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Landscape Change in Nakdong River Delta The Case of Myeongjidong

낙동강 삼각주의 경관변화에 관한 연구 -명지동을 사례로-

  • Heo, Minseok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ersity) ;
  • SON, ILL (Dept. of Geography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 Tak, Hanmyeong (Dept. of Geograph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허민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
  • 손일 (부산대학교 지리교육과) ;
  • 탁한명 (전남대학교 지리학과)
  • Received : 2016.08.28
  • Published : 2016.08.31

Abstract

This study has taken the Myeongjidong island, which has experienced spatial change due to various reasons ranging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until today, as an instance in order to comprehend macroscopic spatial change of the Nakdonggang Delta and the adaptation process of the locals in a microscopic point of view. Spatial change of the Myeongjidong has been confirmed by collecting maps such as the atlas of late period of Chosun published in 1910, topographic map, regional geography, city records, and by applying coordinates with geographic reference function of GIS program, then checking for time sequential space change of individual regions. Space change driven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Gimhae Irrigation Association, and by national policy or planning brought about environmental and humanistic changes unlike ever before, and land usage, housing and industry of the region and the locals experienced various adaptation processes. Such processes were compiled through collection and comparison of literature, and supplementation from interview of the locals during field study. As for the research region, it ranged from the construction of Nakdonggang bank and Myeongji seawall of 1935, agricultural rural landscape formed after the area expansion project by Gimhae Irrigation Association in 1940, to landscape that are becoming mercantile and urban due to the developmental plans of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본 연구에서는 일제강점기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요인에 의해 공간적 변화가 이루어진 명지동을 사례로 낙동강 삼각주의 거시적 공간 변화와 지역주민들의 적응과정을 미시적 관점에서 파악하였다. 명지동의 공간적 변화는 1910년 발행된 구한말 지도집, 지형도, 지지(地誌), 시사(市史) 등에서 지도를 수집하고 GIS 프로그램의 지리참조 기능을 이용해 좌표를 부여한 후, 각 지역의 시계열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조선총독부, 김해수리조합, 국가의 계획이나 정책에 의해 추진된 공간변화는 이전과 다른 환경적, 인문적 변화를 가져왔으며, 지역과 주민들의 토지이용, 주택, 산업 등에 다양한 적응과정을 불러왔다. 이러한 적응과정은 문헌을 수집하고 비교한 후, 현지조사에서 실시한 지역주민들과의 면담을 통해 자료를 보충하였다. 연구지역은 1935년 낙동강제방과 명지방조제 축조를 시작으로 1940년대 후반 김해수리조합의 구역확장공사가 이루어진 이후 형성된 농업적, 전원적 경관이 1970년대 이후 국가, 지방자치단체의 발전계획에 따라 상업적, 도시적 경관으로 변화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서향토지발행추진위원회, 1988, (부산직할시) 강서향 토지.
  2. 건설부, 한국수자원공사, 1988, 낙동강 하구둑 공사지.
  3. 경향신문, 1949, "염업진흥책 홍의원 등 질의"(1949/11/04).
  4. 경향신문, 1978, "김수출 중지"(1978/1/24).
  5. 국제신문, 1997, "낙동강, 개량조개 복합양식'차질'...정부 허용불구"(1997/8/30).
  6. 국제신문, 2006, "낙동강 하구 청게 살려줘요"(2006/9/08).
  7. 권혁재, 1973, "낙동강 삼각주의 지형연구," 대한지리학회지, 8(1), 8-23.
  8. 권혁재, 1974, "한국의 하천과 충적지형,"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논총, 1, 75-92.
  9. 권혁재, 1999, 지형학, 법문사.
  10. 김성환, 2005, 낙동강 하구둑 건설과 삼각주연안 사주섬 지형변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김해군, 1976, 국유재산취득기부체납 공동묘지 건.
  12. 김해군, 해당연도, 통계연보.
  13. 김해농지개량조합, 1996, 김해농조팔십년사, 김해농지개량조합.
  14. 김호종, 1989, 조선후기 염업사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농림부, 해당연도, 통계연보, 농림부.
  16. 대한민국 수산청, 해당연도, 수산통계연보, 대한민국 수산청.
  17. 대한민국 총무처, 1960, 염업정비임시조치법, 대한민국정부.
  18. 대한민국정부, 1987, 단보 10807, 총무처.
  19. 대한염업조합연합회, 1957, 염전지, 대한염업조합연합회.
  20. 동아일보, 1939, "동래명산 낙동해태 연간 십만원을 돌파"(1939/8/04).
  21. 동아일보, 1947, "민간제염통제 부동노력확보가 긴요"(1947/5/21).
  22. 동아일보 , 1948, "태풍화참담 다도해 전멸상태"(1948/7/17).
  23. 동아일보, 1963, "사망자만 130명"(1963/7/02).
  24. 류승훈, 2006, 낙동강 하구 제염업의 변천과 소금 관련 민속,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매일경제, 1972a, "활로 찾은 해태생산-하구산 대일수출과 그 전망"(1972/5/31).
  26. 매일경제, 1972b, "라면수요 급신장"(1972/8/07).
  27. 문철남, 1977, 우리나라 해태양식업의 지리적 고찰,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반용부, 1986, 낙동강 삼각주의 지형과 표층퇴적물 분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반용부, 1997, "낙동강 삼각주의 지형경관 변화," 자연과학논문집, 3, 111-138.
  30. 부산강서구지편찬위원회, 2014, 강서구지.
  31. 부산광역시 강서구청, 해당연도, 구정백서.
  32. 부산광역시 건설본부, 2000a, 명지I.C건설공사.
  33. 부산광역시 건설본부, 2000b, 명지주거단지조성사업 건설지.
  34. 부산광역시 도시계획실 도시계획과, 2015,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 명지지구 실시계획 변경 승인 및 지형도면 고시.
  35. 부산광역시, 2001, 순아3구-명지간 도로 확장 및 포장공사 토목분야 시설물 인수.인계서.
  36. 부산시, 해당연도, 부산시 통계연보.
  37. 부산일보, 1997, "<바다를 캔다-수산업 그 현장을 찾아서> 명지 낙동김 양식장"(1997/1/03)
  38. 부산일보, 1998, "반갑다 청게야"(1998/10/12).
  39. 부산일보, 2009, "부산 원목야적장 없어지면 어쩌나" (2009/5/06).
  40. 부산지방국토관리청.현대엔지니어링.경일기술공사, 2001, 서낙동강 하천정비기본계획, 부산지방국토관리청.
  41. 부산직할시, 1982a, 국유재산무상편입 결정서 북구 명지동 진목지구.
  42. 부산직할시, 1982b, 국유재산무상편입 결정서 북구 명지동 중리지구.
  43. 부산직할시사편찬위원회, 1989, 부산시사, 부산직할시사편찬위원회.
  44.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2006,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백서: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45. 연합뉴스, 2015, "부산 명지국제신도시 '매립 쓰레기'에 발목잡혀 지연"(2015/3/20)
  46. 장보웅, 2000, "낙동강 삼각주 지역의 갈대 지붕 민가 연구," 문화역사지리, 12(2), 1-13.
  47. 장창익, 2009, "수산물 생산성,"한국의 갯벌(고철환 엮음), 서울대학교출판부, 195-225.
  48. 조선총독부, 1926, 명지방조제축조공사. 조선총독부.
  49. 조선총독부.한국건설기술연구원.한국 국토해양부, 2010a, 1935년 조선 직할하천 공사 연보.
  50. 조선총독부.한국건설기술연구원.한국 국토해양부, 2010b, 1934년 남선의 홍수
  51. 주경업.최경헌, 2012, 낙동강 사람들: 낙동강에 신명바친 사람들의 굼뜬 이야기, 부산민학회.
  52. 최덕주, 1979, "낙동강 하구의 지리학적 연구," 부산교육대학 논문집, 15(1), 115-139.
  53. 한겨레, 1990, "오염하수로 김 수확 못해"(1990/12/21).
  54. 한국농어촌공사 김해지사, 2001a, 경등양수장(명지) 수리시설 개보수사업.
  55. 한국농어촌공사 김해지사, 2001b, 명지양수장(명지) 수리시설 개보수사업.
  56. 한국농어촌공사 김해지사, 2001c, 신포양수장(명지) 수리시설 개보수사업.
  57. 한국지반공학회, 2007, "지반구조물 순례: 낙동강하구둑 교량확장공사," 한국지반공학회지, 23(11), 63-67.
  58. KNN 뉴스, 2015, "부산 청게를 아십니까"(2015/3/08).
  59. 국가기록원, http://theme.archIves.go.kr
  60.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main.html
  61.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청, http://www.bjfez.go.kr/main/
  62. 부산발전연구원, http://www.bdi.re.kr/main/
  63. 부산수산자원연구소, http://www.busan.go.kr/626082100000000/officehome/Main.bs
  64. 부산에코델타시티, http://ecodeltacity.kwater.or.kr/EcoDeltaCity/mai.aspx
  65. 통계청, 농산물생산조사(1980, 1990, 2000, 2010),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entld=F#SubCont.
  66. 한국산업단지공단, http://www.kicox.or.kr/
  67.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tp://www.grandculture.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