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남화, 박윤배(2010). 미국의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학생들의 흥미와 창의성을 높이는 수업요소. 과학교육연구지, 34(2), 421-431.
- 곽영순, 김찬종, 이양락, 정득실(2006). 초, 중등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조사. 한국지구과학회지, 27(3), 260-268.
- 곽호원(1997). 능동적인 학습에 의한 과학탐구 활동.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6(2), 317-323.
- 교육과학기술부(2011). 2011 개정 초.중등 교육과정: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9).
- 김경희, 김수진, 김남희, 박선용, 김지영, 박효희, 정송 (2008). 수학, 과학 성취도 추이 변화 국제비교 연구-TIMSS 2007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 김래현, 임채성, 김재영(2014). '작은 생물의 세계' 수업주제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후속 흥미 분석. 생물교육, 42(4), 359-370.
- 김래현, 임채성(2016). 작은 생물의 세계 주제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후속 흥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초등과학교육, 35(1), 123-135.
- 김성일(2007). 재미는 어디서 오는가?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12-13.
- 김재영, 임채성, 백자연(2014).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을 적용한 초등학교 학생의 과학 자유탐구에서 행동 영역 분석. 초등과학교육, 33(3), 579-587.
- 김지은, 임채성, 김성하, 홍준의(2015). 정의적 영역 중심의 뇌기반 진화적 접근에 따른 "생물과 환경" 단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활동 분석. 생물교육, 43(4), 464-472.
- 김한수, 허명, 이길재, 정완호, 김성하(2001). Rapid-cycling Brassica rapa를 이용한 생물 탐구 수업의 효과.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9(1), 78-86.
- 김효남, 정완호, 정진수(1998).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57-369.
- 박현애, 배성우, 박종석(2014). 과학교육의 태도와 흥미 연구에서 리커트 척도 활용의 유의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4), 385-391.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4.0385
- 박형민, 김재영, 임채성(2015).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에 따른 과학 야외학습이 초등학생들의 흥미와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4(2), 252-263.
- 백자연, 임채성, 김재영(2014).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을 적용한 초등학교 학생의 과학 자유탐구에서 인지적 영역 분석. 초등과학교육, 33(4), 773-783.
- 백자연, 임채성, 김재영(2015).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에 따른 과학 자유탐구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34(1), 109-122.
- 송미영(2013).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2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송영욱, 김범기(2010). 과학적 태도 요소 선정 및 학교, 가정, 사회 상황을 고려한 과학적 태도 측정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4), 375-388.
- 유경진, 천재순, 정진수(2010). 중학생의 생명현상 관찰 활동에서 과학적 흥미 발생 요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5), 594-608.
- 이명선, 김성하(2009). 속성배추를 이용한 식물 탐구 수업이 초등학생의 식물 개념 변화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28(3), 277-291.
- 이현미, 김성하, 차희영, 이길재, 정완호(2002). Rapid-cycling Brassica rapa를 이용한 창의력 및 과학적 사고력을 위한 광합성 실험 모듈의 개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0(4), 289-300.
- 임채성, 김재영, 백자연(2012). 뇌기반 진화적 과학교수 학습모형을 적용한 초등학교 학생의 자유 탐구 활동에서 과학 태도와 흥미 주제 영역 분석. 초등과학교육, 31(4), 541-557.
- 임채성, 오윤화(2004). 초등학교 학생이 지각한 감성 상태와 과학 학습 경험에 대한 기억의 관계.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2(2), 173-180.
- 임채성(1997). 협동학습의 대뇌생물학적 기초: 아이디어-공유 창출 모델.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5(2), 143-155.
- 임채성(2005). 뇌 기능에 기초한 과학 교수학습: 뇌 기능과 학교 과학의 정의적.심체적.인지적 영역의 연계적 통합 모형. 초등과학교육, 24(1), 86-101.
- 임채성(2009). 뇌기반 진화적 과학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8), 990-1010.
- 임채성(2012).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에 따른 창의적 과학 문제해결 지도 모형 개발. 생물교육, 40(4), 429-452.
- 장현숙, 김성하(2008). 속성배추를 이용한 초등학생용 환경오염 탐구 모듈의 적용 효과.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6(2), 135-150.
- 전민정, 김흥태, 김재근(2012). 초등학생들의 생물에 대한 흥미의 특성 및 경험과의 관계. 생물교육, 40(1), 1-14.
- 정순진, 문지혜, 이상미, 조혜진(2013). 상추 기르기를 통한 탐구활동이 초등학교 5학년의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농촌지도와 개발, 20(4), 1023-1043.
- 최효선, 임채성, 김성하, 홍준의(2016). 행동적 영역 중심의 뇌기반 진화적 접근에 따른 '식물의 뿌리 기능 알아보기'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활동 분석. 생물교육, 44(1), 167-178.
- Aksela, M. M. & Bostrom, M. (2012). Supporting students' interest through inquiry-based learning in the context of fuel cells. Mevlana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2(2), 53-61.
- Chinn, C. A. & Malhotra, B. A. (2002). Epistemologically authentic inquiry in school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valuating inquiry tasks. Science Education, 86(2), 175-218. https://doi.org/10.1002/sce.10001
- Goldman, I. (1999). Teaching recurrent selection in the classroom with Wisconsin fast plants. Hort Technology, 9(4), 579-584.
- Kanhathaisong, B., Wongyounoi, S., Boonprakob, M., Dechsri, P. & Chaivisuthangkura, P. (2009). Introducing a warm temperature adapted rapid cycling "Brassica rapa" to a thai science classroom: A preliminary study on students' involvement in realistic investig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Learning, 16(10), 369-378.
- Larson, L. C. & Miller, T. N. (2011). 21st century skills: Prepare students for the future. Kappa Delta Pi Record, 47(3), 121-123. https://doi.org/10.1080/00228958.2011.10516575
- Roth, W. (2008). Authentic science for all and the search for the ideal biology curriculum: A personal perspective.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43(1), 3-5. https://doi.org/10.1080/00219266.2008.9656142
- Schwab, J. J. & Brandwein, P. F. (1962). The teaching of science: The teaching of science as enquiry (Vol. 253). Harvard University Press.
- Springer, L., Stanne, M. E. & Donovan, S. S. (1999). Effects of small-group learning on undergraduates in science, mathematics, engineering, and technology: A meta-analysi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9(1), 21-51. https://doi.org/10.3102/00346543069001021
- Tomkins, S. P. & Williams, P. H. (1990). Fast plants for finer science-an introduction to the biology of rapid-cycling Brassica campestris (rapa) L.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24(4), 239-250. https://doi.org/10.1080/00219266.1990.9655152
- van Eijck, M. & Roth, W. M. (2009). Authentic science experiences as a vehicle to change students' orientations toward science and scientific career choices: Learning from the path followed by Brad. Cultural Studies of Science Education, 4(3), 611-638. https://doi.org/10.1007/s11422-009-9183-8
- Williams, P. H. & Hill, C. B. (1986). Rapid-cycling populations of Brassica. Science, 232(4756), 1385-1389. https://doi.org/10.1126/science.232.4756.1385
- Wlodkowski, R. J. (1999). Enhancing adult motivation to learn: A comprehensive guide for teaching all adult.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 Zachos, P., Hick, T. L., Doane, W. E., & Sargent, C. (2000). Setting theoretical and empirical foundations for assessing scientific inquiry and discovery in educational program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9), 938-962. https://doi.org/10.1002/1098-2736(200011)37:9<938::AID-TEA5>3.0.CO;2-S
피인용 문헌
- 초등 예비교사들의 '배추흰나비 한살이' 탐구에서 나타난 지식변환 유형 탐색 vol.38, pp.4, 2016, https://doi.org/10.15267/keses.2019.38.4.4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