who help give identity to the domestic fashion luxury brand global strategy angry, it is part of the goal of the current development and product strategy features. Export capabilities, improve product identification components for their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has been carried out case studies and the recommendations based on this identity-based international luxury fashion brand analysis. The concept of product identification is not strong, the lack of previous studies of this study also adopted the international luxury fashion brand case studies, based on the country. The importance of product identification and product identification research methods derived from the characteristic side also granular component. Then there is the need to achieve national identity customized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for domestic enterprises to further expand the practice target. This will help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domestic apparel design.

Keywords

References

  1. 구찌의 주요 라인을 대표하는 디자인형태의 활용사례. 자료검색일 2015. 10. 24, 자료출처 http://www.gucci.com
  2. 김재문. (2002). 명품의 조건. LG주간경제, 667호.
  3. 김현범. (2002). 프로덕트 아이덴티티의 유형별 특성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산업디자인전공 석사학위논문.
  4. 권민성. (2012). 미래 명품시장에 요구될 가치의 변화. Journal of Digital Interaction Design, 11(3), 36-48.
  5. 루이뷔통의 주요 라인을 대표하는 디자인형태의 활용사례. 자료검색일 2015. 10. 24, 자료출처 http://kr.louisvuitton.com/
  6. 마이클코어스의 주요라인을 대표하는 디자인형태의 활용사례. 자료검색일 2015. 10. 25, 자료출처 http://www.michaelkors.com/
  7. 박소희. (2006). 기업 브랜드를 위한 Product Identity의 전략 방안 및 모형구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혜신. (2010). 패션 명품의 브랜드 차별화 전략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6(2), 253-262.
  9. 박미령. (2006). 명품브랜드 소비의 사회 경제 문화적 특성에 관한 연구-보드리야르의 소비사회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8(2), 183-190.
  10. 버버리의 주요 라인을 대표하는 디자인형태의 활용 사례. 자료검색일 2015. 10. 24, 자료출처 https://kr.burberry.com
  11. 시카르(Sicard)의 유형화에 대입한 밀워드브라운 선정 '2015 명품브랜드 가치순위. 자료검색일 2015. 5. 17, 자료출처 http://www.millwardbrown.com/brandz
  12. 신혜나, 이문규, 신성혜. (2011). 명품 브랜드 요소와 명품 선호도 결정요인: 해외패션 명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상품학연구, 29(2), 13-28.
  13. 샤넬의 주요라인을 대표하는 디자인형태의 활용사례. 자료검색일 2015. 9. 25, 자료출처 http://www.chanel.com/
  14. 엄경희. (2005). 해외패션 명품브랜드의 사회문화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1(3), 81-90.
  15. 이상화. (2006). 노키아의 프로덕트 아이덴티티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67(-), 65-74.
  16. 이승희, 이랑, 정소연. (2003). 패션 명품 브랜드에 대한 구매 행동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11), 1241-1251.
  17. 이은정, 김혜연. (2011). 패션브랜드의 PIS모델 제안-3대 럭셔리 브랜드 사례를 중심으로-. 디자인학연구, 24(3), 11-30.
  18. 일본 기업별 CIPD 조사보고서. (1989). 도요구치 디자인 연구소. p7.
  19. 임지훈, 김형식, 이학식. (2006). 브랜드 명품성 측정도구의 개발. 광고연구, 73(2006), 185-216.
  20. 에르메스의 주요 라인을 대표하는 디자인형태의 활용사례. 자료검색일 2015. 9. 24, 자료출처 http://www.hermes.com/
  21. 월터의 제품 아이덴티티 구성요소. Consumer Behavior (p.397) G. C. Walter. 1974. Irwin.
  22. 유형별 명품브랜드의 가치적 아이덴티티 특징 도출 사례. 자료검색일 2015. 6. 30, 자료출처 http://interbrand.com/
  23. 유형별 명품브랜드의 경영적 아이덴티티 특징 도출 사례. 자료검색일 2015. 6, 30, 자료출처 http://interbrand.com/
  24. 유형별 명품브랜드의 상징적 아이덴티티 특징 도출 사례. 자료검색일 2015. 7. 13, 자료출처 http://kr.louisvuitton.com/, http://www.hermes.com/,https://www.burberry.com, http://www.gucci.com/,www.prada.com/, http://www.chanel.com/, http://www.michaelkors.com/
  25. 유형별 명품브랜드의 역량적 아이덴티티 특징 도출 사례. 자료검색일 2015. 6. 30, 자료출처 http://interbrand.com/
  26. 이은정, 김혜연의 제품 아이덴티티 구성요소. "패션브랜드의 PIS모델 제안-3대 럭셔리 브랜드 사례를 중심으로-" 이은정, 김혜연, 2011, 디자인학연구, 24, p.11.
  27. 전인수, 김은화. (2005). 브랜드 명품화의 3단계 모델: PPCA 모델. 소비자학연구, 16(1), 209-227.
  28. 주유정, 김홍배. (2007). 디자인 선도기업 사례연구를 통한 전략적 PI 관리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지, 8(4), 687-701.
  29. 최은정, 홍경희, 이윤정. (2010). 한국 소비자들의 명품에 대한 개념 특성에 관한 연구. 패션비즈니스학회지, 14(5), 195-215.
  30. 최선형. (2006). 패션 명품에 대한 태도 연구. 복식문화학회지, 9(6), 842-854.
  31. 프라다의 주요 라인을 대표하는 디자인형태의 활용사례. 자료검색일 2015. 9. 25, 자료출처 http://www.prada.com/ko_kr.html?cc=AP
  32. 홍수화, 김미영(2007). 명품 관련 기존 연구의 분석. 복식문화연구, 15(1), 81-97.
  33. Aaker, D. A. (1996). Building Strong Brands. The Free Press. 재인용-프랑스 명품브랜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커뮤니케이션 체인 전략 연구, 전형연. 한국프랑스학논집, 69, 290.
  34. Arghavan, N., & Zaichkowsky, J. L. (2000). Do counterfeits devalue the ownership of luxury brands?. Journal of Product and Brand Management. 9(7), 485-497. https://doi.org/10.1108/10610420010351402
  35. Bosshart, D. (2001). 소비의 미래-Die Zukunft Des Konsums (박종대 역). 서울: 생각의 나무.
  36. Burberry의 트렌치코트 패턴, 하우스체크 안감. 자료검색일 2015. 8. 12, 자료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77144&cid=43168&categoryId=43168
  37. Burberry의 하우스체크, 호스베리체크. 자료검색일 2015. 7. 30, 자료출처 https://kr.burberry.com
  38. Burberry. 자료검색일 2015. 10. 23, 자료출처 https://kr.burberry.com/
  39. Chanel의 까멜리아, 핸들체인, 버클, 브레이드, 로고 단추. 자료검색일 2015. 8. 12, 자료출처 http://www.chanel.com/
  40. Chanel의 트위드와 퀼팅. 자료검색일 2015. 7. 30, 자료출처 http://www.chanel.com/
  41. Chanel. 자료검색일 2015. 9. 23, 자료출처 http://blog.naver.com/hek0824/220119012083
  42. Chevalier, M., & G. Mazzalovo. (2008). Management et Marketing de luxe. Dunnod.
  43. David Shah. (2000). A new definition of luxury. Textile View. 52, 6-7.
  44. Douglas, M. & Isherwood, B. (1978). The would of good; toward and anthropology of consumption. London: Allen Lane.
  45. Grossman, G. M., & Shapiro, C. (1988). Counterfeitproduct trade.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78(3), 59-75.
  46. Gucci. 자료검색일 2015. 8. 12, 자료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77141&cid=43168&categoryId=43168
  47. Gucci의 뱀부 가방고리, web밴드 모자. 자료검색일 2015. 7. 30, 자료출처 http://www.gucci.com/
  48. Gucci의 GG패턴과 구찌시마. 자료검색일 2015. 7. 30, 자료출처 http://www.gucci.com/
  49. Hermes의 새들 스티치, 샹 당크르 장식. 자료검색일 2015. 7. 30, 자료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98430&cid=43168&categoryId=43168
  50. Hermes의 실크, 애나멜 뱅글. 자료검색일 2015. 7. 30, 자료출처 http://www.hermes.com/
  51. Hermes. 자료검색일 2015. 8. 12, 자료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52802&cid=43167&categoryId=43167
  52. Kang hwa sun & Pan young hwan. (2012). Study on Service Identity and Identity Framework.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31(10), 33-40. https://doi.org/10.5143/JESK.2012.31.1.33
  53. Michael Kors의 금속 로고장식. 자료검색일 2015. 7. 30, 자료출처 http://www.michaelkors.com/
  54. Michael Kors. 자료검색일 2015. 9. 25, 자료출처 http://www.michaelkors.com/trend/gold-fragrance/_/R-cat2650004
  55. Lassar, Walfried, Banwari, & Arun Sharma. (1995). Measur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12(4), 11-19. https://doi.org/10.1108/07363769510095270
  56. Louis Vuitton의 다미애, 모노그램 캔버스. 자료검색일 2015. 8. 12, 자료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976205&cid=43168&categoryId=43168
  57. Louis Vuitton의 탑핸들, 음각금속, 패드락, 옐로우스티치. 자료검색일 2015. 07. 28, 자료출처 http://kr.louisvuitton.com/
  58. Louis Vuitton. 자료검색일 2015. 10. 23, 자료출처 http://blog.daum.net/skyview999/15971203
  59. Prada의 리본장식, 트라이엥글 로고. 자료검색일 2015. 7. 30, 자료출처 http://www.prada.com/ko_kr.html?cc=AP
  60. Prada의 포코노 나일론백. 자료검색일 2015. 8. 12, 자료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28382&cid=43168&categoryId=43168
  61. Prada. 자료검색일 2015. 7. 30, 자료출처 http://www.prada.com/ko_kr.html?cc=AP2015
  62. 명품브랜드 TOP10. 자료검색일 2015. 5. 17, 자료출처 http://www.millwardbrown.com/brandz
  63. SICARD Marie-Claude, Luxe, mensonge et marketing, Paris, Village Mondial, 2003.
  64. Silverstein, M. J., & Fiske, N. (2003). Luxry for the masses. Harvard Business Review, 81(4), 49-57.
  65. The Random Hous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second edition. (1987). Random House. Inc. 재인용- 김경옥. 현대패션에 표현된 정체성 연구. 배화논집, 20, 265.
  66. Twitchell, J. B. (2003). Living it up; Our Love affair with Luxury. Simon & Schuster (최기철 역). 서울:미래의 창. (원저 2002 출판)
  67. Walter, G. C. (1974). Consumer Behavior. Irwin.
  68. Wheeler, A. (2003). Designing brand identity. John Wiley & 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