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animation story-telling technique based on the archtype myth - Focus on " Oneuli" directed by Lee Sung-gang-

원형신화를 모티브로 한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 기법 연구 -이성강 감독의 "오늘이"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6.08.01
  • Accepted : 2016.08.30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Fairy tales starting with the phrase 'Once upon a time' have been told throughout generations to generations. These stories of the past started with the history of mankind, and are constantly recreated under the names of legends, fables and myths. Through understanding the archetypes frequently occurring in legends and story telling techniques used to visualize them, the possibility of better recreation of stories and animations are sough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original form of archetypical Jeju epic dance lyrics are adjusted accordingly to meet the author's intention as it transforms into the modern animation 'Oneuli' By this comparative analysis, the utilization of archetypes and mythic motifs in the creation of animation are expected to enhance the interactions with the audiences beyond the border and age.

우리가 아는 옛 이야기, 옛날~옛적에로 시작되거나 아주 먼 옛날에 라는 서두로 시작하는 이야기는 어린 시절 부모님이나 할아버지 할머니로부터 들어온 익숙한 화법이다. 과거의 이야기는 인류와 함께 시작해서 설화, 전설, 신화라는 이름으로 끊임없이 재창조 되고 있기에 신화 속 원형에 대해 이해하고 무형의 이야기 속 이미지를 시각화하기 위한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 기법에 대한 연구로 재창조하는 과정을 통해 누구나 공감하고 즐길 수 있는 스토리의 재창조와 애니메이션 제작을 도모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에 본 논문은 제주 서사무가 였던 원형신화가 애니메이션 '오늘이'로 만들어 지면서 본래의 이야기에서 작가의 의도와 주제의식에 맞게 원형에서 어떻게 가감되고 변형되어지는지를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 기법을 통해 비교 분석 하여 원형과 신화적 모티브의 활용이 애니메이션 창작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고, 더 나아가 국경과 나이를 초월하는 소재와 주제를 원형 속에서 찾아 관객과의 소통이 원할한 애니메이션이 계속 제작되어지길 바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욱 외, 디지털 스토리텔링, 황금가지, 2003, p.13, 재인용.
  2. 김광욱, 스토리텔링의 개념, 겨레어문학회, 2008, p41, pp251-252
  3. 류현주, 디지털 스토리텔링시대의 네러티브, 현대문학이론학회,현대문학이론연구, 제24권, (2005), pp.128-130, 재인용.
  4. 박기수,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의 생산적 논의를 위한 네 가지 접근법, 한국언어문화학회, 한국언어문화 제32권 (2007), pp.8-9, 재인용.
  5. 문미애, 문화콘텐츠 産業의 國際競爭力 提高方案에 關한 硏究, 2002, p.16
  6. 송정란, 스토리텔링의 이해와 실재, 문학아카데미, 2006, p.23.
  7. 양선아, 디자인의 성격형성에 관한 연구, 2001, p7.
  8. 오시룡, 디자인의 성격형성에 관한 연구, 2001, pp11, 재인용
  9. 윤호진.이동훈, 미디어 융합에 따른 콘텐츠산업 분석 및 공공 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 크라운홍보 주식회사, 2008, p.62.
  10. 이부영, 분석심리학 : C.G. 융의 인간심성론, ,pp31-32,
  11. 이소영, 캐릭터 디자인에 나타난 눈 표현에 관한 연구, 2003, p8.
  12. 이유경, 원형과 신화 , 이끌리오, 2004, pp114-115.
  13. 정재서.전수용.송기정, 신화적 상상력과 문화,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8.
  14. 조각현. 스토리텔링기법을 활용한 광고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2011, p39,pp43-53.
  15. 조미라, 상상력의 미학 애니메이션, 한울, 2009.
  16. 최혜실, 문화산업과 스토리텔링, 다할미디어, 2007, pp.10-12.
  17. 김공숙, 멜로드라마 캐릭터의 신화 원형 연구 , 고려대학교 박사논문, p 36.
  18. 김미정, 제주 삼승할망본풀이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 방안 연구 전남 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2.
  19. 김민수, 원천강 본풀이의 현대적 변용양상 연구,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4, pp16-17.
  20. 유창준, 출판콘텐츠의 OSMU 전략에 관한 연구, 성균관 대학교 석사논문, 2008, p58.
  21. 이종애, 문화원형을 활용한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 연구 -<오세암과>과 <천년여우 여우비004>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010.
  22. 조미라, 상상력의 미학 애니메이션, 한울, 2009,
  23. 조주연 애니메이션 캐릭터 스토리텔링의 구성요소에 관한 분석,- '뽀로로' TV시리즈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3
  24. 홍은주, 디지털 작업 과정으로 표현되어진 파스텔화 에니메이션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p60.
  25. 네이버,www.naver.com, 오늘이, 네이버영화 매거진, 2014 - 이성강감독 인터뷰내용中에서-
  26. 네이버, www.naver.com, 원형[元型, Archetype] 문학비평용어사전.
  27. 네이버, www.naver.com, 구복여행담, 한국민속대백과사전,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8)
  28. 네이버, www.naver.com, 원천강 본풀이, 한국콘텐츠 진흥원 출처, 요약본.
  29. Campbell, Joseph, the hero with A thousand faces, 이윤기 역,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 민음사, 1999, p45.
  30. Campbell, Joseph, the power of myth, 이윤기 역,신화의 힘, 이끌리오, 2007, p33, pp238-241.
  31. EasterCommunications(2008).StorytellinginWeb.
  32. Walker, Steven F, jung and the jungians on myth : [aninstroduction],융의 분석 심리학과 신화.장미경 외(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2.
  33. Vogler, Christoper, 위의 책, pp72-73.
  34. 오늘이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