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security independent behavior in social game using expanded health belief model

건강신념모델을 확장한 소셜게임(Social Game) 보안의지행동에 관한 연구

  • Ahn, Ho-Jeong (Dept. of Information Security Systems, Graduate Schools Wealfare & Management of NSU) ;
  • Kim, Sung-Jun (Dept. of Information Security Systems, Graduate Schools Wealfare & Management of NSU) ;
  • Kwon, Do-Soon (Dept. of Converged Industry, Seoul venture university)
  • 안호정 (남서울대학교 복지경영대학원 산업보안학과) ;
  • 김성준 (남서울대학교 복지경영대학원 산업보안학과) ;
  • 권두순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 Received : 2016.04.05
  • Accepted : 2016.06.15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With the development of Internet and popularization of smartphones over recent years, social network services are experiencing rapid growth. On top of this, smartphone gaming market is showing a rapid growth and the use of mobile social games is on the significant rise. The occurrence of game data manipulation targeting these services and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i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social gaming security.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pose development plans effective and efficient in social game services by figuring out factors putting effects on security dependent behavior of social game users in Korea and carrying out a practical study on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influencing security dependent behavior through recognized behavioral control and attitudes for privacy infringement of these factors. To do this, proposed was a study model in which the HBM(Health Belief Model) allowing the social game user to influence security dependent behavior was expanded and applied as a major variable. To verify the study model of this study practically,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Seoul-based K University and S University who had experienced using social game services. According to the study findings, firstly, the perceived seriousness turned out to provide positive influence to trust. But, the perceived seriousness turned out not to put positive effects on self-efficacy. Secondly, the perceived probability turned out not to put positive effects on self-efficacy and trust. Thirdly, the perceived gain turned out to put positive effects on self-efficacy and trust. Fourthly, the perceived disorder turned out not to put positive effects on self-efficacy and trust. Fifthly, self-efficacy turned out to put positive effects on trust. But, self-efficacy turned out not to put positive effects on security dependent behavior. Sixthly, trust turned out not to put positive effects on security dependent behavior. This study is intended to make a strategic proposal so that social game users can raise awareness of their level of security perception and security willingness through this.

최근 인터넷의 발달과 스마트폰 보급의 대중화를 통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급격히 발달하고 있다. 거기에 스마트폰 게임시장의 급격한 성장과 모바일 소셜 게임(SG) 이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들 서비스를 대상으로 한 게임 데이터 조작, 개인정보 유출 등의 문제가 발생함으로써 소셜 게임 보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소셜게임 이용자들의 보안의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 요인이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인지된 행동통제와 태도를 통하여 보안의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자기효능감과 신뢰에 대한 인과관계를 실증 연구함으로써 소셜 게임 서비스에서 보안의지에 대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소셜 게임 사용자가 보안의지 행동에 영향을 주는 건강신념 모델(HBM : Health Belief Model)을 확장하여 주요 변수로 적용한 연구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소셜 게임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서울 소재 S대학, D대학의 대학생들과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각된 심각성은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각된 심각성은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개연성은 자기효능감과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이익은 자기효능감과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각된 장애는 자기효능감과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기효능감은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기효능감은 보안의지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신뢰는 보안의지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소셜 게임 이용자들의 인식 제고로 인한 보안 인식 수준과 보안의지가 높아질 수 있도록 전략적인 제언을 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전희성(2013), "소셜네트워크 게임의 이용 요인,"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39, 105-114.
  2. 이상원.김휘강.김은진(2015), "소셜 네트워크 게임(SNG) 서비스의 개인정보 유출 및 보안위협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15(1), 77-88. https://doi.org/10.7583/JKGS.2015.15.1.77
  3. 이상원(2015), "소셜 네트워크 게임(SNG) 서비스의 개인정보 노출 및 보안위협에 대한 연구: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 게임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윤경(2011), "국내 소셜 게임 시장 전망," 한국컴퓨터게임학회 논문지, 24(1), 113-123.
  5. 김한국(2012), "주요국의 소셜 게임 시장 동향과 전략적 대응 방안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집, 2012(5), 45-49.
  6. 홍유진(2011), "모바일 게임 산업 동향과 이용자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멀티미디어학회지, 6(1), 15-33.
  7. 정부연(2010), "구글 버즈의 등장으로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시장내 경쟁 확대", 방송통신정책, 22(4), 59-63.
  8. 배재권(2014),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정보보호행위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2014(1), 349-354.
  9. 유석조.정현주.박현순(2010), "신종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 의도에 대한 영향용인들 및 백신 부작용 보도의 영향 분석: 건강신념모델과 계획된 행동이론 간 비교," 한국광고홍보학회, 12(3), 283-319.
  10. 이병관.오현경.신경아.고재영(2008), "미디어 캠페인이 인플루엔자 예방활동에 미치는 영향: 건강신념모델의 확장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10(4), 108-138.
  11. 조성은.신호창.유선욱.노형신(2012), "결핵예방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자기효능감과 공포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 건강신념모델의 확장," 홍보학연구, 16(1), 148-177.
  12. 조희숙.김춘배.이희원.정헌재(2004),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한 한국인 건강 관련행동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심리학회지, 9(1), 45-52.
  13. 조성배.권두순.이미영(2014), "건강신념모델을 이용한 기업 정보보안 행동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36(2), 241-263.
  14. 유승호(2007), "자기 효능감 이론의 현대적 의미와 컴퓨터게임 효능감의 개념화에 대한 연구," 한국이론사회학회, 11, 169-193.
  15. 나현수.김승인(2011), "플랫폼 특성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육성 게임 디자인 연구 : 스마트 폰과 웹 애플리케이션의 대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29, 657-667.
  16. 남현우(2011), "소셜 네트워크 게임의 성공 조건 분석과 경쟁력 강화 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컴퓨터게임학회 논문지, 24(2), 73-84.
  17. 민동현.오규환(2012),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게임의 부분 유료화 모델 연구," 한국컴퓨터게임학회 논문지, 25(4), 169-179.
  18. 이동은(2012), "소셜 게임의 협력 매커니즘 연구,"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12(4), 3-12. https://doi.org/10.7583/JKGS.2012.12.4.3
  19. 송요셉(2014), "재미와 습관과 신뢰가 대학생 이용자의 온라인 게임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8(4), 457-483
  20. 문종범.김인섭.정원준(2012), "SNS 만족도가 소셜커머스 신뢰성 및 지속사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공학회, 17(2), 273-292
  21. 박찬욱.이상우(2014), "인터넷상에서의 개인정보 보호행동에 관한 연구," 인터넷정보학회지, 15(2), 59-71.
  22. 김인섭.박찬욱(2012), "온라인게임포털의 상호작용이 플로우와 신뢰, 향후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25(3), 33-45.
  23. 박현선.김상현(2013), "SNS 이용자들의 프라이버시 보호행동에 관한 실증연구," 경영경제학회, 46(2), 69-91.
  24. Ng, B. Y., Kankanhalli, A., and Xu, Y. C.(2009), "Studying users' computer security behavior: A health belief perspective", Decision Support System, 46(4), 815-825. https://doi.org/10.1016/j.dss.2008.11.010
  25. Janz, N. K. and M. H. Becker(1984), "The Health Belief Model : A Decade Later", Health Education Quarterly, Vol.11, No.1, 1-47. https://doi.org/10.1177/109019818401100101
  26. Rosenstock, I. M.(1974), "Historical Origin of the Health Belief Model. In M. H. Becker(Ed.)", The Health Belief Model and personal health behavior, 1-8. Thorofare, NJ : B. Slack, Inc. Charles.
  27. Rosenstock, I., V. Strecher, and M. Becker(1994), "The Health Belief Model and HIV risk behavior change," In R. J. Diclemente and J. L. Peterson(Eds), Preventing AIDS : Theories and methods of behavioral interventions, 5-24, New York, NY : Plenum Press.
  28. Glanz, K., B. K. Rimer, and F. M. Lewis (2002),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San Fransisco : Wiley and Sons.
  29. Carpenter, C. J.(2010), "A meta-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Health Belief Model Variables in Predicting Behavior", Health Communication, Vol.25, No.8, 661-669. https://doi.org/10.1080/10410236.2010.521906
  30. Harrison, J. A., P. D. Mullen, and L. W. Green(1992), "A Meta-Analysis of Studies of the Health Belief Model with adults", Health Education Research, Vol.7, No.1, pp. 107-116. https://doi.org/10.1093/her/7.1.107
  31. Janz, N. K. and M. H. Becker(1984), "The Health Belief Model : A Decade Later", Health Education Quarterly, Vol.11, No.1, 1-47. https://doi.org/10.1177/109019818401100101
  32. Mattson, M.(1999), "Toward a reconceptualization of communication cues to action in the health belief model : HIV test counseling counseling", Communication Monographs, Vol.66, No.3, 240-265. https://doi.org/10.1080/03637759909376476
  33. Liang, H. and Y. Xue(2010), "Understanding Security Behaviors in Personal Computer Usage : A threat Avoidance Perspectiv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Vol.7, No.2, 393-413.
  34. Bandura, A.(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35. Bandura, A.(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No.2, 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36. Moorman, C., Zaltman, G., & Deshpande, R.(1992), "Relationships between providers and users of market research: The dynamics of trust within and between organiza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9(3), 314-328. https://doi.org/10.1177/002224379202900303
  37. Berry, L. L.(1995), "Relationship marketing of services: Growing interest, emerging perspective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3(4), 236-245. https://doi.org/10.1177/009207039502300402
  38. Garbarino, E., & Johnson, M. S.(1999), "The different roles of satisfaction, trust and commitment in customer relationship", Journal of Marketing, 63(2), 70-87. https://doi.org/10.1177/002224299906300205
  39. Morgan, R. M., & Hunt, S. D.(1994), "The commitment-trust theory of relationship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58(3), 20-38 https://doi.org/10.1177/002224299405800202
  40. Whitman, M. E.(2004), "In defense of the ralm: understanding threats to information security",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24(1), 43-57. https://doi.org/10.1016/j.ijinfomgt.2003.12.003
  41. Spears, J.L. & H.Barki(2010), "User participation in information system security risk management", MIS Quarterly, 34(3), 503-522. https://doi.org/10.2307/25750689
  42. Stonebumer. G., Goguen. A., and Feringa (2004), "Risk Management Guide for Information Technology Systems", National Institud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NIST) Special Publication, Washington D.C.
  43. Alberts, C and A. Dorofce(2003), "Managing Information Security Risks : The Octave Approach", Upper Sad-dle River, NJ: Addison-Wesl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