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융합 정보윤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분석

A study of the effect analysis and development of informatics ethics education program based on subject integrations

  • 투고 : 2016.05.23
  • 심사 : 2016.07.15
  • 발행 : 2016.07.30

초록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에 따른 역기능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고 이에 따라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정보윤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가 크다. 정보윤리교육의 내용은 범교과 수준의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나 정보윤리에 관한 총체적인 교육과정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일부 선택 교과의 단원 안에 편성되어 있다. 따라서 교과별로 정보윤리교육 내용의 중복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중등학교의 경우 정보윤리교육을 다루는 교과의 대부분이 선택과목으로 되어 있어 학생에 따라 정보윤리교육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생긴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윤리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교과 통합 교육과정 모델과 사이버 윤리 교육모델에 기초한 교과융합 정보윤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정보윤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고등학교 1학년 291명을 대상으로 5개월 동안 실시한 결과 정보윤리 이해도 지수가 현저히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정보윤리교육의 기존 문제점을 구조적으로 안고 있는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의 정보윤리교육을 위해 본 교육프로그램의 사용을 제안한다.

As the science and technology advances, the side effect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use become a social issue and the social demands to strengthen the informatics ethics in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becomes great. The contents of informatics ethics education is included in the current curriculum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but they are embedded in multiple subjects without the holistic guidelines for the informatics ethics curriculum. Therefore it can have duplications of the contents or missing among subjects as those subjects are elective in the secondary school. In this study, we proposed a holistic curriculum for informatics ethics education and developed the education program based on subject integrated curriculum model and the cyber internet ethics education model to solve problems of informatics ethics education. The program was practised for 291 students of $10^{th}$ graders for 5 months and effectiveness was proven by the high attainment of ethics understanding. This subject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is proposed to solve the structural problems of informatics ethics education in 2015 curriculum.

키워드

참고문헌

  1. Moor, J. H. (1985). What is computer ethics? Metaphilosophy, 16(4), 266-275. https://doi.org/10.1111/j.1467-9973.1985.tb00173.x
  2. 김한성, 정혜진, 이원규 (2010). 정보교과의 정보윤리 교육내용에 대한 고찰.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10(2), 95-119.
  3. 조정표, 이철현 (2012).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정보통신윤리 교육 내용 비교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5(1), 205-230.
  4. 김형만, 조미헌 (2013). 초등학생의 정보화 역기능과 정보통신윤리교육 실태-충북지역 5,6 학년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컴퓨터교육학회지, 16(1), 23-32.
  5. 교육부 (2015).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
  6. 교육부 (2015).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 지침.
  7. 유상미, 신승용, 김미량(2010). 통합교과에서 의 정보윤리 교육을 위한 표준화된 교수-학습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1(5), 81-94.
  8. 권정인, 안성진(2013).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기반의 정보통신 윤리교육 교수-학습과정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지, 16(3), 41-48.
  9. 김정아, 노용 (2010). 미술.도덕 주제중심통합 수업이 초등학생의 정보통신윤리의식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 미술교육논총, 24(2), 397-426.
  10. 장순선, 이옥화 (2014). 인터넷 상에서의 윤리적 인지와 도덕적 행동 관련성 : 대학생의 도덕 판단력과 정보윤리 판단력, 인터넷윤리의식 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한국컴퓨터교육학회지, 17(2), 11-19.
  11. Richard J. Serverson (1997). The Principles of information ethics. M.E. Sparpe.
  12. Richard A. Spinello (2013). Cyberethics: Morality and Law In Cyberspace 5th Edition. Jones & Bartlett Learning, LLC.
  13. 추병완 (2001). 정보윤리교육론. 울력.
  14. 김성식 (2009). e시대의 정보통신윤리. 영진닷컴.
  15. 유진호 (2012). 인터넷 윤리의 개요 및 국내 현황. 정보과학회지, 30(10), 1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