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Influences of Stress on Successful Aging: Evaluation of Moderating Effect Mediated on Positivity and Family Support

스트레스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낙관성과 가족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 염동문 (한국국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이성대 (한국국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박무일 (창원문성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6.03.30
  • Accepted : 2016.06.07
  • Published : 2016.07.28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argeting 584 senior citizens aged 65 and over in Gyeongsangnam-do to verify a mediated control effect of optimism and family support in stress and successful aging of the aged. Using SPSS Macro Way suggested by Preacher and Hayes. A study model is verified through a route model, and the verification of the study model is conducted in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analyzes whether a control variable has a control effect in a relationship between predictor variable and standard variable, and the second stage confirms a relationship between predictor variable and mediated variable. In addition, the third stage confirms a mediated control effect. An analytical result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to verify a mediated effect between stress and successful aging, and optimism, it is confirmed that it supports a partially-mediated model. Second, as a result to verify a control effect of optimism and family support of successful aging, it is confirmed that everything has a control effect. Third, as a result to verify a mediated control effect of stress, optimism, successful aging, and family support, there is a mediated control effect.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practical undertone and future task are suggested, and a way to improve family support is presented for successful aging in advanced age.

본 연구는 노인의 스트레스와 성공적 노화에 있어 낙관성과 가족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경남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일반노인 584명을 대상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Preacher와 Hayes가 제안한 SPSS Macro방법을 사용하여 경로모형을 통해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모형 검증은 3단계로 실시하였으며, 1단계는 예측변수와 준거변수 관계에서 조절변수가 조절효과를 가지는가를 분석하였고, 2단계는 예측변수와 매개변수의 관계를 확인 후, 3단계에서는 매개된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레스와 성공적 노화, 낙관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분매개모형을 지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스트레스, 낙관성과 성공적 노화의 가족지지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조절효과가 모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스트레스, 낙관성과 성공적 노화, 가족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매개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함의와 향후 과제를 제시하고, 노년기 성공적 노화를 위한 가족지지 향상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2013년 고령자 통계, 2013.
  2. 황미구, 김은주, "노인의 주관적인 삶의 질과 자아존중감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우울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한국노년학, 제28권, 제4호, pp.865-886, 2008.
  3. P. Laslett, A fresh map of life London: Weidenfeld and Nicolson, 1989.
  4. 이신영, "국내의 성공적 노화 연구에 관한 일 고찰," 복지행정논총, 제16권, 제1호, pp.117-136, 2006.
  5. 홍현방, "생산활동 수준이 성공적인 노화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29권, pp.213-235, 2005.
  6. 이윤경, 정경희, 염지혜, 오영희, 유혜영, 이은진, 한국 노인의 삶의 변화 분석 및 전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7. 신경림, 김정선, "노인여성의 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제5권, 제1호, pp.29-37, 2003.
  8. N. Krause, "Exploring age differences in the stress-buffering function of social support," Psychology and aging, Vol.20, No.4, pp.714-717, 2005. https://doi.org/10.1037/0882-7974.20.4.714
  9. 정여진, 안정신,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가족관계변인이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제30권, 제2호, pp.535-550, 2010.
  10. 정태연, 조은영, "노년기의 외로움 및 생활만족도와 관련된 변인탐색," 한국노년학, 제25권, 제1호, pp.55-71, 2005.
  11. M. F. Scheier, C. S. Carver, and M. W. Bridges, "Distinguishing optimism from neuroticism(and trait anxiety, self-master, and self-esteem): A reevaluation of the Life Orientation Te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7, No.6, pp.1063-1078, 1994. https://doi.org/10.1037/0022-3514.67.6.1063
  12. 정명숙,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 제37권, pp.249-273, 2007.
  13. 엄인숙, "노인의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복지행정논총, 제22권, 제1호, pp.73-90, 2012.
  14. 임숙빈, 정철순, "자살을 생각한 고등학생들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의 스트레스원과 대응행위 비교," 대한간호학회지, 제32권, 제2호, pp.254-264, 2002.
  15. M. Flood, "Successful aging: A concept analysis," The Journal of Theory Construction and Testing, Vol.6, No.2, pp.105-108, 2002.
  16. K. Matsubayashi, M. Ishine, T. Wada, and K. Okuminya, "Older adults' views of Successful aging," Comparison of older Japanese and Americans,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54, pp.184-187, 2006.
  17. 유성경, 조하나, "낙관성 수준, 상황, 대상에 따른 대인관계도식의 차이," 한국심리학회: 상담 및 심리치료, 제15권, 제3호, pp.567-580, 2003.
  18. 전상완, 한국 예비노인의 건강증진행위 결정요인 탐색과 성공적 노화행동과의 관계 모형.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0.
  19. 김기태, 성명옥, 복봉길, 이경남, 최희경, 노인복지실천론, 양서원, 2002.
  20. L. Brissette, M. Scheier, and C. S. Carver, "The role of optimism in social network development, coping,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during a life transi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82, No.1, pp.102-111, 2002. https://doi.org/10.1037/0022-3514.82.1.102
  21. 강은영, 박인혜, 김윤경, 이정미, "청소년의 지각 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낙관성과 정 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pp.373-388, 2015.
  22. 이인정, "남녀노인의 우울, 삶의 만족에 대한 심리사회적 요인들의 영향의 차이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36권, pp.159-179, 2007.
  23. 장재원,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와 탄력성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14.
  24. H. Ayyash-Abdo, "Adolescent suicide: An ecological approach," Psychology in the Schools, Vol.39, pp.459-475, 2002. https://doi.org/10.1002/pits.10042
  25. 손정주, 가족지지가 청소년의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6. 정순둘,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관한 인식 비교연구," 한국노년학, 제27권, 제4호, pp.829-845, 2007.
  27. N. K. Arora, L. J. Finney Rutten, D. H. Guestafson, R. Moser, and R. P. Hawkin, "Perceived helpfulness and impact of social surpport provided by family, friend, and health care providers to women newly diagnosised with breast cancer," Psychooncology, Vol.16, pp.475-486, 2007.
  28. 권중돈, 노인복지론, 학지사, 2012.
  29. 김정미, "청소년의 학교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낙관성과 지각된 부모공감의 중재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4호, pp.203-225, 2014.
  30. S. Cohen, T. Kamarck, and R. Mermelstein,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24, pp.385-396, 1983. https://doi.org/10.2307/2136404
  31. R. H. Moos and B. S. Moos, "Family Environment Scale manual,"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cal Press, 1981.
  32. M. F. Scheier and C. S. Caver, "Effects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being; Theoretical overview and empirical update,"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16, pp.201-228, 1992. https://doi.org/10.1007/BF01173489
  33. K. J. Preacher, D. D. Rucker, and A. F. Hayes, "Addressing moderated mediation hypotheses: theory, methods, and prescription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Vol.42, No.1, pp.185-227, 2007. https://doi.org/10.1080/00273170701341316
  34. 염동문, 정정숙,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우울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30권, 제4호, pp.27-50, 2014.
  35. P. B. Kline,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3rd ed.), NewYork: Guilford Press, 2010.
  36. L. S. Aiken and S. G. West,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Newbury Park, CA: Sage, 1991.
  37. D. C. Howell, Statistical methods for psychology(5th ed.), Belmont, CA: Duxbury Press, 2002.
  38. M. E. P. Seligman, Learned Optimism, New York: Simon & Schuster, 1991.
  39. 김정희, 박지영, "노인의 노화불안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9호, pp.210-222,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9.210
  40. 김경수, 이은주,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참가와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성공적 노화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4호, pp.424-432, 2009.
  41. J. Rodin and G. McAvay, "Determinants of change in perceived health in a longitudinal study of older adults," Journal of Gerontology, Vol.47, pp.373-384, 1992. https://doi.org/10.1093/geronj/47.6.P373
  42. A. R. Herzog, R. L. Kahn, J. N. Morgan, J. S. Jackson, and T. C. Antonucci, "Age differences in productive activities," Journal of Gerontology, Vol.44B, No.4, pp.129-138,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