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nfluence of a Reflection Journal Upon Self Motivated-Learners' Study

성찰일지 적용이 이공계 자기주도학습 학생의 학업에 미치는 영향

  • Kim, Hae-kyung (Seoul Accord Activation Center, Hanbat National University) ;
  • Kim, ChaJong (A College of Computer Science, Hanbat National University)
  • 김혜경 (한밭대학교 서울어코드활성화사업단) ;
  • 김차종 (한밭대학교 정보기술대학 컴퓨터공학과)
  • Received : 2016.08.05
  • Accepted : 2016.09.02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effect of a reflection journal on self motivated-learners' study. The learner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 carried out the pre- and post- surveys, and compared the groups' academic achievements. As a result, their persistent learning, self-efficacy, learning attitude somewhat improved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 as well.

Keywords

References

  1. 김지선.김영식(2015), 성찰일지를 적용한 온라인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성찰일지 작성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원교육, 31, 115-132.
  2. 김경화(2013), 학습공동체 참여 대학생의 집단효능감 및 자기주도학습능력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청소년학연구, 20(12), 315-335.
  3. 김달중 (2014), 독해와 듣기로 부분 통합된 대학 교양영어의 학습효과 분석,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25(2), 33-65.
  4. 김혜경.최원영(2015), 자기주도학습과 심층면담 프로그램이 이공계 학습부진학생의 학업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공학교육연구, 18(1), 54-60.
  5. 박선희.최미나.이승기(2007), 구조화된 인지적 성찰일지가 메타인지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10(4), 5-13.
  6. 박인숙.김미정(2012), 팀학습에서 성찰일지 작성이 학습자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한국치위생학회지, 12(5), 849-859. https://doi.org/10.13065/jksdh.2012.12.5.849
  7. 백경숙(2011), 자기주도학습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문제해결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학논총, 32(1), 77-95.
  8. 송수지(2012), 성찰일지 적용 학습이 예비교사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및 학업성과에 미치는 효과, 기독교교육정보, 35, 199-229.
  9. 송윤희(2012), 대학 이러닝 수업에서 학습몰입과 학습지연을 예측하는 요인 분석, 평생학습사회 8(1), 113-135.
  10. 신희선(2014), PBL을 활용한 대학글쓰기 교육사례연구-성찰 일지를 통해 살펴본 글쓰기 동기부여전략, 교양교육연구, 8(1), 11-52.
  11. 심영숙(2008), 학습일기를 통한 대학생 영어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관찰: 학습동기 및 상위인지를 중심으로, 외국어교육, 15(3), 315-343.
  12. 유무언.김영식(2010), 성찰일지가 프로그래밍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동계 학술발표논문지, 14(1), 101-106.
  13. 유병민.전종철.박혜진(2013), 대학 수업에서 개인적 성찰과 협력적 성찰이 학습동기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9(4), 837-859.
  14. 안종인.최성우(2013),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주요변인 연구동향, 평생교육연구, 9(1), 55-78.
  15. 엄미리(2010), e-포트폴리오 성찰일지 작성 활동의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16. 윤정선.박부진(2014), 대학생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중재 및 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30(2), 12-142.
  17. 장영란(2003), 웹 기반 프로젝트 중심 학습 유형이 학습자의 태도, 학습결과 및 성찰적 실천 과정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18. 장은호(2007), 블렌디드 러닝에서 성찰일지 작성이 학습동기와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19. 전미애(2013), 이공계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학습 유형의 관계,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8(2), 240-266.
  20. 조재옥(2012),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자기주도학습 방법 연구, 영상영어교육, 13(3), 135-160.
  21. 진성희(2013), 공학전공 우수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전략 탐색, 공학교육연구, 16(5), 24-35.
  22. 한지영(2011), 공학설계교육을 통한 자기주도학습 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14(1), 64-73.
  23. Dewey, J. (1997), How we Think, Dover Publications, Inc.
  24. Knowles, M, S. (1975),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 and teachers. Chicago: Association Press Folett Publishing Company.
  25. Moon, (2006), A handbook of reflective and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and practice(2nd ed.), Abingdon; Routledge Falmer.
  26. Thomson, C. K. (1996). Self-assessment in self-directed learning: Issues of learner diversity. In R. Pemberton, E. Li, W. Or, & H. Pierson (Eds.), Taking control: Autonomy in language learning (pp. 77-91). Hong Kong University Press.
  27. Zimmerman, B. J. (1989). A social cognitive view of self-regulated academic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1 (3), 329-339. https://doi.org/10.1037/0022-0663.81.3.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