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Gender Difference Appear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at Each Achievement Standard

성취기준 단위로 분석한 중학교 학생의 성차

  • Jo, Yun Dong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 Received : 2016.04.21
  • Accepted : 2016.06.07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In this paper I will look into achievement standards which show gender difference. This work is based on the average of percentage of correct answer about items taken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2010~2014) at each male and female student of middle school. Achievement standard becomes the basic unit when teachers make study plans as the smallest unit that composes the curriculum. Study plans are expressed concretely according to lesson time numbers, and then lesson time numbers are determined by achievement standards. Therefore, objective informations about gender difference appearing in achievement standards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embodiment of programs to obliterate gender difference when teachers make study plans. Also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play a role as an indicator in studying on gender difference in mathematics education.

이 글에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의 중학교 남녀학생별 평균 정답률을 바탕으로, 성차가 나타난 성취기준을 살펴보고자 한다. 성취기준은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로서 교사가 수업 계획을 세우는 기준 단위가 되기도 한다. 수업 계획은 시수에 따라 구상하게 되는데, 그 시수를 결정하는 것이 성취기준이다. 그러므로 성취기준에서 나타난 성차에 관한 객관적인 정보는 수업 계획을 세우는 단계에서 성차를 해소화기 위한 방안을 구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앞으로 수학에서 나타나는 성차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정화, 도종훈, 송미영(2008). 수학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의 성별 차이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8(2), 179-200.
  2. 고호경, 고상숙(2008). 중학교 함수의 수학화 과정에서의 성차 연구. 수학교육, 47(3), 273-297.
  3. 교육과학기술부(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 8].
  4. 권오남, 박경미(1995). 수학 성취도에 있어서의 성별 차이에 대한 고찰. 한국여성학, 11, 202-232.
  5. 김동영, 조윤동, 이광상, 전영주(2013). 2012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 - 수학 - (연구자료 ORM 2013-37-3).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6. 김경희, 김성숙, 시기자, 노은희, 김수진, 이인호, 신진아, 박인용, 구남욱, 김도남, 김완수, 구슬기, 김부미, 우석진(2014). 국가수준의 기초학력 점검을 위한 초등학교 학업성취도 평가방안(연구보고 CRE 2014-2).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7. 김희경, 김부미(2014). 인지진단모형을 활용한 수학 학업성취 결과 분석 - 201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자료를 중심으로 -. 학교수학 15(2), 289-314.
  8. 박경미, 최승현(2002). 학업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PISA)에 나타난 수학적 소양의 성별 차이에 대한 고찰. 수학교육, 41(3), 319-328.
  9. 송미영, 김성숙, 구자옥, 임해미, 박혜영, 한정아, 임현정(2014).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2 결과의 남녀 및 성취수준별 학생 특성 분석(연구보고 RRE 2014-4-1).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0. 이봉주(2009). 수학 학업성취도의 변산도에서 성차 추이 분석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 수학교육학연구, 19(2), 273-288.
  11. 이인호, 김경주, 이상일, 이정우, 서민철, 조윤동, 이광상, 김현경, 배주경, 황필아, 심재호, 이기영, 이봉우, 정기문(2015). 2014 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출제 연구(연구보고 RRE 2014-5-1).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2. 이현숙, 고호경(2014).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TIMSS 8학년 수학 기하 영역의 성차 분석. 학교수학, 16(2), 387-40.
  13. 조윤동(2016). 내용 영역에 대한 성취수준별 남녀학생의 학업 특성 차이 분석. 학교수학, 18(1), 15-42.
  14. Bielinski, J., & Davison, M. L. (1998). Gender differences by item difficulty interactions in multiplechoice mathematics item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5, 455-476. https://doi.org/10.3102/00028312035003455
  15. Clements, D. H., & Battista, D. H. (1992). Geometry and spatial reasoning. In D. A. Grouws (E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 420-464). New York: Macmillan.
  16. Lane, S., Wang, N., & Magone, M. (1996). Gender-Related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on a Middle-School Mathematics Performance Assessment. Educational Measurement: Issues and Practice, 2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