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ollection and Usage of Panel Data on On-board Job Taking and Separation of Korean Seafarers

한국선원의 승선과 이직에 대한 패널자료 구축과 활용방안

  • Received : 2016.10.31
  • Accepted : 2016.12.26
  • Published : 2016.12.30

Abstract

Seafarers are an essential resource in maritime industries, which provide navigation skills, vessel maneuvering skills and fishing skills in the fishery industry. They also work as a driving force in pilotage, port operation, vessel traffic service, and marine safety. Other areas in maritime services, which rely on seafarer include safety management of ships, supervisory activities, and maritime accident assessment. In these ways, Korean seafarers have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Korean economy. However, there have been issues of high separation rate, shortage of supply, multi-nationality, multiplicity of culture caused by employment of foreign seafarers, and aging. The present paper finds that maritime officers and fishery officers demonstrate differences in the statistics of on-board job taking and separation: the separation rate of fishery officers is higher than that of maritime officers. The existing data and statistics by the Korea Seafarer's Welfare & Employment Center could be improved by changing its structure from time series to panel data. The Korea Seafarer's Welfare & Employment Center is the ideal institution for collecting the panel data, as it has already accumulated and published relevant statistics regarding seafarer. The basic design method of the panel data is to adopt and improve it by including the information on ratings of maritime and fishery industries, ranks in a ship, personal information, family life, and career goal. Panel data are useful in short- and long-term forecasts of supply of Korean seafarers; demand evaluation of education, training, and reeducation of the seafarers; demographical dynamic analysis on Korean seafarers; inducement policy of long-term on board job taking in harmony with man-power demands in marine industries such as pilotage service; implementation of job attractiveness policy on Korean seafarers; and employment stabilization of Korean seafarers.

선원은 해운업과 수산업에서는 선박의 조종과 항행안전을 담당하고 있는 한편, 어로작업도 도맡아 하고 있다. 항만운송에서 선원들은 도선사 양성의 기반이 되며, 항만운영과 해양사고 예방을 지원하고 있다. 선원은 선박의 안전관리, 안전 항행감독, 내항해운 분야의 여객선 안전운항 관리, 해양사고 심판 등 많은 분야에서 전문적 지식과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이 같은 경제적 기여에도 불구하고 선원들의 장기적 공급 부족에 따른 외국인 선원의 한국적 선박에서 승선확대,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고령화는 선원 수급에 경고음을 울려왔다. 본 연구는 (1) 선원들의 승선과 이직에 대한 추이와 특성을 분석하여 선원 패널자료가 필요함을 명시하고 (2) 선원 패널자료의 구축시 그 내용과 자료관리 방안에 대한 대안을 설정하고, 대안별 장단점을 검토한 후 (3) 선원 패널자료를 이용한 선원공급의 장단기 예측 모형 개발 등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선원 패널자료의 구축은 한국 노동패널(한국노동연구원, 2016)과 같이 수 십년 간의 자료 축적을 통해, 선원의 이직과 승선에 대해 체계적이고 다양한 분석을 할 수 있게 한다. 패널자료의 구축 추진기관으로서는 이미 선원통계를 축적하고 있는 한국선원복지고용센터가 1차적으로 적합하다. 패널자료의 구축방안으로 한국선원복지고용센터의 기존자료를 활용하고 패널기준(졸업연도와 학과)을 명확히 하고 생애주기를 관측하는 것을 제안한다. 선원 패널자료는 과거 시계열 자료를 재입력하고 부원에 대한 자료추가, 선원 경력과 직책 등 승하선 경력, 개인특성, 가정생활, 향후 진로와 의견 등을 포함한 자료와 정보들을 추가해 구축될 수 있다. 선원 패널자료 활용방안으로는 1) 선원공급에 대한 장단기 예측, 2) 선원의 일생 이력주기인 교육 훈련 재교육 등의 수요산정, 3) 선원의 승선과 이직, 자격재취득에 대한 체계적 자료의 축적을 통해 선원에 대한 인구동태적 분석, 4) 도선사 등 고급 해기사 인력을 필요로 하는 해양산업과 연계된 선원경력 관리를 통해, 선원의 장기승선을 유도, 5) 실효성이 있는 선원직 매력화 정책을 수립, 6) 선원직업의 안정화를 위한 정책수립에 이용을 예로 들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감수철.배형(2011), "패널자료를 이용한 교통안전투자 종류별 사고감소 효과",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9권 제5호, 19-32.
  2. 김준용.나희.박병호(2012), "패널자료를 이용한 가로구간 교통삭도분석-청주시 간선도로를 사례로-", '한국안전학회지', 제27권 제3호, 141-146. https://doi.org/10.14346/JKOSOS.2012.27.3.141
  3. 김영모(2012), "내항상선 승선 외국인선원의 관리에 관한 연구", '해양환경안전학회지', 제18권 제2호, 123-129. https://doi.org/10.7837/kosomes.2012.18.2.123
  4. 김재호.장성록(2006), "어선선원들의 직업 관련성 질병 실태 조사", '한국안전학회지', 제21권 제5호, 84-91.
  5. 마강래.김찬성(2007), "도시교통분야에서 패널자료 분석의 유용성과 활용에 관한 연구", '교통정책연구', 한국교통연구원, 제14권 제2호, 1-15.
  6. 박용안(2013), "중국 주요 거점항만의 개발과정과 패널자료의 특성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한국항만경제학회, 제29권 제2호, 39-61.
  7. 백은유.박계각.최경훈.오상진(2016), "연안해운기업의 경영에 미치는 안전관리요소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한국항만경제학회, 제33권 제1호, 179-192.
  8. 서동현.노창균(2010), "내항선 선원양성과 확보를 위한 개선방안 연구", '해양환경안전학회 추계학술발표회', 167-170.
  9. 이호영.전준우.여기태(2014), "System Dynamics를 이용한 선원인력 수급 예측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연구", '해운물류연구', 한국해운물류학회, 제30권 제3호, 759-783.
  10. 정봉민(2004), "우리나라 선원수급 문제점과 정책대응 방향", '월간 해양수산',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제235호, 29-45.
  11. 한국교통연구원(2009), '교통패널조사 예비조사 사업 제3권'.
  12. 한국노동연구원, http://www.kli.re.kr/kli/index.do(2016.10.28.)
  1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http://www.krivet.re.kr/ku/idew.jsp(2016. 10.28.)
  14. 해양수산부(2013), '선원인력수급 기본계획 수립 연구'.
  15. 해양수산부(2016), '참선원 프로젝트 추진방안 연구'.
  16. 해양수산부와 한국선원복지고용센터(2016), '한국선원통계 연보'. 각 연도.
  17. 한국해기사협회(2015), '상선선원의 직업생활의식 조사 (I)'.
  18. BIMCO/ISF(2016), Manpower 2015 Update.
  19. Bureau of Labour Statistics, http://www.bls.gov(2016. 10.28.).
  20. Cheon S., Dowall D.E., and Song D.(2010), "Evaluating impacts of institutional regorms on port efficiency changes: Ownership, corporate structure, and total productivity changes of world container ports," MTransportation Research Part E, Vol.46, 546-561. https://doi.org/10.1016/j.tre.2009.04.001
  21. Gardner B.M. and Pettit S.J.(1999a), "Seafarers and the land based jobs market," Marine Policy, Vol.23 No.1, 103-115. https://doi.org/10.1016/S0308-597X(98)00033-5
  22. Gardner, B. M. and Pettit, S. J.(1999b), "The land based jobs market for seafarers," Marine Policy, Vol.23 No.2, 161-175. https://doi.org/10.1016/S0308-597X(98)00035-9
  23. Progoulaki M. and Theotokas I.(2010),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competitive advantage: An application of resource-based view in the shipping industry," Marine Policy, Vol.34, 575-582. https://doi.org/10.1016/j.marpol.2009.11.004
  24. Shan J., Yu M., and Lee C.(2014),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seaport's economic impact: Evidence from major ports in China,"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E, Vol.69, 41-53. https://doi.org/10.1016/j.tre.2014.05.010
  25. Silos J. M., Piniella F., Monedero J. and Walliser J.(2012), "Trends in the global market for crews: A case study," Marine Policy, Vol.36, 845-858. https://doi.org/10.1016/j.marpol.2011.12.004
  26. Song L. and Geenhuizen M. V.(2014), "Port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regional economic growth in China: Panel evidence in port regions and provinces," Transport Policy, Vol.36, 173-183. https://doi.org/10.1016/j.tranpol.2014.08.003
  27. Thai V. V., Balasubramanyam L., Yeoh K. K. L. and Norsofiana S.(2013), "Revisiting the seafarer shortage problem: the case of Singapore," Marine Policy, Vol.40 No.1, 80-94. https://doi.org/10.1080/03088839.2012.744480
  28. Wu B. and Winchester N.(2005), "Crew study of seafarers: a methodological approach to the global labour market for seafarers," Marine Policy, Vol.29, 323-330. https://doi.org/10.1016/j.marpol.2004.05.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