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terminants of Housing Affordability

주거비 과부담 결정요인

  • Received : 2016.04.26
  • Accepted : 2016.06.14
  • Published : 2016.08.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determinants of housing affordability using the 2014 fact-finding survey of housing.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s of characters of districts as well as the effects of characters of family and housing, taking advantage of HGLM(Hierarchical General Linear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ale householder, higher education level, the monthly housing, higher satisfaction of environment of housing are the factors that increased the odds of living at unaffordable housing, but higher income, public transfer recipient, living at sub-standard housing, the Jensei housing are the factors that decreased the odds of living at unaffordable housing. And the higher housing price, the higher rent of the districts increased significantly the odds of living at unaffordable housing, but the higher rate of public housing of the districts decreased the odds of living at unaffordable housing. This study provides the basis that the price of housing and rent should be controled and the policy of public housing should be expanded for housing welfare.

본 연구는 주거비과부담 결정요인을 가구와 주거 특성뿐만 아니라 지역 특성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전국 약 2만 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4년 주거실태조사를 활용하여 위계적 일반 선형 모형으로 다층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가구주가 남성일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월세가구일수록, 주거환경에 만족할수록, 주거비과부담의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반면에 가구소득이 증가할수록, 기초보장가구일수록, 최저주거기준미달일수록, 전세가구일수록 주거비과부담 가능성이 감소하였다. 주거비과부담여부에는 유의미한 지역간 분산이 존재하였으며, 지역의 평균 월임대료와 중위 주택가격이 높을수록 개별가구의 주거비과부담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또 공공임대주택비율이 전국평균보다 높은 지역만을 추가분석한 결과 지역의 공공임대주택비율이 증가하면 개별가구의 주거비과부담 가능성이 감소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주거비과부담 위험에 노출된 가구 및 주거 특성을 알 수 있었으며 주택가격 상승 억제 및 임대료 규제의 필요성과 공공임대주택 확대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주거복지정책에 대한 함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명구, 2007, "주거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분석: 시스템다이내믹스 계수추정을 위한 다층모형과 회귀모형의 비교", 한국 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8(2): 253-273.
  2. 김주일.안건혁, 2003, "서울 3대 도심 중심성 변화 양상 연구", 국토계획, 38(3): 303-316.
  3. 김종림.진미윤, 2007, 공공임대주택 정책 로드맵 구상 연구, 주택도시연구원.
  4. 곽인숙.김순미, 1999, "임차가구의 주거비용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7(2): 127-144.
  5. 권연화.최열, 2015, "노년층의 가구구성 및 주택점유형태에 따른 주거비 부담능력에 관한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35(4): 977-986. https://doi.org/10.12652/Ksce.2015.35.4.0977
  6. 남기철, 2012, "노숙인 지원주택 프로그램의 쟁점." 비판사회정책, 34: 5-45.
  7. 남원석, 2011, "공공임대주택정책의 변천과 주요 쟁점", 주거복지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국도시연구소기획.
  8. 박경준.이성우, 2015, "다층모형을 활용한 수도권 거주자의 주거비 결정요인 분석", 국토연구, 33-48.
  9. 박은철.봉인식.남원석.오근상, 2013, "주거비보조제도의 사례와 쟁점", 도시정보, 381: 3-22.
  10. 박은철, 2014, "렌트푸어 이슈에 따른 서울시 대응방안", 서울연구원 정책리포트, 159: 1-21.
  11. 박재운.김호범, 2013, "부산지역 소득5분위별 가구주 성별 학력별 균등화 생활비와 주거비.가처분 소득의 관계 분석", 경제연구, 31(2): 199-224.
  12. 배순석.김민철, 2013, 주거비부담능력 평가방식 및 부담기준의 도입과 정책적 활용방안, 국토연구원 연구정책세미나, 1-277.
  13. 박정민.오욱찬.이건민, 2015a, "최저주거기준과 주거비 과부담을 기준으로 한 빈곤가구의 주거취약 유형화와 관련요인", 사회복지연구, 46(2): 101-123.
  14. 박정민.허용창.오욱찬.윤수경, 2015b, "주거빈곤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7(2): 137-159.
  15. 심영, 2002, "주택소유형태와 주거비용을 토대로 한 노인 단독가계의 경제복지분석, 한국생활과학회지, 12, 1, 1-14.
  16. 양세정, 1991, "도시가계의 소비지출 양식 변화에 관한 연구(1970-1990년을 중심으로)" 소비생활연구, 8: 54-47,
  17. 양세화.오찬옥.양세정, 1999, "가계특성과 주거비지출: 근로자 가계 분석", 한국주거학회지, 10(2): 235-245.
  18. 이선우, 2010, "장애인가구와 비장애인가구의 주거복지수준 비교- 최저주거기준과 주거비부담능력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2(2): 1-21.
  19. 이재웅.양혜란, 2015, "주거취약계층 매입임대주택 입주민의 주거비 부담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사회서비스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6(3): 153-177.
  20. 이호근, 2014, "주거급여법 도입과 사회적 취약계층 주거권 확보를 위한 주거정책 및 법.제도 개선연구", 사회보장연구, 31(1): 169-204.
  21. 임세희, 2010, "주거빈곤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학위 논문.
  22. 임세희, 2013, "공공임대주택거주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44(3): 5-30.
  23. 임세희, 2014, "최저주거기준미달가구의 규모 및 특성 변화(2005-2011)", 사회보장연구, 30(3): 215-244.
  24. 임세희, 2015, "최저주거기준미달가구의 결정요인: 지역특성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42(4), 47-73.
  25. 장경석.허윤경.김형민.김성진, 2009, "지불가능주택의 공간적 분포 변화에 관한 연구-서울 2003-2007년 아파트 매매가격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44(1): 87-99.
  26. 정은희.최유석, 2014, "아동거주가구의 빈곤에 관한 다차원적 접근: 잠재집단분석을 이용한 유형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6): 129-139. https://doi.org/10.5392/JKCA.2014.14.06.129
  27. 조이운.김상봉, 2015, "주거임차부담지수 산출과 서울시 아파트 전세가격 적용사례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5): 487-497.
  28. 지규현.김정인.김진유, 2006, "주택취득비용 지불능력지수개발연구", 주택도시, 89: 37-53.
  29. 진미윤, 1998, "도시근로자가구의 주거비 지불능력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6(2): 33-60.
  30. 천현숙, 2013, "저출산 추세에 대응한 주택정책 보완방안", 국토정책Brief, 423: 1-8.
  31. 한국은행, 2014. 통화신용정책보고서
  32. 현대경제연구원, 2012, "주거비 부담(슈바베 계수)이 급증하고 있다", 현안과 과제, 12-11.
  33. 현대경제연구원, 2015, "우리나라 중산층 삶의 질 변화-소득은 늘었으나, 교육.주거비 부담으로 삶의 질 약화", 현안과 과제, 15-6.
  34. 홍세희, 2007, 위계적, 종단적 자료에 대한 다층모형,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35. 한국경제, "전.월세 전환율 상한선 '6%$\rightarrow$5%'인하 추진", 2015. 10.1, A25면.
  36. 해럴드경제, 2016, "서울시 '주택 임대차분쟁조정위원회' 만든다", 2016년 3월 28일.
  37. 파이낸셜뉴스, 2015, "'전월세전환율 조정' 과연 효과 있을까", 2015년 11월 1일.
  38. NP 뉴스포스트, 2015, "초고금리 대출 시장 내몰린 '금융약자'", 2015년 10월 9일.
  39. Downs, A., 1993, "Reducing regulatory barriers to affordable housing errected by local governments", in Housing Markets Residential Mobility, edited by Kingsley, G. T, and M. A, Turner, The Urban Institute Press.
  40. Dwyer, R. E., 2007, "Expanding homes and increasing inequalities: U,S, housing development and the residential segregation of the affluent", Social Problem, 54: 23-46. https://doi.org/10.1525/sp.2007.54.1.23
  41. Kemeny, J., 2006, "Corporatism and housing regimes", Housing, Theory and Society, 23(1): 1-18. https://doi.org/10.1080/14036090500375423
  42. Marks, G. N., and Sedfwick, S., 2008, "Is there a housing crisis? The incidence and persistence of housing stress 2001-2006", Australian Economic Review, 41(2): 215-221. https://doi.org/10.1111/j.1467-8462.2008.00500.x
  43. Mass, C., and Hox, J., 2004, "The influence of violations of assumptions on multilevel parameter estimates and their standard error", Computational Statistics & Data analysis, 46: 427-440. https://doi.org/10.1016/j.csda.2003.08.006
  44. Menard, S., 2009, "The social housing and rental housing markets in an equilibrium rent search model", Annals of Economics and Statistics, 95/96: 183-199.
  45. Moore, E., and Skaburskis, A., 2004, "Canada's increasing housing affordability burdens", Housing Studies, 19(3): 395-413. https://doi.org/10.1080/0267303042000204296
  46. Raudenbush, S. W., and Bryk, A. S., 2002, Hierarchical Linear Models, Advanced Quantitative, Techniques in the Social Science Series.
  47. Raudenbush, S. W., 2004, HLM 6: Hierarchical Linear and Nonlinear Modeling, Scientific Software International.
  48. Squires, G. D., 2002, "Urban Sprawl and the Uneven Development of Metropolitan America," pp, 1-22 in Urban Sprawl: Causes, Consequences, and Policy Responses, edited by Gregory D,Squires, Washington, DC:Urban Institute Press.
  49. Stone, M. E., 1993, Shelter Poverty: New Ideas on Housing Affordability, Temple University Press, Philadelphia.
  50. Sullivan, A., 1996, Urban economics, Boston: Irwin/McGraw-Hill.
  51. Voith, R, P., and Wachter, S. M., 2009, Urban growth and housing affordability: the conflict,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626: 112-131. https://doi.org/10.1177/0002716209344839
  52. UN-Habitat, 2003, Monitoring housing rights-developing a set of indicators to monitor the full and progressive realization of the human right to adequate housing, United Nations Housing Rights Programme working paper, No.1.
  53. 임대주택 통계누리, 2015, http://stat,molit,go,kr/portal/cate/statView,do, 2015. 11.1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