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Indicators for Information-Poor shown in Library Statistics

도서관통계에 나타난 정보취약계층의 지표 분석

  • 김홍렬 (전주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Received : 2016.07.25
  • Accepted : 2016.08.12
  • Published : 2016.08.30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hanges in inputs and outputs for information-poor in public libraries to eliminate the digital divide. The survey and analysis was utilized indicators for the information-poor shown in library statistics. And through the analysis of statistical indicators, it examined the changing patterns of the elements that each library are inputted to eliminating the digital divide. As a result, it revealed problems such as regression of facilities for the aged and disabled, continuous decrease in the number of special materials for disabled person, and reduction of service users and budget for information-poo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d to achieve the desired performance for eliminating the digital divide. it's required the budget increase and strong policies for information-poor.

본 연구는 정보격차해소를 위하여 공공도서관에서 정보취약계층에 대한 투입과 성과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조사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조사와 분석은 정보취약계층에 대한 투입과 성과의 양적인 상태를 가장 잘 알 수 있는 도서관 통계지표를 활용하고자 하였다. 도서관 통계지표의 분석을 통하여 정보격차해소를 위해 각 도서관이 투입하는 요소들의 변화양상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노인 및 장애인을 위한 시설의 퇴보, 장애인용 특수자료 수의 지속적인 감소, 정보취약계층 서비스 이용자수의 감소, 전체 도서관 예산에서 차지하는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예산의 매우 적은 비율과 그 예산마저도 매년 감소하는 현상 등의 문제점이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도서관통계에 나타난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지표들과 그 추이는 각종 관련 정책들과 공모사업들의 추진이 지식정보격차해소에 긍정적인 성과를 가져오지 못함을 보여주고 있다. 즉 정보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노력은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추진되고 있는 듯 보이나, 실질적인 예산의 투입이나 관련 정책의 추진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강력한 대책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중앙도서관. 2012. 정보격차해소를 위한 도서관의 정보취약계층서비스 확대전략개발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2012. A Research on the Strategic Development of Library andInformation Services for the Information Disadvantaged to Resolve the Information Gap. Seoul:National Library of Korea.
  2. 남영준. 2007.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도서관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4): 49-68. Nam, Young-Joon. 2007. "A Study on Revitalization of Library Service for the AlienatedCla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1(4): 49-68. https://doi.org/10.4275/KSLIS.2007.41.4.049
  3. 문화체육관광부. 2015. 2015년도 공공도서관 통계조사 결과보고서.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5. The Report of Public Library Statistics of2015 Year. Sejong: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4. 윤정옥, 곽동철, 심경. 2012. 정보취약계층의 정의와 속성에 대한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6(4): 189-206. Yoon, Cheong-Ok, Kwak, Dong-Chul and Shim, Kyung. 2012. "A Study on the Definitionsand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on Po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Information Science, 46(4): 189-206. https://doi.org/10.4275/KSLIS.2012.46.4.189
  5. 윤희윤. 2012. 공공도서관의 지식정보 취약계층서비스 전략.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2):53-75. Yoon, Hee-Yoon. 2012. "Strategies of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Services for VulnerableClasses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2):53-75.
  6. 이은철, 심효정. 2008. 공공도서관의 지식정보격차해소 기여도 분석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4): 309-325. Lee, Eun-Chul and Sim, Hyo-Jung. 2008. "Basic Study for Analysis of Public LibrariesContribution for Resolving the Gap in Knowledge and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4): 309-325.
  7. 이정연. 2011.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도서관의 문화복지 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2): 27-39. Lee, Jeong-Yeon. 2011. "Study on the Social Welfare Library Policy for the InformationAlienated Group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2): 27-39.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2.027
  8. 장덕현. 2012.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공공도서관 서비스 강화 방안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2): 193-210. Chang, Durk Hyun. 2012. "A Study on the Public Library Service Agenda for the CoreInformation-Poor in Busan Metro Are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Library andInformation Science, 23(2): 193-210.
  9. 조용완. 2007. 국내 공공도서관의 정보격차해소 활동에 대한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4): 167-186. Cho, Yong-Wan. 2007. "Analysis of the Activities of Public Libraries for Closing the InformationDivide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4): 167-186.
  10. Tichenor, P. J., Donohue, G. A. and Olien, C. N. 1970. "Mass Media Flow and Differential Growth in Knowledge." Public Opinion Quarterly, 34(2): 159-170. https://doi.org/10.1086/267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