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akhtinian Reading of the Su-Hyeon Kim's Lines 1 Focused on Bakhtinian Dialogism Theory

김수현 대사의 바흐찐적 독해 1 바흐찐의 대화주의 이론을 중심으로

  • 유진희 (동아방송예술대학 방송콘텐츠학부 방송극작과)
  • Received : 2016.08.29
  • Accepted : 2016.10.14
  • Published : 2016.10.28

Abstract

This study is the one of the first full-scale subsequent research of a TV drama writer who has been out of scholarly pursuits. Along with the 5 advanced research, this study is to analyze Su-Hyeon Kim's difference and her underlying consciousness by applying the Bahktin's dialogism to the author's creating lines instead of existing speech research. Bahktin's dialogism, its core of polyphony, presents a definite purpose to a artistic creation of language. That is to require the author to have 'outsideness' 'boundary carried over' and 'excess of seeing' in a author relation with characters as it leads the characters to 'the whole'. It means an equal relations of mutual independency between the author and the characters. Also this relations accompany by 'unfinalizability of dialogue'. This study ascertains whether the dialogism actually being realized or not in her lines of of her early stage, of melodrama, and of home-drama.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she creates 'polyphony', diverse voices of characters, with her mutual independent relations with characters, that is the voices of between characters, between characters' inside. This research also shows that she realizes 'unfinalizability of dialogue' in her drama work itself of open-end as well as in her lines. She has her own consistent distinction of creating lines to be a her drama work itself, that also means to explore language of human beings's existence, and language of perception, instead of using it as a simple tool of making a drama. This study is to explore a subsequent research of the author's lines with another Bahktin's carnivalesque as the lines's importance and the theory's vastness.

본 연구는 학문적 연구 대상에서 소외돼 온 텔레비전 드라마 작가에 관해 최초 시도되는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지속적 연구 작업의 일환으로, 김수현 작가의 차별성, 작품성, 작가의식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선행 연구들 다섯 편에 뒤이은 본고는 김수현 작가의 대사를 연구함으로써 통합적 연구 작업을 계속하는 한편 언어 창조에서 드러나는 작가의 차별성과 의식 저변 탐구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기존의 화법 연구 틀에서 벗어나 작가의 보다 근원적인 미학적, 인식론적 차별성의 탐구가 가능한 바흐찐의 대화주의 이론을 연구방법으로 적용한다. 이는 바흐찐이 예술언어를 다양한 사회 이념적 언어들 간 대화의 공존, 즉 다성성을 극대화하는 장으로 정의한 때문이다. 바흐찐은, 다성성의 구체적 지향점을 등장인물들과 작가의 관계에서 제시하여 '외재성'과 '경계이월성' '바라보기의 잉여성'을 작가에게 요구하며 이를 통하여 등장인물이 '총체' 형성에 이르도록 이끄는 역할자가 작가라고 말한다. 이는 작가와 등장인물간의 주체적인 상호간의 동등한 관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존재한다는 것은 소통한다는 것'이라는 바흐찐의 유명한 명제처럼 '총체 형성'을 위한 비종결적인 대화의 특성이 뒤따른다. 본고는 김수현 작가의 초기작 <말희>와 멜로드라마 <내 남자의 여자>, 홈드라마 <엄마가 뿔났다>의 대사 연구를 통해 이 같은 바흐찐의 대화주의 이론의 구현 여부를 탐구하고 있다. 본고의 연구 결과 김수현 작가는 초기부터 일관되게 주인공은 물론이고 등장인물들 모두와 상호 주체적인 동등한 관계를 맺음으로써, 등장인물들의 다양한 목소리, 다성성을 대사 구현에서 실현하고 있으며, 이는 등장인물들 간 대사는 물론이고 등장인물 내부 목소리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남도 분석하고 있다. 또한 대화의 비종결성 역시 김수현 대사의 주된 특징으로 자리하고 있어 대사 자체 뿐만 아니라 오픈엔드의 극 마무리로까지 이어짐도 분석하고 있다. 연구 결과 김수현 작가에게 대사는 드라마를 이끌어 가기 위한 작가의 도구가 아니라 등장인물들 각각의 치열한 인식의 과정이고, 언어 자체 존재이며, 이는 초기부터 일관된 특성으로 작가의 차별성을 구축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고는 김수현 작가론에서 차지하는 대사 연구의 중요성과 바흐찐 대화주의 이론의 방대함으로 바흐찐 대화주의 이론의 카니발적 요소를 다시 김수현 작가 대사 연구에 적용하는 후속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심상교, "김수현 드라마의 특성 연구," 한국학연구, 제22집, pp.35-85, 2005.
  2. 최상민, "대중의 욕망과 드라마적 재현: 김수현 드라마 <인생은 아름다워>를 중심으로," 드라마연구, 제36호(통합 제14권), pp.199-223, 2012.
  3. 이철우, "김수현 드라마의 대화방식에 관한 고찰," 한민족문화연구, 제25집, pp.225-253, 2008.
  4. 오미영, 최성실, "김수현 가족드라마에 나타난 상호주관적 화법연구," 화법연구, 제22권, pp163-189, 2013.
  5. 이경숙, "김수현 드라마의 수사학적 효과 산출 방식 연구," 한국극예술연구, 제25집, pp.133-163, 2007.
  6. 김단수, "김수현 극본의 대중성: 옛이야기 전통과 비교하며," 한국학연구, 제16집, pp.193-219, 2007.
  7. 백경선, "김수현 가족드라마의 가족 담론 고찰," 한국극예술연구, 제50집, pp.283-312, 2015.
  8. 유진희, "김수현 멜로드라마의 장르 문법과 성 이데올로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1호, pp.175-183,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11.175
  9. 유진희, "김수현 홈드라마의 장르 문법과 젠더 이데올로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1호, pp.102-112,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11.102
  10. 유진희, "김수현 홈드라마의 상호텍스트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0호, pp.103-112,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0.103
  11. 유진희, "라깡을 통해 본 김수현 작가의 주체와 욕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9호, pp.126-135,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9.126
  12. 유진희, "라깡을 통해 본 김수현 작가의 남성 주체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41-50,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041
  13. 김포천, 원우현, 김만수, 김홍근 엮음, 김수현드라마에 대하여, 솔, p.248, 1998.
  14. 최상식, TV 드라마 작법, 제3기획, p.269, 1994.
  15. 여홍상 외 편역, 바흐친과 문학이론, 문학과 지성사, p.109, 1997.
  16. 김명진, "내 안의 타자-바흐찐적 읽기의 새로운 나아갈 길," 근대영미소설, 제8집, 제2호, pp.31-43, 2001.
  17. 오민석, "카니발의 민중성과 그 불안: 바흐친의 '라블레와 그의 세계'를 중심으로," 안과 밖, 제15권, pp.35-53, 2003.
  18. 이은경, 유재천, "바흐찐의 국내수용에 관한 비판적 고찰(2)," 노어노문학, 제18권, 제3집, pp.213-242, 2006.
  19. Rainer Grubel, Mikhail M. Bakhtin: Biograpische Skizze, 박건용, "미하일 바흐친의 카니발 이론과 문학의 카니발화," 독어교육, 제31권, pp.279-305, 2004. (p.281에서 재인용)
  20. Mikhail M. Bakhtin, Problems of Dostoevsky's Poetics, 오민석, op.cit. (p.38에서 재인용)
  21. 이기웅, "발화의 다성 구조: 바흐찐의 다성 이론에 대한 언어학적 접근," 러시아연구, 제11권, 제 2호, pp.321-340, 2001.
  22. 미하일 바흐찐 지음, 전승희, 서경희, 박유미 옮김, 장편소설과 민중언어, 창비, p.101, 2014.
  23. 미하일 바흐찐 지음, 전승희, 서경희, 박유미 옮김, 장편소설과 민중언어, 창비, p.103, 2014.
  24. 김명진, "내 안의 타자-바흐찐적 읽기의 새로운 나아갈 길," 근대영미소설, 제8집, 제2호, pp.36-37, 2001.
  25. Mikhail M. Bakhtin, Problems of Dostoevsky's Poetics, 정화열, "미하일 바흐친의 대화주의 문 학이론 정신에서 본 정치평론," 정치와 평론, 제4권, pp.5-28, 2009. (p.7에서 재인용)
  26. 미하일 바흐찐 지음, 김희숙, 박종소 옮김, 말의 미학, 도서출판 길, pp.27-276, 2006.
  27. 미하일 바흐찐 지음, 김희숙, 박종소 옮김, 말의 미학, 도서출판 길, p.39, 2006.
  28. 미하일 바흐찐 지음, 김희숙, 박종소 옮김, 말의 미학, 도서출판 길, p.52, 2006.
  29. 미하일 바흐찐 지음, 김희숙, 박종소 옮김, 말의 미학, 도서출판 길, p.41, p.43, p.49, pp.52-55, p.79, pp.196-201, pp.244-246, 2006.
  30. 미하일 바흐찐 지음, 김희숙, 박종소 옮김, 말의 미학, 도서출판 길, p.448, 2006.
  31. 미하일 바흐찐 지음, 김희숙, 박종소 옮김, 말의 미학, 도서출판 길, pp.39-40, 2006.
  32. 미하일 바흐찐 지음, 김희숙, 박종소 옮김, 말의 미학, 도서출판 길, p.40, 2006.
  33. Mikhail M. Bakhtin, Problems of Dostoevsky's Poetics, 김욱동, "단성적 문학과 다성적 문학: 바흐찐의 대화이론," 문학과 사회, 통권 제2호, pp.564-588, 1988. (p.574에서 재인용)
  34. 김포천, 원우현, 김만수, 김홍근 엮음, 김수현드라마에 대하여, 솔, 1998.
  35. http://www.kshdrama.com/
  36. http://www.kshdram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