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between No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in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Labor

초임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정서노동의 매개효과

  • 강수경 (가천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 김민정 (가천대학교 세살마을연구원) ;
  • 정미라 (가천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Received : 2015.12.15
  • Accepted : 2016.04.08
  • Published : 2016.04.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labor in the relations between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of no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ample consisted of 248 no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using AMOS to test the fit of a hypothesized structural model.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labor was verified by the bootstrapping approac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child interac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deep acting in emotional labor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surface acting in emotional labor. Next, surface acting in emotional labor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Finally,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ways to enhanc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in relation to the novice teachers' emotional characteristics, and to improve recognition on emotional labor were discussed.

Keywords

References

  1. 강숙현 (1994).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척도의 이해와 활용. 서울: 동문사.
  2. 강영숙 (2007). 학생의 교사만족도에 대한 교사의 성격 특질과 정서지능의 역할.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고재욱 (2012).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해소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6(2), 271-294.
  4. 권정윤 (2010).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정서노동 및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0(6), 269-289.
  5. 김경애 (2012). 초임교사의 실천적 지식 학습전략과 그 과정에 미치는 교사조직의 문화적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비교교육연구, 22(5), 223-253.
  6. 김수연 (2015).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이 직무만족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수연, 조혜진 (2015).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노동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2), 191-213.
  8. 김시연, 오재연 (2014).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교사의 내적 변인과 외적 변인들 간의 구조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9(5), 23-50.
  9. 김지영 (2010).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현지 (2005).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평가 척도 개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 1-19.
  11. 나수지 (2015).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피로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남정희, 이순덕, 임재항, 문성배 (2010). 멘토링을 통한 초임중등과학교사의 수업에서의 교사, 학생 상호작용 변화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8), 953-970.
  13. 노혜미, 유태용, 신강현 (2007). 정서지능과 정서노동 전략이 직무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개인적 성취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0(4), 529-550.
  14. 문수백 (2009). 구조방정식 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15. 박은영, 조은정, 정주선 (2011).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보육교사의 발달단계 및 보육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66, 127-146.
  16. 박은혜, 고재천 (2008). 유아교사의 부모, 원장, 동료교사에 대한 정서적 지형도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2(4), 139-166.
  17. 박창현, 나정 (2012). 유아교육기관, 교사 및 유아집단 특성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수준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6), 99-125.
  18. 서유현 (2002). 유치원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서정아 (2010). 유치원 현장에서 교사의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 한국교원교육연구, 27(2), 229-262.
  20. 손준종 (2011). 초등학교 교사의 감정노동 연구. 한국교육학연구, 17(3), 93-127.
  21. 신강현, 이랑, 허창구, 김재연 (2006). 정서노동 예측시 성격 5요인과 직무환경변수의 역할: 미국 호텔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9(1), 105-124.
  22. 우종필 (2013). 구조방정식 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
  23. 유재령 (2014). 유아교사의 정서노동과 교사효능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윤동섭 (2010). 외식기업 종사원의 성격유형과 정서노동이 직무만족 및 서비스제공 수준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경하, 석은조 (2010). 예비교사와 현직교사가 생각하는 좋은 유아교사의 자질. 열린유아교육연구, 15(5), 167-187.
  26. 이랑, 김완석, 신강현 (2006). 직무탈진과 직무요구의 요구-자원 모델에서 정서노동전략의 이해: 콜센터상담원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9(4), 573-597.
  27. 이선미, 이승미 (2013). 영아교사의 정서노동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8(6), 153-180.
  28. 이숙자, 공병호, 성영화 (2011). 교사.유아의 상호작용과 보육교사 변인간의 관계. 한국보육학연구, 11(1), 1-18.
  29. 이정숙 (2003). 교사경력과 유아연령에 따른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주연, 정혜영 (2003). 초등 초임교사의 교직생활에 대한 인식과 정서. 교육과학연구, 34(1), 125-143.
  31. 이진화 (2007).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만족도, 소진과의 관계. 아동교육, 16(4), 199-210.
  32. 이진화, 이혜원, 유진경 (2010).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정서노동과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5(2), 117-136.
  33. 조운주, 최일선 (2004). 사립 유아교육기관 초임교사들의 갈등 및 안정에 대한 이해. 유아교육연구, 24(1), 71-93.
  34. 조혜진, 김수연 (2012).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6(6), 231-247.
  35. 조혜진, 박효진 (2012). 유아교사의 정서조절책략과 직무소진 및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조절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4), 231-248.
  36.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37. 황문희 (2013). 어린이집 교사의 적성 및 정서노동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Ashforth, B. E., & Humohery, R. H. (1983). Emotional labor in service roles: The influence of ident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8(1), 88-115. https://doi.org/10.5465/AMR.1993.3997508
  39. Austin, E. J., Dore, T. C. P., & O'Donovan, K. M. (2008). Associations of personality and emotinal intelligence with display rules perceptions and emotional labor.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4(3), 679-688. https://doi.org/10.1016/j.paid.2007.10.001
  40. Brotheridge, C. M. (2006). The r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other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s in predicting emotional labor relative to situational demands. Psicothema, 18(Suplemento), 139-144.
  41. Brotheridge, C. M., & Lee, R. T. (200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labor scal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6(3), 365-379. https://doi.org/10.1348/096317903769647229
  42. Colley, H. (2006). Learning to labour with feeling: Class, gender and emotion in childcare education and training. Contemporary Issues in Early Childhood, 7(1), 15-29. https://doi.org/10.2304/ciec.2006.7.1.15
  43. DeCarlo, L. T. (1997). On the meaning and use of kurtosis. Psychological Methods, 2(3), 292. https://doi.org/10.1037/1082-989X.2.3.292
  44. Gilstrap, C. M. (2005). Closing in on closeness: Teacher immediacy as a from of emotion lab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olorado University. Colorado Springs, USA.
  45. Goleman, D. (1995). Emotion intelligence. NY: Bantam.
  46. Hargreaves, A. (1998). The emotional politics of teaching and teacher develop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Leadership in Education, 1(4), 315-336. https://doi.org/10.1080/1360312980010401
  47. Hargreaves, A. (2001). Emotional geographies of teaching. Teachers College Record, 103(6), 1056-1080. https://doi.org/10.1111/0161-4681.00142
  48. Hochschild, A. (1983).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9. Hu, L. T.,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https://doi.org/10.1080/10705519909540118
  50. Karim, J., & Weisz, R. (2011). Emotional intelligence as a moderator of affectivity/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labor/psychological distress relationships. Psychological Studies, 56(4), 348-359. https://doi.org/10.1007/s12646-011-0107-9
  51. Kline, R. B. (2015). Kline, R. B. (201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Y: Guilford publications.
  52. Kruml, S. M., & Geddes, D. (2000). Exploring the dimensions of emotional labor The heart of Hochschild's work.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14(1), 8-49. https://doi.org/10.1177/0893318900141002
  53. Mayer, J. D., Salovey, P., Caruso, D. R., & Sitarenios, G. (2001). Emotional intelligence as a standard intelligence. Emotion, 1(3), 232-242. https://doi.org/10.1037/1528-3542.1.3.232
  54. Mikolajczak, M., Menil, C., & Luminet, O. (2007). Explaining the protective effect of trait emotional intelligence regarding occupational stress: Exploration of emotional labour processes.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1(5), 1107-1117. https://doi.org/10.1016/j.jrp.2007.01.003
  55. Oplatka, I. (2007). Managing emotions in teaching: Toward an understanding of emotion displays and caring as nonprescribed role elements. Teacher College Record, 109(6), 1374-1400.
  56. Rudasill, K. M. (2011). Child temperament,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teacher child relationships in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from first to third grad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6(2), 147-156. https://doi.org/10.1016/j.ecresq.2010.07.002
  57. Salovey, P., & Mayer, J.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s, Cognition and Personality, 9(3), 185-211. https://doi.org/10.2190/DUGG-P24E-52WK-6CDG
  58. Sliter, M., Chen, Y., Withrow, S., & Sliter, K. (2013). Older and (emotionally) smarter? Emotional intelligence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emotional labor strategies in service employees. Experimental Aging Research, 39(4), 466-479. https://doi.org/10.1080/0361073X.2013.808105
  59. Wong, C., & Law, K. S. (2002).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13(3), 243-274. https://doi.org/10.1016/S1048-9843(02)00099-1
  60. Yin, H. B., Lee, J. C. K., Zhang, Z. H., & Jin, Y. I. (2013). Exploring the relationship among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labor strategies and teaching satisfact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35, 137-145. https://doi.org/10.1016/j.tate.2013.06.006
  61. Zembylas, M. (2005). Discursive practices, genealogies, and emotional rules: A post structuralist view on emotion and identity in teach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1, 935-948. https://doi.org/10.1016/j.tate.2005.06.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