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rchival Science and Ethics

기록학과 윤리적 관점

  • Received : 2016.09.30
  • Accepted : 2016.10.14
  • Published : 2016.10.31

Abstract

This paper consi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s and archives by asking the question "who is the archivist?". Aside from this, the researcher also emphasized the following theses. First, archival science should search for ethics as a discourse and not just the Code of Ethics. Second, an archivist should state his/her view in their archives field. Third, archival science should search for both personal and practical knowledge. Aside from these, this article argues also that an epistemological approach is necessary for ethics.

기록물에 중요한 정보가 담겨 있다는 사실보다도 기록을 대하는 인간은 누구이고, 기록을 책임지고 관리하는 아키비스트는 누구인가를 먼저 물었다. 이 글에서는 이런 물음을 던지면서 기록학에 필요한 것은 윤리적 관점이라는 점을 제시했다. 이 글은 윤리적 관점을 이야기 하면서 다음의 세 가지를 강조했다. 첫째, 아키비스트 윤리규약이 이미 있지만 윤리규약 이전에 윤리학을 탐구해야 한다는 점, 나아가 윤리학이 속한 인간학의 지평에서 기록학을 봐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둘째, 아키비스트에게는 기록수행에 대한 진술의무가 있는데 이런 의무를 수행할 때 윤리의식이 배양된다는 점, 아키비스트라는 전문가에게 필요한 전문성 발달도 사실은 윤리적 관점을 견지할 때 가능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셋째, 이 글에서는 아키비스트는 기록물을 소유한 자가 아니라 기록현장을 관리하는 존재로 보았는데, 이런 존재에게 기록물관리기술이 필요한 것이야 말할 나위도 없지만 기록현장에서 벌어진 사건을 기술하는 능력도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 글에서는 세 가지를 강조하면서 인식론적 접근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상술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건홍. 2014. 아카이브와 민주주의. 서울: 선인.
  2. 김상봉. 1998. 자기의식과 존재사유: 칸트철학과 근대적 주체성의 존재론. 파주: 한길사.
  3. 김상봉. 1999. 호모 에티쿠스:윤리적 인간의 탄생. 파주: 한길사.
  4. 김상봉. 2015. 철학의 헌정: 518을 생각함. 서울: 길.
  5. 김영진. 2005. 시장자유주의를 넘어서: 칼 폴라니의 사회경제론. 파주: 한울.
  6. 김영진. 2014. 칼 폴라니의 경제인류학 방법에 대한 고찰: 시장경제에 대한 대안을 찾아서. 국제정치논총, 44(4), 47-68.
  7. 노영주. 1998. 초기 모성경험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소비자아동학과 박사학위논문.
  8. 박경미. 2010. 마몬의 시대, 생명의 논리. 서울: 녹색평론사.
  9. 박영숙. 2014. 이용자를 왕처럼 모시진 않겠습니다: 도서관, 시민이 탄생하는 제3의 공간. 서울: 알마.
  10. 설문원. 2014. 환경갈등의 기록화를 위한 내러티브 설계: 밀양 송전탑 건설 갈등을 사례로. 기록학연구, 42, 287-326.
  11. 안정희. 2015. 기록이 상처를 위로한다. 서울: 이야기나무.
  12. 塩野谷祐一. 2002. 經濟と倫理 : 福祉國家の哲學. 東京: 東京大学出版会. (박영일 역. 2008. 경제와 윤리: 복지국가의 철학. 서울: 필맥).
  13. 원용찬. 2012. 칼 폴라니, 햄릿을 읽다. 서울: 당대.
  14. 윤은하. 2016. 아키비스트의 객관성에 대한 재고찰: 클리포드 기어츠의 인류학적 방법론을 통해. 기록학연구, 47, 131-159.
  15. 이상민. 1999. ICA 아키비스트 윤리규약. 기록보존, 12.
  16. 이상민. 2003. 아키비스트 윤리 규약과 논평. 기록학연구, 7, 199-210.
  17. 이상민. 2008. 위기에 처한 대통령기록물관리, 문제의 인식과 해결을 위한 접근 방법. 기록학연구, 18, 281-315.
  18. 이영남. 2013. 상징아카이빙: 대통령기록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38, 125-187.
  19. 이영남. 2015. 기록공간. 기록과 정보문화연구, 창간호. 7-44.
  20. 이정우. 2004. 개념-뿌리들(2권). 서울: 철학아카데미.
  21. 이정우. 2011. 객관적 선험철학 시론. 서울: 그린비.
  22. 이호신. 2003. 주제전문사서 이야기. 서울: 조은글터.
  23. 전진한. 2016. 대통령 기록전쟁. 대구: 한티재.
  24. 정태인, 이수연. 2013. 협동의 경제학: 사회적 경제, 협동조합 시대의 경제학 원론. 서울: 레디앙.
  25. 조민지. 2011. 기억의 재현과 기록 기술 담론의 새로운 방향. 기록학연구, 27, 89-118.
  26. 조용환. 1999. 질적연구 :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27. 최재천, 주일우(편). 2007. 지식의 통섭: 학문의 경계를 넘다. 서울: 이음.
  28. 최정규. 2009. 이타적 인간의 출현: 게임이론으로 푸는 인간 본성 진화의 수수께끼. 서울: 뿌리와이파리.
  29. 한국기록전문가협회. 2014a. KARMA 창간호.
  30. 한국기록전문가협회. 2014b. KARMA 2호.
  31. 한국기록전문가협회. 2014c. 한국기록전문가윤리강령.
  32. 현문수. 2014. 고백과 각성의 변주곡. 한국기록전문가협회(편) KARMA. 창간호.
  33. Agamben, Giorgio. 1998. Quel che resta di Auschwitz: l'archivio e il testimone. Torino: Bollati Boringhieri. (정문영 역. 2012. 아우슈비츠의 남은 자들. 서울: 새물결).
  34. Axelrod, R. and Hamilton, W. 1984. The evolution of cooperation. New York : Basic Books. (이경식 역. 2009. 협력의 진화: 이기적 개인의 팃포탯 전략. 서울: 시스테마).
  35. Clastres, Pierre. 1974. La societe contre l'etat. Paris : Ed. de Minuit. (홍성흡 역. 2015. 국가에 대항하는 사회: 정치인류학 논고. 서울: 이학사).
  36. Clastres, Pierre. 1980. Recherches d'anthropologie politique. Paris: Seuil. (변지현, 이종영 역. 2002. 폭력의 고고학: 정치 인류학 연구. 서울: 울력).
  37. Clement, E. 1994. Pratique de la Philosophie de A a Z. Paris : Hatier. (이우정 역. 1996. 철학사전. 서울: 동녘).
  38. Connelly, Michael and Clandinin, Jean. 1988. Teachers as curriculum planners: narratives of experience.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강형석 역. 2013. 교사와 교육과정: 교사들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파주: 양서원).
  39. Creswell, John. 2007.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조흥식 외 역. 2010. 질적 연구발법론: 다섯 가지 접근. 서울: 학지사).
  40. Dulmen, Richard van. 2001. Historische anthropologie : entwicklung, probleme, aufgaben. Koln: Bohlau. (최용찬 역. 2001. 역사인류학이란 무엇인가. 서울: 푸른역사).
  41. Foucault, Michel. 1966. Mots et les choses : une archeologie des sciences humaines. Paris: Gallimard. (이규현 역. 2012. 말과 사물. 서울: 민음사).
  42. Foucault, Michel. 1972. Folie et deraison. Histoire de la folie a l'age classique. Paris: Gallimard. (이규형 역. 2003. 광기의 역사. 서울:나남출판).
  43. Hann, C. and Hart, K. 2011. Economic anthropology : history, ethnography, critique. Cambridge: Polity. (홍기빈 역. 2016. 경제인류학 특강. 서울: 삼천리).
  44. Jimerson, Randall. 2009. Archives Power: Memory, Accountability, and Social Justice. Chicago: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역. 2016. 기록의 힘: 기억, 설명책임성, 사회정의. 서울: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45. Levi, Primo. 1947. Se questo e un uomo. Torino: De Silva. (이현경 역. 2007. 이것이 인간인가: 아우슈비츠 생존 작가 프리모 레비의 기록. 파주: 돌베게).
  46. Lewellen, Ted. 1992. Political anthropology; an introduction. Santa Barbara, CA: Praeger. (한경구 외 역. 1995. 정치인류학. 서울: 일조각).
  47. Lorblanchet, Michel. 2006. Origines de l'art. Paris: Ed. le Pommier. (김성희 역. 2014. 예술의 기원. 서울: 알마).
  48. Murch, Walter. In the blink of an eye: a perspective on film editing. Los Angeles, CA: Silman-James Press. (문원립 역. 2010. 눈 깜빡할 사이: 영화편집에 대한 연구. 서울: 비즈앤비스).
  49. Nowak, M and Highfield, R. 2011. SuperCooperators : altruism, evolution, and why we need each other to succeed. New York: Free Press. (허준석 역. 2012. 초협력자: 세상을 지배하는 다섯 가지 협력의 법칙. 서울: 사이언스북스).
  50. Pojman, L. and Fieser, J. 1999. Ethics: Discovering Right and Wrong. Belmont, CA: Wadsworth Publishing Co. (박찬구 외 역. 2010. 윤리학-옳고 그름의 발견. 서울: 율력).
  51. Sen, Amartya Kumar. 1987. On ethics and economics. Oxford and New York: Basil Blackwell. (박순성 역. 1999. 윤리학과 경제학. 서울: 한울아카데미).
  52. Singer, Peter. 1995. How are we to live?: ethics in an age of self-interest. Amherst, N.Y.: Prometheus Books. (노승영 역. 2014. 이렇게 살아가도 괜찮은가: 이기적인 사회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을 위한 희망의 실천윤리. 서울: 시대의 창).
  53. Singer, Peter. 2011. Expanding circle: ethics, evolution, and moral progres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김성한 역. 2012. 사회생물학과 윤리. 고양: 연암서가).
  54. Skovholt, Thomas. 2001. The Resilient Practitioner: Burnout Prevention and Self-Care Strategies for Counselors, Therapists, Teachers, and Health Professionals. Boston, MA: Allyn and Bacon. (유성경 외 역. 2003. 건강한 상담자만이 남을 도울 수 있다. 서울: 학지사).
  55. Supiot, Alain. 2005. Homo juridicus: essai sur le fonction anthropologique du droit. Paris: Seuil. (박제상 역. 2015. 법률적 인간의 출현. 파주: 글항아리).
  56. Vergez, Andre and Huisman, Denis. 1980. Nouveau "Cours de philo". Paris : F. Nathan. (이정우 역. 1988. 새로운 철학강의. 서울: 인간사랑).
  57. Walker, Alice. 1983. In search of our mother's gardens: womanist prose. San Diego, CA: Harcourt Brace Jovanovich. (구은숙 역. 2004. 어머니의 정원을 찾아서. 서울: 이프).
  58. Wilk, R. and Cliggett, L. 2009. Economies and cultures: foundations of economic anthropology. Boulder, Colorado: Westview Press. (홍성흡. 2010. 경제 인류학을 생각한다. 서울: 일조각).
  59. Zinn, Howard. 2001. Howard Zinn on history. New York: Seven Stories Press. (이재원 역. 2009. 하워드 진, 역사의 힘. 고양: 예담).

Cited by

  1. 자살유족 기록작업의 방법과 의미 vol.89, pp.None, 2016, https://doi.org/10.20923/kjas.2019.59.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