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공공도서관의 독서프로그램 운영 실태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Reading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 투고 : 2016.05.23
  • 심사 : 2016.06.25
  • 발행 : 2016.06.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독서프로그램 운영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를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첫째, 웹 검색엔진을 통해 공공도서관이 2013년-2015년까지 운영한 독서프로그램 관련 기사 350개를 표집하여 분석한 결과, 독서프로그램 관련 보도가 수도권(41.4%)은 높은 반면 여타 지역은 낮았다. 둘째, 순수 독서프로그램이 69.9%를 차지할 정도로 높았으나, 여타의 프로그램이 상당 수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독서프로그램 참가대상 중 초등학생과 유아 및 부모가 51.3%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반면, 소외 계층은 9.0%로 낮았다. 넷째, 독서프로그램 운영기간이 28.4%(86개)가 1일로 파악될 만큼 단기 프로그램 비중이 높았다. 이 같은 분석을 토대로, 독서프로그램을 지역사회 주민에게 홍보하기 위한 홍보팀 또는 전담인력을 도서관이 운영하여 언론과 소통할 것과, 지역 주민의 계층별 요구에 부합하는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화된 독서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것, 주민 계층별로 전체 주민을 균형 있게 아우르도록 독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할 것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problems in reading program of public libraries and provides some suggestions for the program development and management. For this analysis, I sampled and examined 350 news articles to reading programs done in the public libraries between 2013 and 2015. The result shows that 41.4% of the collected articles were the news about the reading programs in Seoul Metropolitan areas. While the articles about simple reading programs occupied 69.9%, the mixed activity programs reached a significant amount in total. In addition, 51.3% of program participants was under the elementary children and their parents, but only 9.0% program participants came from low socioeconomic status classes. 86 reading programs (28.4%) were designed for one-day events without a long-term policy. Based on such analyses, this study provides three suggestions: utilizing public relation teams and communicating mass media to advertize reading programs to local residents, developing systematic reading programs in users' needs, managing the reading programs for all kinds of local resid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수희. 2010. 제주지역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실태분석 및 이용자 만족도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성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Kim, Su-Hee. 2010. A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of Cultural Programs of Public Library in Jeju Area.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Infomation Science. Hansung University, Dept of Library and Infomation Science.
  2. 김은하, 이태문. 2015. 2015년도 해외 주요국의 독서실태 및 독서문화진흥정책 사례 연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Gim, eunha and Taemun Lee. 2015. Reading Status of the 2015 major foreign policy and Reading Culture Promotion Case Study. Seoul: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3.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4.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4-2018). 세종: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2014. The Second Comprehensive Plans for Library in Korea (2014-2018). Sejong: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4. 안인자 외. 2013. 취업 실태조사 특별위원회 최종보고서.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Ahn, In-Ja et al. 2013. Employment Survey Special Committee Final Report. Seoul: KLA.
  5. 채송화. 2013. 공공도서관에서의 독서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례연구.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독서교육전공. Chai, Songwha. 2013. The case study of operating reading education programs at public libraries. M.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Dept of Reading Education.
  6.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0. 독서단체 등의 프로그램 및 활동 현황 조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2010. Survey programs and activities, such as reading groups. Seoul: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7. 한상수. 2010. 공도서관 독서프로그램 실태분석: 충청남도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인적자원정책전공. Han, Sang Soo. 2010. An Analysis of Public Libraries' Reading Programs - in Chungnam Province -. M.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olicy and Administration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Dept of Reading Education.
  8.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도서관통계 [online]. [cited 2016.6.8]. .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library statistic [online]. [cited 2016.6.8]. .
  9. 국가통계포털. 국내통계 신문산업 [online]. [cited 2016.2.24]. .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s, newspaper industry [online]. [cited 2016.2.24]. .
  10. 내일신문. 2016. 우리나라와 OECD 국가 독서실태․정책 비교 (1): 우리나라 '습관적 독자' 가장 적다. 3월 2일 [online]. [cited 2016.3.2]. . Naeil Newspapers. 2016. Korea and OECD countries, reading status and policy comparison (1): Korea 'habitual readers' smallest. March 2 [online]. [cited 2016.3.2]. .
  11. 문화체육관광부. 2015 국민독서실태조사 결과 발표 [online]. [cited 2016.2.7]. .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Homepage. 2015 National Reading Survey results released [online]. [cited 2016.2.7]. .

피인용 문헌

  1. 출판 플랫폼으로서의 도서관 - 독립출판을 통해 바라본 출판과 도서관의 상생 - vol.49, pp.4, 2016, https://doi.org/10.16981/kliss.49.4.2018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