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mpact of Empathy on th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

조직구성원의 공감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 Received : 2016.10.12
  • Accepted : 2016.11.21
  • Published : 2016.11.30

Abstrac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amongst employees, and its contribution to the enhancement of the effectiveness of an organization. Further, 'job stress' was used as the moderating value. For this purpose, examination procedures were based on theoretical ground drawn from previous research papers, and an appropriate hypothesis established. Statistical methods were also employed to obtain empirical evidence. This study consisted of four variables. The independent variable is categorised into the factors of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Job stress as the moderating value as well a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s members of the dependent variable. A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employees of numerous firms working in teams, and a total of 324 samples were collected and processed by the software package SPSS 21 for windows as a means to verify the set study model and hypothe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two factor of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did not present with any significant effects. However, cognitive empathy in relation to job stress was found to inflict negative effects. The study also found the two factors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asserting positive effects on an individual's level of satisfaction on his/her job. While the study further explained that cognitive understanding had the tendency to impose negative effects on the turnover intention, emotional empathy did not demonstrate significant effects. Job related stress negatively effects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an individual's given task or a job and positive relation with turnover intention. It was confirmed that job stress had a degree of intermediary role upon other factors such as empathy,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purported that empathy can raise the level of an individual's job satisfaction and kerb turnover intention. In order to accomplish depreciated levels of job related stress, it is vital that firms consistently input fervent endeavours to be subserved. It must be able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in employees may enjoy the improved structure of the company to empathies with each other. These transitions would allow firms to achieve maximum efficiency and improvements on the effectiveness of an organization.

본 연구는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에서 최근 이슈화 되고 있으며 심리학과 교육학에서 중시되어 다루어지는 주제인 공감(empathy)을 경영학에 접목시켜 직무스트레스라는 매개를 통해 조직유효성(직무만족, 이직의도)과의 관계와 연구의 한계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등을 포함한 5개 지역에 분포되어있는 기업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결과는 spss 21 통계프로그램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공감의 하위요인 인지적, 정서적 공감 중에서 인지적 공감은 직무스트레스에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공감의 하위요인 인지적, 정서적 공감은 모두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감의 하위요인 인지적, 정서적 공감에서 인지적 공감은 이직의도에 대해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정서적 공감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며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감과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의 관계에 있어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역할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실증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은택, 강정구, 마강래(2016). 1인 가구의 주관적 삶의 만족감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7(1), 3-23
  2. 고성훈.문태원(2012). 공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사.조직연구, 20(3), 29-76.
  3. 김권수(2016). 호텔접객종사원의 고객관계스트레스와 직장행복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40(4), 131-147.
  4. 김성렬.김혜영.강정희(2014). Type D 성격 유형에 따른 간호사의 공감 피로, 소진, 공감 만족 및 직무 스트레스, 간호행정학회지. 20(3), 273-281.
  5. 김종구(2009). 서번트리더십에 대한 부하직원의 인식이 상사에 대한 신뢰를 매개로 하여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협동조합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준영(2005). 교사의 희망과 공감이 자아존중감, 직무만족도 및 훈육유형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한성(2013). 호텔직원의 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현대(2011). 사회복지시설의 내부서비스품질이 내부고객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석,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현주(2009). 공감능력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용서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태형(2013). 트라우마 한국사회. 서해문집.
  11. 목형균(2011). 대학병원 의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의 관계,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박규석(2014). 비인격적 감독과 부하의 태도 및 행동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및 권력거리의 조절효과, 순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박성희(1993). 공감의 특성과 이타행동,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박성희(2004). 공감학-어제와 오늘. 서울: 학지사.
  15. 배성경(2012). 공감능력 및 자기통제력과 아동의 스트레스와의 관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박정우(2009). 기업조직에서의 수직적, 수평적 다양성이 조직 구성원들의 리더 신뢰,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 다수준적 접근.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박희서.오세윤.노시평(2001). 일선 공무원의 역할스트레스가 이직충동에 미친 영향에 대한 경로분석모형 검증, 한국행정학회, 35(3), 197-219
  18. 서성덕(2008). 특수교사의 공감적 이해수준에 따른 교사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서연실.온은아(2016). 유아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직무만족,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어린이미디어연구, 15(3), 1-22.
  20. 서영준(2014). 공감과 배려의 화법 교수-학습 방안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송영태(2007).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기공사업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심혜진(2014). 사무직 직원의 성 및 성인애착에 따른 지각된 상사의 공감능력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안진신(2014).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양은경(2010).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엄유경(2008). 경찰조직에서 직무스트레스, 조직변화저항 및 조직학습역량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오미숙(2011).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부출연기관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오옥선(2014). 유아 교사의 완벽주의 성향이 교사 효능감, 직무스트레스,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9(5), 291-310.
  28. 우제태(2007). 일선경찰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에 관한 실증분석, 한국공안행정학회. 16(2), 143-169.
  29. 유동균(2011). 조직 내 공감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유정선(2016). 여행사 종사원의 종사원만족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68, 69-94.
  31. 유현조(2014). 호텔 식음료 직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이동철(2013). 조직 내 갈등, 사회적 지지와 직무태도 간 관계 및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3. 이란영(2007). 아동에 대한 보건교사의 공감 수준과 전문상담교사 자격증 소지 여부가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이민아(2016). 한국 직장인의 우연사건 대처 기술 유형에 따른 진로적응성, 진로낙관성 및 직무만족의 차이, 2016(8), 199-199.
  35. 이선미(2014). 초등학교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공감능력, 정서상태, 직무만족도 차이 분석,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이승수(2013). 일과 생활의 균형이 신입사원의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이혜경.남춘연(2015).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 우울, 심리적 행복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1(4), 489-497.
  38. 이혜경.정재엽(2014). 재활병원 작업치료사의 직무 스트레스, 소진 및 공감만족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3(3), 177-192.
  39. 이희은.김순호.김현익.우연희.문수백(2013). 보육교사의 부정적 훈육행동과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직무스트레스, 공감, 직장내 지지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8(4), 127-148.
  40. 이흥용.박은아(2016). 베이커리종사자의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경력몰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15(1), 263-282.
  41. 이진규.박상로(1995). 경력정체인식과 통제 위치에 따른 직무만족과 경력만족 및 이직의도, 경영논층, 39(1), 329-353
  42. 이채윤(2007). 직무스트레스와 상사의 리더십이 이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 이횽재.변찬복.박성종(2013). 직무자율성, 직무만족, 정서적 조직몰입과 지식공유행동의 구조적 영향관계-서울시 특1급 호텔 종사자를 대상으로, 28(3), 145-168.
  44. 조은숙(2013). 공감에 기초한 배려윤리교육 연구, 한국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 조혜은.문일봉(2014). 치과위생사의 낙관성, 자기효능감,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40(4), 121-132.
  46. 최상복(2004). 돌출영역 억제 및 강화 기능을 갖는 선택적 주의집중 시가시스템,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7. 최병권(2013). 업무과부하, 직무소진,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자율성과 경력성장기회의 조절효과, 37(4), 145-170.
  48. 최연선(2011).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최고관리자의 리더십이 사회복지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다수준(multi-Level)분석, 사회복지실천, 10, 75-104.
  49. 최형진(2014). 조직공감이 구성원의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0. 추주형(2014).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1. 황상희(2013). 취업 척수손상장애인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2. Acker, G. M. (2004).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onditions(role conflict, role ambiguity,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ocial support)on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Leave Among Social Workers in Mental Health Care.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40(1), 65-73. https://doi.org/10.1023/B:COMH.0000015218.12111.26
  53. Allen, N. J. & Meyer, J. P. (1990).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normative and continuanc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63(1), 1-18. https://doi.org/10.1111/j.2044-8325.1990.tb00506.x
  54. Barnett, M. A., Hoeard, J. A., Melton, E. M., & Dino, G. A. (1982). Effect of inducing sadness about self or other on helping behavior in high and low empathic children. Child Development, 53, 920-923. https://doi.org/10.2307/1129128
  55. Beehr,T.A. (1994). Psychological Stress in the Workplace, New York: Routledge.
  56. Davis, M. H. (1980).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s inempathy. JSAS Catalog of Selected Documents in Psychology, 10, 85.
  57. Davis, M. H. (1983).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
  58. Davis, M. H.(1994). Empathy: A social psychological approach. Madison. WI: Brown & Benchmark.
  59. Dutton, J. E., Frost, P. J., Worline, M. C., Lilius, J. M., & Kanov, J. M. (2002). Leading in times of trauma, Harvard Business Review. 80(1), 54-61.
  60. Eisenberg, N., & Strayer, J. (1987). Empathy and its development, 146-162.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61. Feshbach, N. D. (1978). Studies of empathic behaviors in children. In experimental personality research, Vol. 8, New York: Academic press.
  62. Hoffman, M. L. (1982). The measurement of empathy. In. C. E. Izard(Ed), Measuring emotion in infants and children, 279-296,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63. Hoffman, M. L. (1984). Interaction of affect and cognition in empathy. In C. E. Izard, J. Kagan, & R. B. Zajonc(Eds.), Emotions, cognition, and behavior, 103-131,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64. Hoppock,R.(1935),Job Satisfaction, New York: Harper& Row.
  65. Iverson, R. D. (1992). Employee intent to stay: An empirical test of a revision of the price and Mueller model.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Iowa, Iowa City.
  66. Kohut, H. (1971). The analysis of the self.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67. Locke, E. A.(1976).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In M.D. Dunnette, (Ed),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Rand Macnally.
  68. Mead, G. H.( 1934). Mind, self and societ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9. Michaels, C. E. & Spector, P. E.(1982). Causes of employee turnover: A test of the Mobley, Griffeth, Hand, and Meglino mode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7(1), 53-59. https://doi.org/10.1037/0021-9010.67.1.53
  70. Molbey, W. H. (1982). Employee turnover causes, consequences and control, reading, MA: Addison-wesley.
  71. Mottaz, C. J. (1988).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72. Paker, D. F., & Decotiis, T. A. (1983). occupational Determinants of Job Stre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University of Michigan USA, 32, 160-177. https://doi.org/10.1016/0030-5073(83)90145-9
  73. Piaget, J.(1932). 아동의 도덕발달(송명자, 김상윤 역).UUP. 450-471.
  74. Piaget, J.(1965). The moral judgement of the child. New York: Basic Books. 홍길회(1983) 재인용.
  75. Price, J. L (1977). The study of turnover. Ames, IA: Iowa State University press.
  76. Price, J. L. (2001). Reflections on the determinants of voluntary turnover. International Journal of Manpower, 22(7), 600-624. https://doi.org/10.1108/EUM0000000006233
  77. Rogers, C. R. (1957).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of therapeutic personality change.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21(2), 95-103. https://doi.org/10.1037/h0045357
  78. Smith, P. C., Kendall, L. M., & Hulin, C. L. (1969). The measurement of satisfaction in work and retirement. Chicago: Rand McNally.
  79. Smith , D. B. & Shields, J. (2013). factors Related to Social Service Worker's Job Satisfaction: Revisting Herzberg's Motivation to Work,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37, 189-198. https://doi.org/10.1080/03643107.2012.673217
  80. Rogers, C. R. (1957).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of therapeutic personality change.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21, 95-103. https://doi.org/10.1037/h0045357
  81. Rogers, C. R. (1975). Empathic: An unappreciated way of being. The Counseling Psychologist, 5 , 2-10. https://doi.org/10.1177/001100007500500201
  82. Weiss, H. M. (2002). Deconstructing Job Satisfaction: Separating Evaluations, Beliefs and Affective Experiences.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2(2), 173-194. https://doi.org/10.1016/S1053-4822(02)00045-1
  83. Winnicott, D. W. (1965). The maturational process and the facilitating environment. New York: International Univ.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