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Enhancement among Married Men in Korea

기혼남성근로자의 일-가정 갈등과 일-가정 향상

  • Received : 2016.01.04
  • Accepted : 2016.05.22
  • Published : 2016.05.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work-family interactions of married men, the variables affecting these interaction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variables affecting work-family conflict and those affecting work-family enhance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49 married men.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arried men perceived moderate levels of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enhancement both from work to family and from family to work. Second, the level of work-family conflict was higher than that of family-work conflict, and the level of family-work enhancement was higher than that of work-family enhancement. Third, work-family conflict was influenced by external occupational rewards, the relative importance of work and family life, a family-friendly work environment, perceived working hours, and spousal support. The variables that have an effect on work-family enhancement are perceived working hours, a family-friendly work environment, the relative importance of work and family life, and spousal support. Fourth, family-work conflict is influenced by age, spousal support, perceived family-work enhancement are spousal support, seeking internal and external occupational rewards, the relative importance of work and family life, and a family-friendly work environment. Finally, the variables that affect work-family conflict and those affecting work-family enhancement are similar, but the variables affecting family-work conflict and those affecting family-work enhancement are very different.

Keywords

References

  1. 강은주, 한주희(2009). 일-가족 갈등의 선행변수로서 개인적 특성. 대한경영학회지, 22(4), 1937-1960.
  2. 김경화(2013). 영유아와 초등학생 자녀를 둔 남녀취업자의 일/가족 갈등 인식: 성별과 관련 변인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5(4), 60-90.
  3. 김성경(2011). 기혼 취업여성의 특성이 일-가족의 긍정적 전이 및 부정적 전이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33, 69-94.
  4. 김주현, 문영주(2010). 맞벌이 여성의 성역할태도가 결혼생활 만족과 일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일-가정 갈등과 일-가정 강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2), 109-126.
  5. 김진희, 한경혜(2002). 남성과 여성의 일.가족전이와 관련요인. 대한가정학회지, 40(11), 55-69.
  6. 김현수(2005). 결혼 적령기 미혼 남성의 생계부양자 역할 의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효선, 차운아(2010). 여성근로자의 개인 및 직장상황이 일.가족 전이에 미치는 영향. 조직과 인사관리, 34(2), 69-104.
  8. 서정미(2011). 일.가정영역에서의 일중심성의 역할.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손영미, 박정열(2015). 한국 기혼여성근로자의 일-가정 양립 가치관이 일-가정 갈등 및 촉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7), 203-2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7.203
  10. 송혜림(2012). 남성의 일-가정 양립 실태와 요구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1-18.
  11. 우종웅, 이찬형, 김지은(2009). 근로자의 가족친화성교육프로그램 참여가 일.가족지향성, 일.가족전이 및 가족여가실천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2), 15-26.
  12. 윤소영, 김혜진(2013). 맞벌이 기혼남성의 일-가정 균형의 주관적 인식 및 갈등정도와 가정의 건강성 인식. 한구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2), 19-35.
  13. 윤창영(2002). 기혼 직장 여성의 주관적 삶의 질에 대한 연구: 직장-가정 갈등 모형과 영역별 삶의 질 모형의 통합.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이수진, 구혜령(2014). 기혼 남성의 삶에서 일과 가정생활이 차지하는 비중에 따른 유형 및 유형별 특성.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4), 135-151.
  15. 이숙현(1995). 남성의 취업과 가족 상호작용; 대기업 사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29(2), 271-289.
  16. 이숙현, 권영인(2009). 기업의 가족친화적 문화와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 일-가족 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1(1), 1-28.
  17. 이승미, 구혜령(2013). 자녀양육기 기혼취업 여성의 일-가정 상호작용 유형과 유형별 특성. 한국생활과학회지, 22(4), 575-591.
  18. 이윤석(2010). 취업한 기혼 남녀의 일과 가족 전이: 부정적 전이와 긍정적 전이의 통합적 접근. 한국인구학, 33(2), 1-31.
  19. 이혜정(2012). 다수준 분석을 통한 일과 삶의 균형에 관한 연구 : 세대별 일의 가치와 제도 및 지원분위기의 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정수인, 이기영(2007). 기혼직장인의 직장-가정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1(1), 83-107.
  21. 조윤진, 유성경(2010). 기혼 취업 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일-가족 갈등 및 향상의 관계에서 문제-중심 대처와 우울정서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2), 441-463.
  22. 채화영, 이기영(2013). 육아기 맞벌이 남성의 일.가정 양립 경험.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1(5), 497-511. https://doi.org/10.6115/fer.2013.51.5.497
  23. 천혜정, 한나(2009). 근로자의 일 지향성, 일 스트레스 및 조직문화가 일과 삶의 조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4), 53-72.
  24. 한경혜(1998). 중년기 남성의 역할 중요도와 일/가족 갈등. 가족과 문화, 10(2), 93-113.
  25. 한경혜, 장미나(2009). 기혼남녀근로자의 일.가족 균형과 관련요인: 남녀차이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1(1), 85-115.
  26. 한영선, 정영금(2014). 유연근무제도가 기혼 여성의 일-가정 갈등 및 촉진,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패널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4), 1-26.
  27. 한주희(2005). 보험설계사의 직무동기와 직무 특성이 일-가족 갈등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보험개발연구, 16(3), 3-31.
  28. 한지숙, 유계숙(2007). 기혼근로자의 성역할 태도와 일-가족 지향성이 일-가족 갈등/촉진 및 가족친화제도 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5), 143-166.
  29. Grzywacz, J. G. & Marks, N. F. (2000). Reconceptualizing the work-family interface : An ecological perspective and negative on the correlates of positive and negative spillover between work and family.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5(1), 111-126. https://doi.org/10.1037/1076-8998.5.1.111
  30. Pleck, J. H. (1977). The work-family role system. Social Problems, 24, 412-427.
  31. Simon, R. W. (1995). Gender, multiple roles, role meaning and mental health.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6, 182-194. https://doi.org/10.2307/2137224
  32. Voydanoff, P. (1998). Work role characteristics, family structure demands, and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0, 749-7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