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un Factors of the Classes for the Gifted Based on Concept Mapping Approach

개념도 분석을 통해서 본 초등 영재수업에서의 '재미' 요인 탐색

  • Received : 2016.05.16
  • Accepted : 2016.06.27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build a concept map reflecting gifted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 on fun factors of the classes for the gifted. Data for this research was gathered through brainstorming of 80 students currently attending classes for the gifted. 10 of them were selected as focus group for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and 140 gifted-class students were asked of the fun factors for level of agreement after concept map analysis.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first, 46 final statements about fun factors which are categorized into 6 sub-categories ('the gifted class teacher's encouragement and feedback', 'confidence and chance', 'teamwork and intimacy with gifted friends', 'fulfilling, beneficial, and rewarding feeling', 'new and special experiments', 'qualitatively different class level and learning environment'). Second, the gifted students showed highest level of agreement on 'new and special experiments' category among the 6 sub-categories. Implication of this research on the field has been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개념도 연구를 통해 초등 영재학생들의 영재수업에 대한 재미요인에 대한 인식을 개념도를 규명함으로써 영재교육 운영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재미요인 개념도 연구를 위해 수도권에 소재한 단위학교 영재학급 학생 80명을 통해 브레인스토밍을 실시하였고, 그 중 10명을 초점집단으로 하여 분류 평정을 실시하였고, 단위학교 영재학급 학생 140명을 대상으로 개념도 연구를 통해 분석된 재미요인에 대한 동의정도를 구하였다. 연구결과, 개념도 연구를 통해 나타난 재미요인에 대한 최종 진술문은 46개의 문장이었으며 46개의 진술문에 대한 재미 인식 구조는 6가지 하위 범주(영재반 선생님의 격려와 피드백, 자신감과 기회의 획득, 우수한 친구들과의 교류, 알차고 유용하고 뿌듯한 느낌, 새롭고 특별한 실험, 질 높은 수업수준 및 학습환경)로 나타났다. 영재학생들은 재미요인 6가지 중에서 '새롭고 특별한 실험' 요인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동의를 나타냈다. 이 연구의 영재교육 현장에서의 함의가 논의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대현, 박영석 (2002). 학교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II).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 권순재(2012).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송부와 게임의 재미와 플로우 관계. 정보시스템연구, 21(2), 161-180.
  3. 김상우, 한기순 (2012). 개념도를 통해서 본 고등학교 영재학생의 학업부정행위에 관한 인식. 영재교육연구, 23(1), 67-87. https://doi.org/10.9722/JGTE.2013.23.1.67
  4. 김정운 (2011). 노는 만큼 성공한다. 파주: (주)21세기북스.
  5. 김주훈, 최승헌, 강대현, 곽영순, 유정애, 양종모, 이주섭, 최원윤, 김영애(2003). 학교교육의 내실화 방안 연구: 좋은 수업 사례에 대한 질적접근. 열린교육연구. 11(1), 43-61.
  6. 김지영 (2007). 네트워크 성과측정 기획을 위한 개념도 연구법 적용가능성. 한국사회복지학, 59(3), 281-304.
  7. 박승미 (2013). 재미있는 사회과 수업사례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8. 박영원 (2012). 시각 문화콘텐츠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2), 17-181.
  9. 박인호, 서예원, 한기순, 정현철, 최호성, 이상희 (2013). 영재교육 10년의 정량적, 정성적 성과 분석. 한국과학창의재단.
  10. 석임복, 강이철 (2007). Csikszentmihalyi의 몰입 요소에 근거한 학습몰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공학연구, 23(1), 121-154.
  11. 성창훈, 김병준 (1996). 청소년 운동선수의 스포츠 참가동기 심층분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7(1), 153-171.
  12. 신재봉 (2008). 초등학교 학생들의 스포츠참여 및 체육수업 만족도 조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3. 윤홍미, 안신호, 이승혜(1996). 우리를 즐겁게 하는 것들: 재미 유발요소에 대한 탐색적 연구. '96 연차대회 학술발표집. 한국심리학회, p. 492.
  14. 이현비(2004). 재미의 경계. 서울: 지성사.
  15. 정준환 (2012). PBL에 나타난 재미에 관한 질적 탐구: 3S-Fun.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16. 조은미 (2007). 좋은 수업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7. 차석빈, 김홍범, 오홍철, 윤지환, 김우곤(2008). 사례를 통해 본 다변량 분석의 이해. 서울: 백산출판사.
  18. 최선영, 여상인(2011). 초등과학 영재학급 학생의 영재학급 교육에 대한 만족도 조사. 과학교육논총, 24, 37-47.
  19. Bucher, C. C., Shiver, J. S., & Bucher, R. D. (1984). Recreation for today's society. NY: Prentice Hall.
  20. Cohn, P. J. (1991). An exploratory study on peak performance in golf. The Sport Psychologist, 5(1), 1-14. https://doi.org/10.1123/tsp.5.1.1
  21. Dewey, J. (1913). Interest and effort in education. Cambridge, MA: Riverside Press.
  22. Csikzentmihalyi, M., & Rathunde, K. (1993). The measurement of flow in everyday life toward a theory of emergent motivation. Developmental Perspectives on Motivation, 40(1), 57-97.
  23. Gol, A. R., & Cook, S. W. (2004). Exploring the underlying dimensions of coping: A concept mapping approach.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3(2), 155-171. https://doi.org/10.1521/jscp.23.2.155.31021
  24. Goodyear, R. K., Tracey, T. J., Claiborn, C., Lichtenberg, D., & Wampold, B. E. (2005). Idographic concept mapping in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 Conceptual overview, methodology, and illustr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2), 236-242. https://doi.org/10.1037/0022-0167.52.2.236
  25. Henderson, K., Glancy, M., & Little, S. (1999). Putting the fun into physical activity.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 Dance, 70(8), 43-49.
  26. Iran-Nejad, A. (1987). Cognitive and affective cause of interest and lik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9(1), 120-130. https://doi.org/10.1037/0022-0663.79.2.120
  27. Izard, E. C. (1991). The Psychology of emotion. New York: Plenum Press.
  28. Johnsen, J. A., Biegel, D. E. & Shafran, R. (2000). Concept mapping in mental health.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3(1), 67-75. https://doi.org/10.1016/S0149-7189(99)00038-5
  29. Kane, M., & Trochim, W. M. K. (2007).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ng.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30. Kelly, J. R. (1987). Freedom to be: A new psychology of leisure. NY: Mac Millan.
  31. Kintsch, W. (1980). Learning from text levels of comprehension or why would read a story anyway. Poetics, 9(1), 7-98.
  32. Koster, R. (2004). A theory of fun for game design. Scottsdale, AZ: Paraglyph.
  33. Mandler, G. (1982). The structure of value. In M. Clark & S. Fiske (Eds.), Affects and cognition(pp. 3-36).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4. Paulson, B. L. & Worth, M. (2002). Counseling for suicide: Client perception.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80(1), 86-93. https://doi.org/10.1002/j.1556-6678.2002.tb00170.x
  35. Podilchak, W. (1991). Distinction of fun, enjoyment, and leisure. Leisure Studies, 10(2), 133-148. https://doi.org/10.1080/02614369100390131
  36. Schraw, G. (1997). Situational interest in literacy text.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2(4), 436-456. https://doi.org/10.1006/ceps.1997.0944
  37. Trochim, W. M. K. (1989). An Instroduction to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12(1), 1-16. https://doi.org/10.1016/0149-7189(89)900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