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권지숙(2008). 영재의 완벽주의 특성과 또래관계 성향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교헌, 김지환(1989). 한국판 UCLA 고독척도. 학생생활연구, 16, 13-30.
- 도현심(1998). 인성특성 및 또래에 의한 괴롭힘과 청소년의 외로움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6(12), 7-9.
- 류은주, 김정은, 백성혜(2011). 사회-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과학 영재에 대한 고찰. 영재교육연구, 21(3), 659-682. https://doi.org/10.9722/JGTE.2011.21.3.659
- 박경숙, 손희권, 송혜경(1998). 학생의 왕따(집단 따돌림 및 괴롭힘) 현상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박성익. 조석희, 김홍원, 이지현, 윤여홍, 진석언, 한기순 (2003). 영재교육학원론. 파주: 교육과학사.
- 박천희(2003). 집단따돌림 현황에 관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우경(2003). 부적응 영재아 상담에 대한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2(2), 65-86.
- 여상인, 박상희(2005). 초등과학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교우관계 비교. 영재교육연구, 15(1), 45-59.
- 우민정, 박인전(2001). 초기 부모: 자녀 결합형태 및 가족기능과 아동의 외로움간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 6(2), 25-43.
- 유미현, 조성신, 여상인(2011). 영재학생의 일반학급 및 영재교육기관에서의 학교생활만족도. 영재교육연구, 21(2), 465-484.
- 윤여홍(1980). 영재의 심리적 특성과 판별 특징.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윤여홍(1996). 영재아동의 정서적 특성에 관한 임상연구: 정신 건강을 위한 지도. 영재교육연구, 6(1), 53-72.
- 윤초희, 윤여홍, 김홍원(2004). 지적으로 우수한 초등 영재아의 심리사회적 적응,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7(2), 177-196.
- 이명선(2011).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이 일상에서 체험하는 외로움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질적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영철(2009). 초등학교 수학 영재의 일반학급과 영재학급에서의 교우 관계와 학교생활 적응 비교.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치훈(2012). 초등영재가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유형에 따른 정서지능의 차이.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임연진, 나유미(2003). 청소년의 부모-자녀 관계 및 자아존중감과 외로움간의 관계. 청소년복지연구, 5(2), 61-69.
- 전병옥, 한기순(2014). 초등영재아동의 '행복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영재교육연구, 24(3), 399-420. https://doi.org/10.9722/JGTE.2014.24.3.399
- 정은선, 조한익(2009). 부모의 양육태도가 주관적 행복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1), 209-227.
- 조석희(1996). 영재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최은선(2004). 초등 영재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은혜, 이지연(2010). 초등영재아동의 지각된 성취압력과 스트레스 관계에서 정서조절 능력의 조절효과. 아동교육, 19(3), 265-285.
- 한기순, 신정아(2007). 성취영재와 미성취영재는 어떻게 다른가?: 학습전략, 동기, 능력신념, 그리고 문제해결 성향의 차이분석. 영재교육연구, 17(1), 27-50.
- 허창재(2002). 영재아동의 스트레스요인과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Brage, D., Meredith, W. & Woodward, J. (1993). Correlates of loneliness among midwestern adolescents. Adolescence, 28(3), 685-694.
- Clandinin, D. J. & Connelly, F. M. (2000).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 Rodell, W. (1985). Developing social competence in gifted preschool children. Remendial and Special Education, 6(4), 6-11.
- Rokach, A. (2001). Criminal offense type and cause of loneliness. The Journal of Psychology, 135(3), 277-291. https://doi.org/10.1080/00223980109603698
- Russell, D., Peplau, L. A. & Cutrona, C. E. (1980).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evid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 472-480. https://doi.org/10.1037/0022-3514.39.3.472
- Webb, J. T., Meckstroth, E. A. & Tolan, S. S. (1982). Guiding the gifted child: A practical source for parents and teachers. Ohio Psychology Pubulication Company.
- Whitmore, J. R. (1979). Discipline and the gifted child. Roeper Review, 2(2), 42-46. https://doi.org/10.1080/027831979095524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