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Contents on Statistic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ccording to 2009 Mathematics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의 통계 영역 내용 분석 연구

  • 박영희 (청주교육대학교 수학교육과)
  • Received : 2016.01.22
  • Accepted : 2016.02.19
  • Published : 2016.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s on statistic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according to 2009 school curriculum. And we analyzed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in the light of data collection, graph understanding level suggested by Cursio. Specially, we analyzed the contents within the framework of evaluation norm suggested in 2015 school curriculum.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be a fundamental reference for the development of textbook according to 2015 school curriculum.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 통계 관련 내용을 알아보고, 수학 교과서에서 교육과정의 규준을 어떻게 구현하였는가를 알아보았다. 세부적으로 학년별 지도 내용과 세부 내용 제시 순서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평균이 적절하게 도입되었는지, 학생들이 실생활 자료를 수집하는 활동이 교과서에 어느 정도 제시되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을 현행 교과서를 분석하는 한 기준으로 삼아 알아보았다. 특히 Cursio가 제안한 통계그래프의 이해수준에 따라서 교과서의 질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의 통계 영역의 내용 개발에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완, 서동엽, 나귀수 (2013). 2009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 단원 평가의 개발 방향과 과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7(2), 301-319.
  2. 교육과학기술부 (2011). 2011년 8월 고시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과학기술부 (2013a). 1-2학년군 수학 3 교사용지도서. 서울: 천재교육.
  4. 교육과학기술부 (2013b). 1-2학년군 수학 4 교사용지도서. 서울: 천재교육.
  5. 교육부 (2014a). 수학 3-2 교사용지도서. 서울: 천재교육.
  6. 교육부 (2014b). 수학 4-2 교사용지도서. 서울: 천재교육.
  7. 교육부 (2015a). 수학 5-2 교사용지도서. 서울: 천재교육.
  8. 교육부 (2015b). 수학 6-2 교사용지도서. 서울: 천재교육.
  9. 교육부 (2015c).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부.
  10. Monica, W. & Lange, J. D. (1998). Insights into data. In Wisconsin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 Freudenthal institute (eds.), Mathematics in context. Chicago: Encyclopedia Britanica, Inc. 나온교육연구소(역) (2004). 그림으로 보는 수 세상. 서울: 나온교육연구소.
  11. 방정숙 (2008). 통계 학습과 관련된 제7차 초등학교 수학과 교과용 도서 분석. 한국학교수학학회논문집, 11(4), 655-676.
  12. 방정숙, 김수경, 최인영 (2012). 측정 영역에 관한 제7차와 현행 교과서 및 익힘책 비교 분석: 안내 정도와 측정의 주요 학습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6(2), 227-252.
  13. 임지애, 강완 (2003).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통계 그래프 지도 방법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7, 65-86.
  14. 장대흥 (2007). 제7차 1-6단계 수학과 교육과정 상의 확률과 통계 영역 교과서에 대한 통계적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1(3), 361-384.
  15. 장대흥, 이효정 (2005).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1-10단계 확률 및 통계 단원 분석. 응용통계연구, 18(1), 229-249. https://doi.org/10.5351/KJAS.2005.18.1.229
  16. Baroody, J. A. & Coslick, T. R.(1998). Fostering children's mathematical power: An investigative approach to K-8 mathematics instruction. LEA. Inc. 권성룡, 김남균, 김수환, 김용대, 남승인, 류성림, 방정숙, 신준식, 이대현, 이봉주, 조완영, 조정수(역) (2005). 수학의 힘을 길러주자. 왜? 어떻게?. 서울: 경문사.
  17. Curcio, F. R. (1987). Comprehension of mathematical relationships expressed in graph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8(5), 382-393. https://doi.org/10.2307/749086
  18. Watson, J. (2006). Statistical literacy at school: growth and goals. Lawrence Erlbaum Associate. 박영희(역) (2013). 학교에서 어떤 통계를 배워야 하지? 통계적 소양의 성장과 목표. 서울: 경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