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Government Full-text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through the Survey on the Government Officials' Perceptions

원문정보 공개제도에 대한 공무원들의 인식조사 연구

  • 장보성 (국립중앙도서관(국립장애인도서관) 자료개발과)
  • Received : 2016.02.26
  • Accepted : 2016.03.22
  • Published : 2016.03.31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operating the full-text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of government and Officials' Percep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the public servant group's level of full-text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was high. With regard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function of full-text information disclosure, an expectation for positive function was high in the aspect of assuring the transparency of administration. And public servants were worried about an increase in the burden of administrative duties. With regard to factors in hindering the development of full-text information disclosure, it was shown that the percentage of clients' abuse and misuse of full-text information was the highest. For the activation of full-text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it is necessary to prepare measures for preventing the abuse and misuse of full-text inform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원문정보 공개제도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원문정보의 생산자이며 의사결정자인 공무원을 대상으로 원문정보 공개제도에 대한 이해도, 제도의 순기능 및 역기능, 제도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 및 활성화를 위한 요인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공무원들의 원문정보 공개제도 이해는 제도의 법적 근거, 공개절차 부분에서 상대적 낮은 결과가 나타났다. 원문정보 공개제도의 순기능과 역기능은 행정의 투명성 확보, 국정운영 참여 활성화, 국민의 삶의 질 향상 측면에서 순기능적 기대치가 높았으며, 행정적인 업무 부담 증가, 공무원의 사기저하, 국민사이의 정보격차 발생을 역기능으로 우려하였다. 원문정보 공개제도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은 민원인에 의한 원문정보 오남용, 제도 확대에 따른 업무량 과다, 원문정보 공개에 따른 심리적 부담감, 기관마다 상이한 원문정보 기준 순으로 나타났다. 원문정보 공개제도 활성화 요인으로 원문정보 오남용 방지 대책 마련, 원문정보 공개 절차 및 원칙에 대한 사전 교육, 비공개 원문정보 공개 대상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 제시, 공무원 대상 교육 및 부정적인 인식 개선 등이 제시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민권익위원회. 2014. 공공기관 정보공개 담당자 연찬회 자료집. 세종: 국민권익위원회. Anti-Corruption & Civil Rights Commission. 2014. Public Organizations Information Disclosure Seminar Sourcebook. Sejong: Anti-Corruption & Civil Rights Commission.
  2. 김승태. 2009. 전자적 정보공개제도의 운영실태 평가.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2(3): 51-82. Kim, Seung-Tae. 2009. "The Performance and Limitation of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Management, 23(4): 119-147.
  3. 김혜원. 2014. 사전정보공개제도의 운영 및 서비스에 대한 개선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성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전공. Kim, Hye-Won. 2014.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Operation and Services for the Proactive Disclosu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Seoul, Korea.
  4. 서울특별시. 2014. 2014년 정보공개업무 매뉴얼. 서울: 서울특별시 정보공개정책과.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4. 2014 Information Disclosure Working Manual. 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5. 서울특별시. 2015. 2015 정보공개 사례집. 서울: 서울특별시 정보공개정책과.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5. 2015 Information Disclosure Practices. 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6. 안은정. 2013. 행정정보공개제도에 대한 경남교육행정공무원의 인식분석.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An, eun-jeong. 2013. Analysis of the Gyeongsangnam-do Educational Administration Officers' Perception on the Open Administration Information System.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7. 정민영. 2015. 원문공개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분석 및 방향성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부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전공. Jeng Min-Yuong. 2015. Research on Institutional Analysis and Direction for Activating the Original Public Serv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Joongbu University, ChongNaml, Korea.
  8. 정진임, 김유승. 2014. 정부3.0 시대, 정보공개시스템의 개선 과제. 기록학연구, 39: 45-72. Jung, Zin-Im, Kim, You-Seung. 2014. "Government 3.0 Era, Issues on Freedom of Information System." The Korean Journalof Archival Studies, 39: 45-72.
  9. 최정민, 김유승. 2013. 국내 정보공개 연구 동향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3): 173-197. Choi, Jeong Min Choi, Kim, You-seung. 2013.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Information Freedom in Korea."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Management, 13(3): 173-197
  10. 최정민. 2015. 중앙행정기관의 정보공개청구에 대한 대응성 분석. 기록학연구, 45: 155-188. Choi, Jeong Min. 2015. "Responsiveness of Request to Information Disclosure." The Korean Journalof Archival Studies, 45: 155-188.
  11. 한국행정연구원. 2010. 정보공개제도의 진단과 개선방안 연구. 서울: 한국행정연구원.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2010. Research on Diagnosis of Public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for Improvement. Seoul: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12. 행정자치부(공개문서). 2014. 원문정보 공개 가이드(공개/비공개 분류기준). 서울: 행정자치부.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2014. Full-text Information Disclosure Guideline. Seoul: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13. 행정자치부(내부문서). 2015. 원문공개 대상문서 분류 오류사례 안내. 서울: 행정자치부.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2015. Full-text Information Disclosure Error Sourcebook. Seoul: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14. 홍석형. 2014. 정보공개시스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전공. Hong, Seok-Hyung. 2014.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reedom of Information Syst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 ang University
  15. 황진현, 임진희. 2015. 체계적인 원문정보공개를 위한 정부산하공공기관 기록관리시스템 기능요건연구. 기록학연구, 46: 325-363. A Study on Functional Requirements of Records Management Systems for Government-Affiliated Organizations to respond to Immediate Disclosure of Original Official Documents. Korean Society of Archival Studies, 46: 325-363.
  16. 전민일보 . [인용 2016. 2. 15]. Jeonmin. [cited 2016.2. 15].
  17. 정보공개포털 원문정보대상 [인용. 2016. 2. 15].
  18. 정보공개포털 원문정보공개율 [인용. 2016. 2. 15].
  19. JTBC 8시뉴스(2015년8월26일). "주민등록번호가 버젓이...정부자료에 '개인정보 줄줄. [인용 2016. 2. 15]. JTBC News. [cited 2016. 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