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atterns of Recollection and the Desires of Users in the Drama Series

드라마 <응답하라> 시리즈의 기억 회상과 시청자의 수용욕망 연구

  • 안상원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 김혜빈 (행정자치부 창조정부기획과)
  • Received : 2016.05.23
  • Accepted : 2016.07.11
  • Published : 2016.09.28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patterns of recalling memories in the series and look into the desires of viewers disclosed in the process. Entering the 2010s, people got to recall their memories from the 1980s and 1990s. Nostalgia and retro became cultural products. What made the series, those depict the pure love, friendship, and family affection of main characters under age in those decades, so popular among the viewers? Finding a repeating pattern in recollection of the past, dating, and family love, the investigator saw that the pattern met the needs of viewers and thus analyzed their desires inherent in the series with a focus on its "narratives" and "characters." Their unique sounds effect and music established a micro-narrative that could be divided, thus allowing viewers to own certain scenes easily, which worked to make "non-existent" memories. Secondly, the series succeeded in capturing the desire of viewers living in the age of neoliberalism to reduce their fatigue from excessive choices by setting the characters in a contrived way and thus presenting the desire of maintaining the stable middle class world with no conflicts and the passive female characters. The recollections provided by the series, in the end, fill the desire and deficiency of the present beyond a simple return to the past.

이 연구에서는 드라마 <응답하라> 시리즈에 나타난 기억 회상 양상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드러나는 시청자의 욕망을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1980-1990년대는 회상의 대상이 되었고 향수(鄕愁)와 복고(復古)가 문화상품이 되었다. 그렇다면 그 시대를 살아가는 미성년 주인공의 순수한 사랑과 우정, 그리고 가족에 대한 사랑을 그려 내는 <응답하라> 시리즈가 시청자의 인기를 끈 이유는 무엇일까. 과거 회상과 연애, 그리고 가족애를 반복되는 패턴으로 읽은 이 연구는 해당 패턴이 시청자의 욕구를 충족하고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드라마의 '서사'와 '인물'을 중심으로 이 드라마에 내재된 시청자의 욕구를 분석하였다. 특유의 효과음과 음악은 분절 가능한 미시서사를 구축함으로써 시청자가 손쉽게 특정 장면을 소유할 수 있게 했다. 이는 '없는' 추억을 만들어내는 역할을 한다. 둘째로 인물의 경우 로맨틱 코미디의 작위적인 인물 설정이 만드는 갈등 없고 안정적인 중산층 세계를 유지하려는 욕망, 그리고 수동적인 여성인물을 통해 신자유주의시대의 과잉 선택이 주는 피로를 줄이고 싶어 하는 시청자의 욕망을 포착하였다. 결국 드라마가 제공하는 회상은 단순한 과거 회귀를 넘어 현재의 욕구와 결핍을 채우는 것이라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은선, "신자유주의 문화상품-1990년대를 재현하는 향수/복고 영화와 드라마," 영상예술연구, 제25권, pp.35-55, 2014.
  2. http://gall.dcinside.com/board/lists/?id=reply1988
  3. 마테 칼리니스쿠, 모더니티의 다섯 얼굴, 이영욱 옮김, 시각과언어, 1993.
  4. 이진경, 근대적 시공간의 탄생, 그린비, 2007.
  5. 스티븐 컨, 시간과 공간의 문화사, 박성관 옮김, 휴머니스트, 2004.
  6. 지그문트 바우만, 액체근대, 이일수 옮김, 강, 2009.
  7. 한병철, 피로 사회, 김태환 옮김, 문학과지성사, 2012.
  8. 베네딕트 앤더슨, 상상의 공동체, 윤형숙 옮김, 나남, 2002.
  9. 이엔 앙, 방송 수용자의 이해, 김용호 옮김, 한나래, 1998.
  10. 에바 일루즈, 사랑은 왜 불안한가, 김희상 옮김, 돌베개, 2013.
  11.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Print.aspx?news_id=NB11101002
  12. 장 보드리야르, 시뮬라시옹, 하태환 옮김, 민음사, 2001.
  13. 류재형 "<응답하라 1994> 삽입곡의 서사적 전진 - 배경에서 전경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9권, 제2호, pp.79-115, 2015.
  14. 박은하, "텔레비전 멜로드라마의 이야기구조와 남녀주인공의 특성: 방송 3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pp.48-59,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2.048
  15. http://slownews.kr/54160
  16. 이화정, "멜로드라마에 나타난 남성상 유형의 변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62-69,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062
  17. 에바 일루즈, 사랑은 왜 아픈가, 김희상 옮김, 돌베개, 2013.
  18. 김혜영, 선보영, 김상돈, "여성의 만혼화와 저출산에 관한 연구 : 비혼여성의 일가족 의식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제18호, pp.1-277, 2010.
  19. 지그문트 바우만, 고독을 잃어버린 시간, 조은평, 강지은 옮김, 동녘,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