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귀농인의 영농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Factors Influencing Urban to Rural Migration for Farming

  • 최윤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신효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Choi, Yoon-Ji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Shin, Hyo-Ye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투고 : 2016.05.18
  • 심사 : 2016.09.12
  • 발행 : 2016.09.30

초록

For the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urban to rrual migration for farming. This study analyzed 217 urban to rural migrant farmer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influence of the main variables on the agricultural challenges of the urban to rural migrant farmers were observed as the relationship of the level of financial preparations, the motivations of urban to rural migration, the agricultural income, the annual of urban to rural migration, the size of agricultural, gender, and age. This study result show that urban to rural migrant farmers' agricultural challenges is influenced by almost economical factors. Therefore, for the successful agricultural activities of the urban to rural migrant farmers show significant impact to need on the composite effort of all such as the individual, the family, the rural society, local autonomous entity, the govern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대구. (2006). 귀농자의 귀농유형별 영농정착과정.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2), 23-53.
  2. 강대구, 김정남, 김민수, 이웅, & 변규식. (2006). 최근 귀농실태와 지원대책방안 연구. 세종: 농림부.
  3. 고상환, & 김동현. (2011). 제주지역 귀농, 귀촌 교육 참여자 특성 및 교육 만족도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 18(4), 983-1010.
  4. 고성준. (2007). 귀농자의 실태와 안정적 정착을 위한 연구: 전라북도 귀농자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백수, & 이정화. (2013). 귀농인의 농촌사회 적응에 대한 생태체계적 분석. 농촌사회 , 23(2), 7-48.
  6. 김성수, 정지웅, 임형백, 고운미, 김정태, & 이성. (2004). 귀농자들의 농촌정착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방향. 농촌지도와 개발 , 11(1), 53-65.
  7. 김형용. (1998). 귀농자의 실태와 정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축산경영학회지 , 14(1), 205-223.
  8. 김혜민. (2015). 귀농, 귀촌 중단사례와 함의. 농정연구 , 52, 185-214.
  9. 마상진, 박대식, 박시현, 최용욱, 남기천, 남승희, & 최윤지. (2015). 귀농${\cdot}$귀촌 시기별 귀농${\cdot}$귀촌 과정 및 경제${\cdot}$지역사회활동 실태 변화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 47(2), 1-21.
  10. 마상진, 박대식, 박시현, 최윤지, 최용욱, & 남기천. (2014). 귀농${\cdot}$귀촌인의 정착실태 장기추적조사 : 1차 년도 (2014).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1. 마상진. (2012). 귀농${\cdot}$귀촌자의 영농실태와 교육요구 분석 .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2. 문승태, & 김소라. (2012). 귀농인들의 귀농 전과 후 지각된 삶의 질 수준의 비교 연구. 농업경영${\cdot}$정책연구 , 40(3), 841-863.
  13. 박공주, 윤순덕, & 강경하. (2006). 은퇴 후 귀농인의 농촌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농촌계획 , 12(4), 63-76.
  14. 박성복. (2013). 귀농인의 농촌생활만족도와 그 요인들 간의 통합적 영향관계.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 24(3), 253-277.
  15. 새전북신문. (2014). 귀농 정착이 왜 힘든가 (2014. 2. 25).
  16. 서규선, & 변재면. (2000). U턴 귀농자 장${\cdot}$단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농촌지도와 개발 , 7(1), 137-153.
  17. 서만용, & 구자인. (2005). 귀농자의 농촌정착에 관한 탐색적 연구. 농어촌관광연구 , 12(2), 145-171.
  18. 송미령, 성주인, 김정섭, & 심재현. (2015). 귀농${\cdot}$귀촌 증가 추세와 정책 과제.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 오수호. (2013). 귀농${\cdot}$귀촌가구의 이주${\cdot}$정착 특성과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장동헌. (2009). 지방자치단체의 귀농 관련 자치법규의 비교 분석: 귀농의 조례 및 규칙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 17(3), 19-32.
  21. 조창완. (2009). 전남 귀농 활성화 방안 . 무안: 전남발전연구원.
  22. 차광주. (2010). 현장에서 본 귀농 활성화 방안. Paper presented at the 농업전망 2010 (녹색성장과 농업${\cdot}$농촌의 새로운 활로).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3. 채상헌. (2013). 귀농정착 현황 및 귀농정착 성공요인 분석: 귀농귀촌교육수료생 대상 영농정착실태조사 사례 중심으로. 한국 농${\cdot}$산업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43-60.
  24. 최윤지, 한송희, & 공민재. (2015). 귀농 교육의 만족도, 성취도, 효과성 분석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21(1), 51-61. https://doi.org/10.7851/ksrp.2015.21.1.051
  25. 최윤지. (2010). 귀농단계별 지원주체의 역할과 운영 체계 구축 . 전주: 농촌진흥청.
  26. 통계청. (2015). 2014년 귀농${\cdot}$귀촌인 통계. 대전: 통계청.
  27. Fielding, J. G. (1974). Geography as social science. New York, U.S.: Harper and Row Publishers.
  28. Gordon, R. (2000). The future of young farmers in the European Union. Luxembourg, EU: European Parliament.
  29. Hair, J. F., Black, W. C., Babin, B. J., Anderson, R. E., & Ththam, R. L. (2006). Multivariate data analysis(6th ed). New Jersey, U.S.: Pearson Prentice Hall.
  30. Johnson, S. E., Bowlan, M., McGonigal, J., Ruhf, K., & Sheils, C. (2001). Listening to new farmers: Findings from new farmer focus groups. Massachusetts, EU: New England Small Farm Institute.
  31. Poston, D. L., & Coleman, M. T. (1983).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the non-metropolitan turnaround in U.S. counties: an alternative procedure. Rural Sociology, 48, 436-446.
  32. Reeve, I., & Stayner, R. (2006). Preparing entrants to farming: Scoping programs and strategies. Canberra, Australia: Rural Indust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Corporation.
  33. Sell, R. (1982). A research note on the demography of occupational relocations. Social Forces, 60, 859-865. https://doi.org/10.1093/sf/60.3.859

피인용 문헌

  1. 성인교육에서 교수리더십, 학습동기,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귀농·귀촌 학습자를 중심으로- vol.24, pp.1, 2017, https://doi.org/10.12653/jecd.2017.24.1.0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