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Indonesian's Korean National Image and Product Evaluation on Purchase Intension of Korean Fashion Product

인도네시아인의 한국 국가 이미지와 패션 제품 평가가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Na, Sung-Min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Hanyang University) ;
  • Lee, Yoona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Hanyang University) ;
  • Lee, Ji-Yeon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Hanyang University)
  • Received : 2016.01.18
  • Accepted : 2016.03.17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Indonesian's Korean national image and product evaluation on purchase intension of Korean fashion products. The survey was carried out on November, 2014 through online. An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living in Indonesi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Indonesia customers showed favorable attitudes towards Korean national image and the assessment of Korean fashion products. Also their purchase intension of products was comparatively high. The customers who purchased more Korean fashion products were more likely to have high purchase intension of them. Second, among the three factors of Korean national image, the advancement and national character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intrinsic attributes of Korean fashion products. Also, the product competitiveness and national character had positive effect on the extrinsic attributes. Third, the product competitiveness and extrinsic attributes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purchase intension on them. In conclusion, Korean national image affects evaluation and purchase intension of Korean fashion produc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Korea national image within Indonesia fashion market. And it will be a good way of marketing to promote product power of Korea fashion product to Indonesian.

Keywords

References

  1. 김은영, 박현덕. (2015). 아시아 신흥국 중산층의 소비패턴과 수출확대 전략-소비의식 및 행동을 중심으로.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Trade Focus, 14(34), 1-30.
  2. 김재은, 박길순. (2004). 한류 현상이 중국 신세대 패션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8(1), 154-164.
  3. 신혜영, 이인성. (2014). ASEAN 한류지역 소비자의 패션소비성향 및 한국 패션제품에 대한 평가. 기초조형학연구, 15(4), 253-264.
  4. 안덕현. (2014. 3. 2). 한국형 복합몰 해외 영토 넓히다. 서울경제신문. 자료검색일 2014. 6. 3, 자료출처 http://economy.hankooki.com/lpage/industry/201403/e20140302182203120210.htm.
  5. 오미영, 박종민, 장지호. (2003). 한국의 국가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14(1), 149-177.
  6. 유재웅, 진용주. (2010). 한국의 국가이미지 연구 경향: 200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12(4), 300-326.
  7. 이채연. (2015. 3. 5). 인도네시아 패션위크 2015. 어패럴 뉴스. 자료검색일 2015. 9. 1, 자료출처 http://www.apparelnews.co.kr/naver/view.php?iid=54053.
  8. 임현경, 이정우, 김미영. (2013). 중국 여대생의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 인지가 한국 패션브랜드 인지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7(4), 439-451. https://doi.org/10.5850/JKSCT.2013.37.4.439
  9. 왕방. (2011). 글로벌 SPA브랜드의 매장 VMD가 중국 소비자의 의류제품 평가 및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장세정, 이유리. (2008). 방한 외국인의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가 패션문화상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2(4), 669-680. https://doi.org/10.5850/JKSCT.2008.32.4.669
  11. 장정요, 박재옥, 이지연. (2015). 중국 소비자들의 문화적 근접성이 한국국가이미지와 패션제품이 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7(2), 173-184.
  12. 정단단. (2014). 한국이미지와 중국인터넷 쇼핑몰특성 및 패션제품평가.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조윤진, 이유리. (2007).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 방한 미국인, 일본인, 중국인의 비교 연구. 복식, 57(10), 74-86.
  14. 조윤진, 이유리, 김하연. (2009). 국가이미지, 국가에 대한 태도, 구매감정이 한국적 이미지 패션 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 여성 소비자를 중심으로. 복식, 59(10), 111-123.
  15. 최미영. (2015). 중국 여성 소비자의 패션의식과 패션소비성향 및 한국 패션제품에 대한 평가. 기초조형학연구, 16(3), 557-570.
  16. 하지수, 황진숙. (2014). 한국 패션제품에 대한 국가 이미지, 패션제품 평가속성, 브랜드 태도의 관계: 체면과 자민족중심주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44, 65-78.
  17. 한국컬러앤드패션트렌드센터. (2012. 11). ASEAN 한류 패션시장조사. 패션넷코리아. 자료검색일 2015. 9. 6, 자료출처 http://www.fashionnetkorea.com/fashion/fashiondb_fiber_sub.asp.
  18. 홍금희, 유정. (2009). 중국 여자 대학생의 유행선도력과 한류 선호에 따른 한국 패션 브랜드 구매 행동. 한국의류학회지, 33(4), 655-665. https://doi.org/10.5850/JKSCT.2009.33.4.655
  19. Eckman, M., Damhorst, M. L., & Kadolph, S. J. (1990). Toward a model of the in-store purchase decision process: Consumer use of criteria for evaluating women's apparel.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8(2), 13-22. https://doi.org/10.1177/0887302X9000800202
  20. Lennon, S. J., & Fairhurst, A. E. (1994). Categorization of the quality concept.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22(3), 267-285. https://doi.org/10.1177/0046777494223001
  21. Martin, I. M., & Eroglu, S. (1993). Measuring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Country imag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8(3), 191-210. https://doi.org/10.1016/0148-2963(93)90047-S
  22. Park, H. H., & Sullivan, P. (2009). Market segmentation with respect to university students' clothing benefits sought: Shopping orientation, clothing attribute evaluation, and brand repatronage.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Management, 37(2), 182-201. https://doi.org/10.1108/09590550910934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