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영재반 중학생들의 IT 융합 사사 프로젝트 수행에 관한 질적 분석

Qualitative Analysis of IT fused Mentorship Project Performance with Gifted Secondary Students in Information Science Class

  • 투고 : 2016.05.09
  • 심사 : 2016.07.04
  • 발행 : 2016.07.30

초록

이 논문은 2년의 수학-정보 통합 영재교육 과정을 마치고 사사과정에 진입한 중학생들이 IT 융합 팀 프로젝트를 수행한 사례를 분석하고 형성평가의 관점에서 사사과정 프로그램을 보완할 요인을 도출하였다. 담당 교수는 학생들이 중학생 3학년의 수준과 사사 과정의 특징을 감안하여 로봇키트와 미디어를 융합한 상호작용적 IT 융합 프로젝트를 자기주도적으로 해 나갈 수 있도록 안내해 주었다. 2015년 2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된 사사과정 기간 동안 팀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 관한 문서와 보고서를 비롯하여 사진 및 동영상 자료, 작업 결과물, 학생들과의 면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참여 학생들의 컴퓨팅 실력과 IT 융합 프로젝트에 대한 흥미가 제각기 달랐음에도 팀별 프로젝트 수행은 아이디어 탐색과 설계에 해당되는 초기 단계보다 그 이후의 구현 단계에서 적극적이고 안정된 패턴을 보여주었다. 또한 학생들의 산출물을 연구와 교육(R&E)의 9단계 모델에 따라 형성평가한 결과 작품 완성도에서 상중하에 따른 개인별 차이를 보여주었다. 끝으로 이 사례는 향후에 질적으로 보완해야 할 방향 및 사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tried to analyze cases of one year team-based project of gifted students who spent two year programs in a math-IT integrated class as part of formative evaluation and extract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future enhancement for the program. The researcher as an advisory professor tried to guide the students as minimally as possible considering their levels of IT skills so that they could self-directedly perform the IT-fused project on a team basis. The data collection included documents, annual report, photos, video, artifacts and interview data with the students for the whole team project carried out between February and December, 2015. The overall pattern of the project activities has been stabilized in the middle of the course compared to the initial stages of brainstorming and design work even though the students revealed the differences of their programming skills and preferences toward the project theme. Their project outcome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according to the 9 steps of R&E model and has shown individual differences according to low, middle and high level. At the end, the analysis suggested several implications for further improvement of the mentorship program.

키워드

참고문헌

  1. 김현주 (2011). 지역과 관객을 중심으로 한 예술과 과학의 융합적 협업으로서의 아트보틱스. HCI Korea 2011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1882-1915.
  2. 이홍규, 송기상, 김영식 (2014). 온라인 기반 로봇 사사교육의 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8(1), 241-247.
  3. 전용주, 홍창의, 김태영, 송기상 (2014). 초등 정보영재의 R&E 사사교육에서 CT기반 프로그래밍 교육 사례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8(1), 73-80
  4. 박홍준, 전영국 (2015). IT융합 기반의 고고범퍼카 콘텐츠 개발 및 프로젝트 적용 사례.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8(2), 21-33.
  5. 전영국 (2014). 필리핀 학교에서 적용한 에듀테인먼트 기반의 로봇 AEEP 사례에 대한 형성 평가. 교사교육연구, 53(1), 77-93.
  6. 전영국, 이행미 (2014). 초등학교 방과후 수업용 로봇예술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교사교육연구, 53(2), 260-276.
  7. 최숙영 (2016). 문제해결의 관점에서 컴퓨팅 사고력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에 대한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9(1), 53-61.
  8. 진석언, 이재호, 이순주, 원영실, 최선일 (2015). 영재교육 영역다양화 및 활성화 방안연구. 2014년 교육부 정책연구과제 보고서 2014-33.
  9. 전성균, 이영준 (2014). EPL을 활용한 예술 중심의 STEAM 교육 프로그램. 한국컴퓨터정보학회문지, 19(4), 149-158.
  10. 김미량, 조혜경, 이석원, 한정혜, 한광현, 신승용, 최미애, 지상훈, 김소미 (2008). 창의성 증진을 위한 로봇활용 교육 방안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KERIS 연구보고 KR 2008-14.
  11. 이형봉 (2011). 중등 정보과학 영재 사사지도 행렬중심 교수학습 자료 개발.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16(12), 139-155. https://doi.org/10.9708/jksci.2011.16.12.139
  12. 임병춘, 정인기 (2010). 10대들을 위한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휴먼싸이언스: 서울.
  13. 김경규, 이종연 (2014).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단계별 심화 교육과정의 설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7(1), 35-50.
  14. 곽소아, 권대용, 이원규 (2014). 초등정보영재의 동기와 부모지지에 따른 창의적 산출물 성취도 차이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7(3), 41-51.
  15. 김진영, 박홍준, 전영국 (2011). PBL 기반의 NetLogo를 이용한 교육용 콘텐츠 저작이 예비중등교사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공학교육연구, 14(4), 29-38.
  16. 김호숙, 김형석 (2014). 정보과학 창의성 향상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 정보교육학회 논문지, 18(4), 529-540.
  17. 심규철, 박경애, 길지현 (2009). 과학적 연구 기반 과학영재 사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Journal of the Society for the International Gifted in Science, 3(1), 9-19.
  18. 이영준, 김재현, 이은경, 최정원, 안상진, 전준호, 장종만 (2015). 중학교 소프트웨어 동아리 활동: 프로그래밍과 나. 한국과학창의재단.
  19. 이남섭, 이상봉 (2011).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동아리 활동을 위한 기술적 문제해결 활동 과제의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3), 40-57.
  20. 성정숙, 김현철 (2015). 국외 컴퓨터 교육과정의 변화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8(1), 45-54.
  21. 홍용희, 노경주, 심종희 (역) (2000). 질적 사례 연구. R. Stake의 The Art of Case Research. (원저 1995 출간) 서울: 창지사.
  22. 심규헌, 이상욱, 서태원 (2014). 아두이노를 활용한 STEAM 커리큘럼 설계, 적용 및 효과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7(4), 2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