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도서관 예산과 도서관 이용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brary budget and Library Usage

  • 투고 : 2016.05.23
  • 심사 : 2016.06.16
  • 발행 : 2016.06.30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이용과 도서관예산 사이에 영향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잠재적 이용자들을 도서관으로 유인하기 위해서는 적정예산의 확보가 필요하다는 것을 설명하는데 있다. 다시 말해, 도서관예산은 도서관이용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설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공공도서관 31개관을 대상으로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으로부터 확보된 2013년 통계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독립변수는 도서관예산을 설명하는 '총비용지수(TFI: Total Funding Indicator) = $\sqrt{인건비{\times}자료구입비}$'와 도서관이용을 나타내는 'LU(Library Usage) = (연간 방문자수) + (연간 대출자료수) / 봉사대상인구'의 개념을 통해 산출된 값을 종속변수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도서관총비용지수(TFI)와 도서관이용(LU) 사이에는 영향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서관의 예산이 증가할수록 도서관이용은 증가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비록 도서관예산과 도서관이용의 긍정적인 관계를 설명하고 있지만, 분석대상 및 분석기간의 제한성 및 한정성으로 인해 정책결정을 위한 도구로서 활용되기 위해서는 대상의 확대 및 분석기간의 다년화를 통한 타당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necessity of secure budget in public libraries with regard to promoting library usage. It is namely to attempt to find out if there really is a connection between library funding and library usage. For this purpose, the relevant data of all the 31 public libraries in Busan were collected from the 2013 National library Statistics of Korea. To determine the connection between library funding and usage, two variables were selected, 'TFI (Total Funding Indicator) = $\sqrt{personnelcosts{\times}materialcosts}$' for independent variable and 'LU (Library Usage) = (visits per year) + (loans per year)/number of inhabitants' for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a clear relationship between TFI and LU and If more cost is spent on personal resources and material resources, the total usage of the public library also increase. The findings are limited due to the fact that the observation was focusing on public libraries in one community and the period of observation was one year in 2013.

키워드

참고문헌

  1. 권나현, 송경진. 2014. 한국성인의 공공도서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분석: 개인, 도서관의 특성 및 자치단체의 도서관 투자를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4): 291-312. Kwon, Nahyun and Kyeong-Jin Song. 2014. "A National Study Explaining the Pubic Library Use among Korean Adults: Examining the Influence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Local Library Inputs, and Local government Investmen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5(4): 291-312. https://doi.org/10.14699/KBIBLIA.2014.25.4.291
  2. 박옥화. 2007. 공공도서관 고령이용자에 대한 연구: 대전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1): 375-396. Park, Ok-Wha. 2007. "A Study on the Elderly of Public Librarie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8(1): 375-396.
  3. 이희수, 김기영. 2014. 지역사회 특성에 따른 지역주민의 도서관 요구에 관한 연구: 3개의 지역유형을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31(1): 207-230. Lee, HeuiSoo and Giyeong Kim. 2014. "Study on the Needs of Local Residents for Library Services Based on community Characteristics: Focusing on Three Types of Local Commun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1): 207-230.
  4. 최희곤. 2009. 공공도서관의 이용자 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정보관리학회지, 26(4): 129-145. Choi, Hee-kon. 2009. "An Analysis of Impact Factors on the Number of Users of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6(4): 129-145. https://doi.org/10.3743/KOSIM.2009.26.4.129
  5. Loyland, Knut and Vidar Ringstad. 2008. "Determinants of Borrowing Demand from Norwegian Local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9(8): 1295-1303. https://doi.org/10.1002/asi.20833
  6. Loyland, Knut and Vidar Ringstad. 2011. "Borrowing demand at local public libraries in Sweden."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3(4): 284-292. https://doi.org/10.1016/j.lisr.2011.01.004
  7. Ringstad, Vidar and Knut Loyland. 2006. "The Demand for books estimated by means of consumer survey data."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30(2): 141-155. https://doi.org/10.1007/s10824-006-9006-7
  8. Stabell, Oisten. 2015. "Library usage and resources" Scandinavian Library Quarterly, 48(1-2). .
  9. Vakkari, P., S. Aabo, R. Audunson, F. Huysmans, and M. Oomes. 2014. "Perceived outcomes of public libraries in Finland, Norway and the Netherlands." Journal of Documentation, 70(5): 927-944. https://doi.org/10.1108/JD-06-2013-0072

피인용 문헌

  1. 공공도서관의 봉사대상인구 산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vol.31, pp.1, 2016, https://doi.org/10.14699/kbiblia.2020.31.1.193
  2. 공공도서관 방문자수 및 자료실이용자수에 미치는 영향요인 - 2018년 전국도서관통계를 바탕으로 - vol.54, pp.2, 2016, https://doi.org/10.4275/kslis.2020.54.2.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