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eer Conformity and SNS Peer-Bullying among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Moderating Role of Moral Disengagement

또래동조성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SNS 또래괴롭힘에 미치는 영향: 도덕적 이탈의 조절효과 분석

  • 김부경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 한윤선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Received : 2016.07.25
  • Accepted : 2016.08.30
  • Published : 2016.09.28

Abstract

This research attempte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SNS peer bullying and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 of moral dis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conformity and SNS peer bullying. We u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test our hypotheses. Results indicated that antisocial peer conformity is positively related with SNS peer-bullying. The effect of antisocial conformity on SNS peer-bullying was higher for those who have higher moral disengage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providing educational programs that target moral disengagement as a strategy to decrease the negative role of antisocial conformity on SNS peer-bullying.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또래괴롭힘을 서로 알고 지내는 친구사이에서 SNS를 통하여 발생하는 괴롭힘으로 정의하고 온라인 또래괴롭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또래동조성이 높은 초기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 학생 375명을 대상으로 또래동조가 온라인 또래괴롭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도덕적 이탈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조절회귀분석 결과 반사회적 또래동조성이 높아질수록 온라인 또래괴롭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사회적 또래동조성과 온라인 또래괴롭힘의 관계에 있어 도덕적 이탈이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또래괴롭힘에 대한 또래동조의 악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인성교육을 통한 도덕적 이탈의 감소를 제안한다. 이를 통하여 초기 청소년의 반사회적 또래동조성을 감소시켜 효과적인 온라인 또래괴롭힘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옥경영, 홍재원, "청소년의 사회적 네트워크에서의 지위 (social standing) 가 온라인 사회적 활동(social activity) 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370-379, 2012.
  2.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인터넷진흥원, 2014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2014.
  3. 조윤오, "사이버불링 피해가 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 우울감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10호, pp.117-142, 2013.
  4. 이아름, 이윤주, 양현일, "고학년 초등학생의 공격성과 언어폭력성이 사이버 불링 피해 및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제15권, 제6호, 2014.
  5. 청소년폭력예방재단, 2013 전국 학교폭력 실태조사 보고서, 청소년폭력예방재단, 2013.
  6. 한국정보화진흥원, 소셜미디어 부작용 유형 및 대응방향,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7. S. Hinduja and J. W. Patchin, "Offline consequences of online victimization: School violence and delinquency," Journal of School Violence, Vol.6, No.3, pp.89-112, 2007. https://doi.org/10.1300/J202v06n03_06
  8. 안수빈, 부모애착과 또래동조성이 청소년의 sns 또래괴롭힘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9. C. N. Gunawardena and F. J. Zittle, "Social presence as a predictor of satisfaction within a computer‐mediated conferencing environment,"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Vol.11, No.3, pp.8-26, 1997. https://doi.org/10.1080/08923649709526970
  10. 유상미, 김미량, "실천적 정보통신윤리 교육을 위한 사이버 일탈행위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제13권, 제15호, pp.51-70, 2010.
  11. 유귀순, 공격성과 동조성이 집단따돌림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2. T. J. Berndt, "Developmental changes in conformity to peers and parents," Developmental Psychology, Vo1.15, No.6, p.608, 1979.
  13. B. B. Brown, M. J. Lohr, and E. L. McClenahan, "Early adolescents' perceptions of peer pressure,"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Vol.6, No.2, pp.139-154, 1986. https://doi.org/10.1177/0272431686062005
  14. 조윤주, 정옥분, "청소년의 동조적 또래괴롭힘에 대한 매개된 조절모형 검증," 人間發達硏究, 제16권, 제3호, 2009.
  15. 이현주, 권수정, "초등학생의 따돌림 경험이 따돌림 동조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205-21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205
  16. 안수빈, 이강이, "부모애착과 또래동조성이 청소년의 sns 또래괴롭힘에 미치는 영향," 人間發達硏究, 제21권, 제3호, pp.51-67, 2014.
  17. 나은영, 차유리, "인터넷 집단극화를 결정하는 요인들: 공론장 익명성과 네트워크 군중성 및 개인적, 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6권, 제1호, pp.103-122, 2012.
  18. R. M. Kowalski, S. Limber, S. P. Limber, and P. W. Agatston, "Cyberbullying: Bullying in the digital age," John Wiley & Sons, 2012.
  19. J. W. Patchin and S. Hinduja, "Bullies move beyond the schoolyard a preliminary look at cyberbullying," Youth Violence and Juvenile Justice, Vol.4, No.2, pp.148-169, 2006. https://doi.org/10.1177/1541204006286288
  20. 추병완, "온라인에서의 도덕적 이탈과 인터넷 윤리교육의 과제," 윤리교육, 제87권, 제0호, pp.119-141, 2012.
  21. C. D. Pornari and J. Wood, "Peer and cyber aggression in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role of moral disengagement, hostile attribution bias, and outcome expectancies," Aggressive Behavior, Vol.36, No.2, pp.81-94, 2010. https://doi.org/10.1002/ab.20336
  22. 서미정, "도덕적 이탈 및 도덕적 정서가 또래괴롭힘에 대한 가해동조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제34권, 제6호, pp.123-138, 2013. https://doi.org/10.5723/KJCS.2013.34.6.123
  23. L. Lazuras, V. Barkoukis, D. Ourda, and H. Tsorbatzoudis, "A process model of cyberbullying in adolescenc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9, No.3, pp.881-887, 2013. https://doi.org/10.1016/j.chb.2012.12.015
  24. 박영신, 김의철, 탁수연. "청소년 사이버 일탈행동에 대한 부모, 친구, 도덕적이탈 및 관계효능감의 영향," 교육심리연구, 제25권, 제3호, pp.617-645, 2011.
  25. 임상수, 김국현, 문성학, "사이버 불링의 이해와 법률적, 교육적 대응책," 한국윤리교육학회 학술대회 2013, pp.26-60, 2013.
  26. 추병완, "도덕과 교육을 통한 사이버 불링(cyber bullying) 예방 방안," 교육과정평가연구, 제17권, 제1호, pp.97-119, 2014.
  27. 정한라, 국내외 사이버폭력 사례 및 각국의 대응방안, KISA Report, 2013.
  28. N. E. Willard, Cyberbullying and cyberthreats: Responding to the challenge of online social cruelty, threats, and distress, Center for Safe and Responsible Internet Use, Research Press, 2006.
  29. 오경희, 아동의 또래동조성 발달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0.
  30. 김은진, 청소년의 문화성향과 내외통제성 및 또래동조성의 관계,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31. 오민석, 초등학생의 또래갈등과 또래동조성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2. A. Bandura, C. Barbaranelli, G. V. Caprara, and C. Pastorelli, "Mechanisms of moral disengagement in the exercise of moral ag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1, No.2, p.364, 1996. https://doi.org/10.1037/0022-3514.71.2.364
  33. 김경연, 하영희, "죄책감, 도덕적이탈, 및 친구의 규칙위반성향과 청소년의 규칙위반행동,"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16권, 제2호, pp.39-52, 2003.
  34. R. Hocking and O. Pendleton, "The regression dilemma," Communications in Statistics-Theory and Methods, Vol.12, No.5, pp.497-527, 1983. https://doi.org/10.1080/03610928308828477
  35. H. Leventhal, R. Singer, and S. Jones, "Effects of fear and specificity of recommendation upon attitudes and behavi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2, No.1, pp.20-29, 1965. https://doi.org/10.1037/h0022089
  36. A. Bandur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Englewood Cliffs, 1986.
  37. A. Bandura, "Selective moral disengagement in the exercise of moral agency," Journal of Moral Education, Vol.31, No.2, pp.101-119, 2002. https://doi.org/10.1080/0305724022014322
  38. J. A Bishop and H. M. Inderbitzen, "Peer acceptance and friendship: An investigation of their relation to self-esteem,"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Vol.15, No.4, pp.478-489, 1995.
  39. 이영식, "사회유대의 신념요인이 사이버 불링 가해 현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pp.256-262,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1.256
  40. 박수정, 김도연, "초등학교 고학년을 위한 또래괴롭힘 예방프로그램의 효과-자기주장훈련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제47권, pp.69-91, 2014.
  41. 제정희, 유형근, "초등학교 고학년 여학생의 집단 따돌림 예방을 위한 놀이치료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아동교육, 제21권, 제1호, pp.285-300,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