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siting the cause of unemployment problem in Korea's labor market: The job seeker's interests-based topic analysis

취업준비생 토픽 분석을 통한 취업난 원인의 재탐색

  • Kim, Jung-Su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Kwangwoon University) ;
  • Lee, Suk-Jun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Kwangwoon University)
  • Received : 2016.02.04
  • Accepted : 2016.02.29
  • Published : 2016.03.31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s to explore the causes of employment difficulty on the basis of job applicant's interest from P-E (person-environment) fit perspective. Our approach relied on a textual analytic method to reveal insights from their situational interests in a job search during the change of labor market. Thus, to investigate the type of major interests and psychological responses, user-generated texts in a social community were collected for analysis between January 1, 2013 through December 31, 2015 by crawling the online-community in regard to job seeking and sharing information and opinions. The results of topic analysis indicated user's primary interests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perception of vocation expectation, employment pre-preparation behaviors, perception of labor market, and job-seeking stress. Specially, job applicants put mainly concerns of monetary reward and a form of employment, rather than their work values or career exploration, thus youth job applicants expressed their psychological responses using contextualized language (e.g., slang, vulgarisms) for projecting their unstable state under uncertainty in response to environmental changes. Additionally, they have perceived activities in the restricted preparation (e.g., certification, English exam) as determinant factors for success in employment and suffered form job-seeking stress.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current unemployment matters are totally attributed to the absence of pursing the value of vocation and job in individuals, organizations, and society. Concretely, job seekers are preoccupied with occupational prestige in social aspect and have undecided vocational value. On the other hand, most companies have no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human resources and have overlooked the needs for proper work environment development in respect of stimulating individual motivation. The attempt in this study to reinterpret the effect of environment as for classifying job applicant's interests in reference to linguistic and psychological theories not only helps conduct a more comprehensive meaning for understanding social matters, but guides new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n job applicant's psychological factors (e.g., attitudes, motivation) using topic analysis.

본 연구는 개인-환경 부합 관점에서 취업시장변화에 따른 취업준비생의 관심사를 토대로 의사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취업난의 원인을 탐색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3개년(2013~2015) 간 취업 관련 커뮤니티 내 이용자 게시글(소셜미디어)을 웹 크롤링을 통해 수집하고, 텍스트 마이닝 기법 중 토픽 분석을 통해 취업준비생의 주요 관심사 유형 및 심리적 반응 변화추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취업준비생의 주요 관심사가 '희망직업(세계)에 대한 인식, 취업사전준비활동, 노동시장에 대한 인식, 취업 스트레스'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타나는 것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들은 직업가치나 미래 진로에 대한 탐색보다 희망직업과 관련하여 금전적 보상이나 직장근무형태(근무 및 생활환경)에 관해 관심을 두고 있어 불확실한 환경에 직면하면서 특정 언어적 사용(예: 비속어, 은어)을 토대로 불안정한 심리적 상태를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취업준비생들은 취업 성공을 위한 전략적 선택차원에서 주로 스펙준비에 치중하고 있어 취업불안에 따른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현재 취업난은 총체적으로 개인과 사회 조직의 가치추구 부재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결국 개인은 자신의 직업 가치관을 확립하지 못한 상황에서 일부 기업들은 인적자원의 중요성에 대해 자각하지 못하며, 사회적으로는 직업위세란 장애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취업난이란 특정 상황과 현상의 원인을 다각적으로 이해하고 다수의 취업준비생 관심사를 도출하기 위한 토픽분석과 이들의 다양한 반응의 의미를 언어 심리적 이론을 토대로 해석하는 접근방법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감미아.송민(2012),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신문사에 따른 내용 및 논조 차이점 분석", 지능정보연구, 18(3), 53-77. https://doi.org/10.13088/JIIS.2012.18.3.053
  2. 강순희.안준기(2010), "대졸자의 실업경험의 낙인효과", 한국경제연구, 28(2), 201-231.
  3. 고경필.심미영(2015),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가족지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6), 379-391. https://doi.org/10.5392/JKCA.2015.15.06.379
  4. 고재성.이건남.김성남.변정현(2010), "청년층 구직역량 개념 정의 및 가중치 분석", 직업교육연구, 29(2), 17-42.
  5. 김나래.이기학(2012), "대학생의 사회비교 경향성과 진로미결정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학교, 9(2), 175-191.
  6. 김봉환.김계현(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9(1), 311-333.
  7. 김성천(2014), "취약소비자 보호법제 개선방안 연구", 정책연구보고서, 1-119.
  8. 김정식.김완석(2008), "사회변동의 지각과 주관적 안녕감: 대처자원의 효과에 대한 국가간 차이의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4(1), 19-45.
  9. 김택구(2000), "대학생 사회의 은어고찰(2): 은어 조어의 영역별 빈도와 조어유형의 다양성", 人文科學硏究, 8, 38-71.
  10. 김용학(2007), 사회연결망이론: 개정판. 박영사.
  11. 김유빈(2015), "청년층 노동시장의 실태와 청년고용정책", 노동리뷰, 5-14.
  12. 김정숙(2006), "학생의 직업가치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17(1), 79-102.
  13. 김진성(2012),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지역 기업과 구직자로부터의 지식 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22(2), 141-147. https://doi.org/10.5391/JKIIS.2012.22.2.141
  14. 김해연(2011), "국어 담화에서의 '-는 것 같다'의 화용적 의미와 상호작용적 기능", 언어와 언어학, 52, 25-51.
  15. 김헌.백미정(2010), "연구논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유형별 분류에 따른 웹 인터페이스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6(1), 80-93.
  16. 남길임(2010), "'아니다'의 사용패턴과 부정의 의미", 한국어 의미학, 33, 41-65.
  17. 대한상공회의소(2012), 청년층의 중소기업 취업 의사 및 미스매치 실태조사, 2012년 4월.
  18. 문주영(2009),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비서학의 지적구조 이해", 한국비서학회, 18(1), 83-98.
  19. 민기영.김훈태.지용구(2014), "철강산업 트렌드 분석을 위한 텍스트 마이닝 도입 연구 - P社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전자거래학회지, 19(3), 51-64. https://doi.org/10.7838/jsebs.2014.19.3.051
  20. 박광오.안진우(2015),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관한 실증적 연구", 경영과 정보연구, 34(3), 303-315.
  21. 박덕유(2008), "국어학: 사회언어학적(社會言語學的) 관점에서 본 대학생(大學生)의 의식 변화 고찰-은어(隱語)와 속어(俗語)를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80(단일호), 515-544.
  22. 박성재.반정호(2006), "대졸 청년층 취업준비노력의 실태와 성과", 한국인구학, 29(3), 29-50.
  23. 박수미(2002), "한국여성들의 첫 취업 진입. 퇴장에 미치는 생애사건의 역동적 영향", 한국사회학, 36(2), 145-174.
  24. 박자현.송민(2013),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문헌정보학 연구동향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0(1), 7-32. https://doi.org/10.3743/KOSIM.2013.30.1.007
  25. 박종호(2012), "인식 동사 "알다"의 속성 분석", 언어사실과 관점, 30, 81-106.
  26. 박천수.나영선(2013), "대학생의 노동시장 이행에서 외국어와 직업훈련의 연관효과", 직업교육연구, 32(6), 1-20.
  27. 배정환.손지은.송민(2013),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2012년 한국대선 관련 트위터 분석",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19(3), 141-156.
  28. 배호중.안준기(2011), "대학생의 취업 사교육이 노동시장 이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 敎育財政經濟硏究, 20(4), 99-124.
  29. 선문대학교(2008), Mismatch에 대한 원인규명 및 대안수립, 충청남도 R-Pack사업 최종보고서.
  30. 송혜지.박경수.정혜은.송민(2013),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한국의 경제연구동향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8, 47-50.
  31. 신동준.류지영(2011), "대졸 청년층의 취업 눈높이 분석", The HRD Review(한국직업능력개발원), 14(2), 148-168.
  32. 신선미.정경아.구정화(2008), "여대생의 직업 세계 인식 실태 조사", 한국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8, 1-243.
  33. 신승원(2013),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Andragogy Today, 16(1), 21-44.
  34. 어윤경.김동일.이주영.정여주(2011), "대학생용 취업준비행동 검사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학연구(구안암교육학연구), 17(3), 267-291.
  35. 오호영(2012), "청년층 취업난과 미스매치", The HRD Review.
  36. 오호영.송창용(2010), "청년층 취업눈높이 결정요인과 노동시장 성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제7회 한국교육고용패널학술대회 자료집, 서울.
  37. 유홍준.김월화(2014), "연구논문: 한국형 직업위세 측정 척도 개발", 조사연구, 15(3), 1-29.
  38. 윤명희.신현순.서희정(2010), "대학생의 직업세계 인식에 관한 연구", 직업교육연구, 29(4), 305-327.
  39. 윤승진.김수환.신경식(2015), "데이터 마이닝과 텍스트 마이닝의 통합적 접근을 통한 병사 사고예측 모델 개발", 지능정보학회, 21(3), 23-39.
  40. 이길환.이덕로.박상석(2012), "성격 5 요인이 진로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영과 정보연구, 31(4), 397-432.
  41. 이대용.류동희.김인환.고태용(2011), "한국대학생의 진로의식에 관한 연구", 취업진로연구, 1(2), 41-68.
  42. 이보현.두흔.이은정.장선희.정선화.이상민(2013), "대학생의 특성불안과 진로미결정의 관계에 있어 진로의사결정유형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2), 1383-1400.
  43. 이상희(2006), "대학생의 성향변인, 진로장애,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2), 399-417.
  44. 이수정.이혜선(2006), "비행청소년의 비행특성과 자기애적 성격성향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0(2), 1-18.
  45. 이아라.이주영.김계현(2013), "예방상담학적 관점에서의 국내 청년실업 연구동향과 개입방안", 상담학연구, 14(1), 115-141.
  46. 이영민.이수영.임정연(2014), "대학생 선호직장의 취업 결정요인 분석", 사회과학연구, 53(1), 337-374.
  47. 이옥(1993), "한국 학생청소년의 직업개념인식과 직업가치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15, 32-44.
  48. 이용길.강경희(2011),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진로결정효능감 분석: 공학 및 사회계열을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4(2), 60-67.
  49. 이재윤.문주영.김희정(2007),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국내 기록관리학 분야 지적구조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 41(1), 345-372. https://doi.org/10.4275/KSLIS.2007.41.1.345
  50. 이제경.김동일(2004), "한국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과 심리적 특성", 상담학연구, 5(4), 993-1016.
  51. 이종열(2003), "한국어 비유 표현의 개념적 통합 양상", 담화와 인지, 10(1), 167-190.
  52. 이혜영.곽승진(2011), "국내 학술지 논문의 주제어를 통한 학술연구분야 관계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 22(3), 353-371.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3.353
  53. 임시영.임용민.이재용(2014),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U-City와 Smart City의 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22(3), 87-97. https://doi.org/10.7319/kogsis.2014.22.3.087
  54. 임지룡(2002), "기획특집: 기본 감정 표현의 은유화 양상 연구", 한국어학, 17(단일호), 135-162.
  55. 임천순.양병무(2006), "대학졸업생의 직업세계로의 이행과 취업에 관한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4(3), 1-25.
  56. 장재윤.장은영.신희천(2006), "대졸자들의 취업 여부에 따른 정신건강의 변화",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5(1), 65-87.
  57. 장휘숙(2008), "인생과정 조망과 성인기 발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1(3), 99-113.
  58. 전병용(2012), "인터넷 댓글에 나타난 '성기' 관련 욕설의 변이형 고찰", 語文硏究, 74, 105-130.
  59. 정민.노안영(2008), "대학생의 지각된 진로 장애와 진로결정수준간의 관계: 진로결정자 기효능감과 낙관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2), 391-405.
  60. 정범석.정화민(2014), "국내 대학생의 취업태도 및 취업준비 비용에 관한 연구", 경영과 정보연구, 33(4), 1-19.
  61. 정영근.장민수.김혜정(2011), "대졸 고학력 노동시장 미스매치 연구", 질서경제저널, 14(3), 1-21.
  62. 정철우.김재준(2012),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건설분야 트랜드 분석", 한국디지털건출 인테리어학회, 12(2), 53-60.
  63. 조규락.구준영(2014), "대학의 취업준비생과 기업의 채용담당자가 인식하는 구직역량 차이 비교분석", 기업교육연구, 16(1), 157-185.
  64. 조규판(2008), "취업불안척도의 개발 및 타당도 연구", 敎育學硏究, 46(2), 53-75.
  65. 조영하.김병찬.김봉준(2008), "대학졸업자의 취업성과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6(2), 437-462.
  66. 차타순(2002), "자기애적 성격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에 대한 고찰", 경영과 정보연구, 10, 1-31.
  67. 채민성.인관호.김응모(2012), "텍스트, 오피니언 마이닝을 이용한 SNS 친구 친밀도 분석 시스템", 한국정보과학회, 98-100.
  68. 채창균.김태기(2009), "대졸 청년층의 취업성과 결정 요인 분석", 직업교육연구, 28(2), 89-107.
  69. 최동선.정철영(2003),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동기 요인 및 애착의 관계 분석", 직업교육연구, 22(1), 115-143.
  70. 하규수(2012), "사업에 대한 태도와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창업의욕에 미치는 영향", 기업경영연구 (구 동림경영연구), 45, 59-74.
  71. 하문선(2014), "대학생의 내, 외재적 직업가치 변화양상 및 잠재집단 유형과 성, 사회경제적 지위, 학업성취, 진로성숙의 관계", 직업교육연구, 33(3), 57-81.
  72. 한광현(2006), "조직공정성과 신뢰 및 반생산적 과업행동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19(2), 679-702.
  73. 한국고용정보원(2014), "대학생을 위한 취업 교육: 진로계획 수립과 노동 시장의 이해", 한국고용정보원, 1-134.
  74. 현윤진.김남규.조윤호(2015), "토픽 분석을 활용한 관심 기반 고객 세분화 방법론",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22(1), 77-93. https://doi.org/10.21219/JITAM.2015.22.1.077
  75. 홍진성.김남규.이상원(2014), "단일 카테고리 문서의 다중 카테고리 자동확장 방법론", 지능정보연구, 20(3), 77-92. https://doi.org/10.13088/jiis.2014.20.3.077
  76. Ahonen, H., Heinonen, O., Klemettinen, M., and Verkamo, A. I.(1997), Applying data mining techniques in text analysis. Report C-1997-23, Dept. of Computer Science, University of Helsinki.
  77. Albright, R.(2004), Taming Text with the SVD. SAS Institute Inc., Cary, NC.
  78. Antweiler, W. and Frank, M. Z.(2004), "Is All That Talk Just Noise? The Information Content of Internet Stock Message Boards", The Journal of Finance, 59(3), 1259-1294. https://doi.org/10.1111/j.1540-6261.2004.00662.x
  79. Avin, C., Keller, B., Lotker, Z., Mathieu, C., Peleg, D., and Pignolet, Y. A.(2015, January), Homophily and the Glass Ceiling Effect in Social Networks, In Proceedings of the 2015 Conference on Innovations in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pp. 41-50). ACM.
  80. Becker, H., Naaman, M., and Gravano, L. (2011), Beyond trending topics: Real-world event identification on twitter.
  81. Blau, P. M.(1964), Exchange and power in social life, Transaction Publishers.
  82. Choi, K.(2012), Social Big Data Analysis, Proceedings of the Spring Workshop on Korea Intel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83. Ebbinghaus, H.(1964), On memory (HA Ruger & CE Bussenius, Trans.), New York: Teachers' College, 1913. Paperback edition.
  84. Fan, W., Wallace, L., Rich, S., and Zhang, Z.(2006), "Tapping the power of text min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49(9), 76-82. https://doi.org/10.1145/1151030.1151032
  85. Fredrickson, B. L.(2001),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American psychologist, 56(3), 218. https://doi.org/10.1037/0003-066X.56.3.218
  86. Frijda, N. H.(1986), The emotions: Studies in emotion and social interaction. Edition de la.
  87. Hair Jr, J. F., Wolfinbarger, M., Money, A. H., Samouel, P., and Page, M. J.(2015), Essentials of business research methods. Routledge.
  88. Hargittai, E.(2015), "Is Bigger Always Better? Potential Biases of Big Data Derived from Social Network Sites", The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659(1), 63-76. https://doi.org/10.1177/0002716215570866
  89. He, W.(2013), "Examining students' online interaction in a live video streaming environment using data mining and text mining",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9(1), 90-102. https://doi.org/10.1016/j.chb.2012.07.020
  90. Hearst, M. A.(1999, June), Untangling text data mining, In Proceedings of the 37th annual meeting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on Computational Linguistics (pp. 3-10).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91. Hidi, S.(2006), "Interest: A unique motivational variable", Educational Research Review, 1(2), 69-82. https://doi.org/10.1016/j.edurev.2006.09.001
  92. Hidi, S. and Renninger, K. A.(2006), "The four-phase model of interest development", Educational psychologist, 41(2), 111-127. https://doi.org/10.1207/s15326985ep4102_4
  93. Hogan, R. and Roberts, B. W.(2000), A Socioanalytic Perspective on Person- Environment. Person-environment psychology: New directions and perspectives, 1, Routledge.
  94. Kahneman, D. and Tversky, A.(1979), "Prospect theory: An analysis of decision under risk". Econometrica: Journal of the Econometric Society, 263-291.
  95. Kim, I.(2012), The Value of Big Data and Strategy, 2012 Big Data Search Analysis Technology Insight.
  96. Kim, J.(2008), "Perception of Social Chang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Study Focusing on Social Change in Korea Between 1997 and 2000",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8(11), 2821-2858. https://doi.org/10.1111/j.1559-1816.2008.00415.x
  97. Krapp, A.(2002), "Structural and dynamic aspects of interest development: Theoretical considerations from an ontogenetic perspective", Learning and instruction, 12(4), 383-409. https://doi.org/10.1016/S0959-4752(01)00011-1
  98. Lazarus, R. S. and Folkman, S.(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publishing company.
  99. Lewin, K.(1939), "Field Theory and Experiment in Social Psychology",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44(6), 868-896. https://doi.org/10.1086/218177
  100. Liu, B.(2012), "Sentiment analysis and opinion mining", Synthesis lectures on human language technologies, 5(1), 1-167. https://doi.org/10.2200/S00416ED1V01Y201204HLT016
  101. Mooney, R. J. and Bunescu, R.(2005), "Mining knowledge from text using information extraction", ACM SIGKDD explorations newsletter, 7(1), 3-10. https://doi.org/10.1145/1089815.1089817
  102. Mortimer, J. T.(1994), Individual differences as precursors of youth unemployment. In Youth, Employment, and Society, AC Peterson, J. T. Mortimer. New York: Cambridge Univ. Press.
  103. Murphy, J. F.(1981), Concepts of leisure (No. Ed. 2). Prentice-Hall Inc.
  104. Myung, J., Lee, D., and Lee, S. G.(2008), "A Korean product review analysis system using a semi-automatically constructed semantic dictionary". Journal of KIISE: Software and Applications, 35(6), 392-403.
  105. Ostroff, C. and Schulte, M.(2007), Multiple perspectives of fit across levels of analysis. In C. Ostroff & T. Judge (Eds.), Perspectives on Organizational Fit, SIOP Organizational Frontiers Series (pp. 3-69). Mahwah, NJ: Lawrence Erlbaum.
  106. Park, S., Song, J. H., Kim, J., and Lim, D. H.(2015), "What Makes an Organization a Great Place to Work in South Korea?", Performance Improvement Quarterly, 28(1), 27-48. https://doi.org/10.1002/piq.21185
  107. Pinder, C. C. (1998), Human Nature: Emotions at Work, In Work motivation in organizational behavior (pp. 81-116), Psychology Press.
  108. Ramage, D., Dumais, S. T. and Liebling, D. J.(2010), "Characterizing Microblogs with Topic Models," ICWSM, 10, 1-1.
  109. Renwick, J. M. and McPherson, G. E.(2002), "Interest and choice: Student-selected repertoire and its effect on practising behaviour", British Journal of Music Education, 19(02), 173-188.
  110. Robbins, Stephen P., and Judge, Timothy A.(2011), Organizational Behavior, 14th Edition. Prenticw-Hall, Inc, 이덕로.김태 열.박기찬.박원우 역(2011), 조직행동론 제14판, 서울: 한티미디어.
  111. Salton, G., Fox, E. A., and Wu, H.(1983), "Extended Boolean information retrieval", Communications of the ACM, 26(11), 1022-1036. https://doi.org/10.1145/182.358466
  112. Schneider, B.(1987), "The people make the place", Personnel psychology, 40(3), 437-453. https://doi.org/10.1111/j.1744-6570.1987.tb00609.x
  113. Sebastiani, F.(2002), "Machine learning in automated text categorization", ACM computing surveys (CSUR), 34(1), 1-47. https://doi.org/10.1145/505282.505283
  114. Sitkin, S. B. and Weingart, L. R.(1995), "Determinants of risky decision-making behavior: A test of the mediating role of risk perceptions and propensit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6), 1573-1592. https://doi.org/10.2307/256844
  115. Stavrianou, A., Andritsos, P., and Nicoloyannis, N.(2007), "Overview and semantic issues of text mining", ACM Sigmod Record, 36(3), 23-34. https://doi.org/10.1145/1324185.1324190
  116. Super, D. E.(1957), The psychology of careers (Vol. 195), New York: Harper & Row.
  117. Tangney, J. P. and Dearing, R. L.(2002), Emotions and social behavior. Shame and guilt, New York: Guilford Press, 10(9781412950664), n388.
  118. Tangney, J. P. and Salovey, P.(1999), Problematic social emotions: Shame, guilt, jealousy, and envy, Kowalski, Robin M. (Ed); Leary, Mark R. (Ed), (1999). The social psychology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nterfaces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pp. 167-195). Washington, DC, U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19. Verma, V. K., Ranjan, M. and Mishra, P.(2015, January), Text mining and information professionals: Role, issues and challenges, In Emerging Trends and Technologies in Libraries and Information Services (ETTLIS), 2015 4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pp. 133-137). IEEE.
  120. Witten, I. H.(2004), "Adaptive text mining: inferring structure from sequences", Journal of Discrete Algorithms, 2(2), 137-159. https://doi.org/10.1016/S1570-8667(03)0008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