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the Musical Characteristic of Female Hip-hop on Female Hip-hop Fashion - Focus on Unpretty Rapstar the First Female Hip-hop Survival Program in Domestic -

여성 힙합의 음악적 특성이 여성 힙합 패션에 미친 영향 - 국내 최초 여성 힙합 서바이벌 프로그램 『언프리티 랩스타(Unpretty Rapstar)』를 중심으로 -

  • Lee, Suh-Do (Dept. of Clothing, Sungshin Women's University) ;
  • Yum, Mi-Sun (Dept. of Clothing, Sungshin Women's University)
  • 이서도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 염미선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Received : 2016.06.29
  • Accepted : 2016.08.26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urrent trends in hip-hop fashion in korea and how they are influenced by musical characteristics of female hip-hop. This study consi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hip-hop music and their fashion through the history of hip-hop. Data has been collected and analyzed from broadcastings, performances, music videos, and album jackets of female musicians who appeared in the cable television program 'Unpretty Rapstar' by MNET during two seasons in 2015. "Unpretty Rapstar" is the first program to focus on the music and fashion of female Korean hip-hop musicians. For the theoretical review, this article examines books and journal articles, which provide insight into the history and formation of hip-hop. It also analyzes the hip-hop styles of female musicians in Korea through Hiphopplaya.com, an Internet site specializing in hip-hop.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fashion of female Korean hip hop musicians is as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yles of female hip-hop artists come out of Glam Style, which emphasizes femininity, but is also composed of a practical and dynamic street casual style. Most of the clothes are skinny jeans and sweat suits with vertical and slim-fit silhouettes or stadium jackets and jersey jackets with oversized silhouettes. The main colors of these outfits are prominently yellow and red with darker grayish tones, but also include natural achromatic colors.

Keywords

References

  1. 강수진. (2015. 2. 11). 이 가수를 주목해봐-러버소울. 스포츠경향. 자료검색일 2015. 3. 1, 자료출처 http://sports.khan.co.kr/news/sk_index.html?cat=view&art_id=201503011741313&sec_id=540301&pt=nv
  2. 강은지. (2010). 국내 힙합뮤지션의 패션스타일 유형별특징. 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강은지, 이정민. (2010). 국내 힙합뮤지션의 패션유형별 스타일링 분석. 한국복식학회. 60(6), 62-73.
  4. 김영대, 김봉현, 윤호준, 조일동, 최지호, 이상현. (2008). 한국힙합: 열정의 발자취. 서울: 한울.
  5. 김영인, 김신우, 김정신, 김희연, 송금옥. (2006), 룩패션을 보는 아홉가지 시선. 경기: 교문사
  6. 김윤. (2012). 대중문화로서 국내 힙합 패션 트렌드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2(1), 19-38.
  7. 김정원, 김현호, 박준우, 심은보, 이인성. (2014). 아메리칸 힙합2. 경기: 휴먼카인드북스.
  8. 김지후. (2016. 4. 14). 다시 돌아온 1990년대 스타일. allure. 자료검색일 2016.08.06, 자료출처 http://www.allurekorea.com/2016/04/14/
  9. 김태한. (2008). 한국 힙합음악의 성장과정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권석정. (2014. 2. 20.). 트레비스 페인, 투애니원 보면 엠보그 TLC 떠올라, 텐아시아, 자료검색일 2016. 8. 6, 자료출처 http://tenasia.hankyung.com/archives/218127
  11. 네이버뮤직. (2016. 2. 22). 믿고 듣는 아티스트, 지코 컴백. 네이버뮤직. 자료검색일 2016. 8. 16. 자료출처 http://music.naver.com/promotion/specialContent.nhn?articl eId=6595
  12. 박송애. (2015). 셀러브리티 패션에서 표현된 게토 스타일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7(3), 197-206.
  13. 박찬은. (2013. 10. 30). 응답하라 1990's 걸그룹이여. 매일경제. 자료검색일 2016. 8. 6, 자료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3&no=1057812
  14. 박한힘. (2011). 힙합문화의 음악적 특성 변화가 대중 패션에 미친 영향. 복식, 19(2), 416-429.
  15. 양미경. (2003). 하위문화 맥락에서 본 패션스타일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학회지, 5(1), 33-45.
  16. 양재영. (2002). 여성 힙합의 제목소리 찾기1. weiv. 자료검색일 2015. 10. 25. 자료출처http://www.weiv.co.kr/archives/11141
  17. 유지윤. (2015. 4. 22). 힙합 패션의 변천사 (Part1). hiphople. 자료검색일 2015.10.25, 자료출처 http://hiphople.com/lifestyle/3886045
  18. 유지윤. (2015. 4. 28). 힙합 패션의 변천사 (Part2). hiphople. 자료검색일 2015.10.25, 자료출처 http://hiphople.com/index.php?mid=life_feature&category=500219& document_srl=3921388
  19. 이규탁. (2011). 한국 힙합 음악 장르의 형성을 통해 본 대중문화의세계화와 토착화. 한국학연구, 36, 59-84.
  20. 이동연, 신현준, 이정엽, 김병오. (2012). 대중음악의 이해. 서울: 한울.
  21. 이보연. (2015). 한국 여성 힙합 아티스트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영미. (2014). 한국 대중가요 속의 여성. 서울: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3. 이인성, 이순자, 최보영, 이민정, 손이정. (2006). 힙합 뮤지션의 패션 스타일 연구-흑인 뮤지션 스타와 국내 힙합 뮤지션의 비교 연구 중심으로-. 한국의상디자인학회, 8(1), 127-136.
  24. 이지현, 정은숙. (2002). Hip-hop Fashion에 나타난 스타일 연구 -국내외 Hip-hop 뮤지션을 중심으 로-.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6(1), 116-127.
  25. 윤여훈. (2004). 비주류 문화의 산업화에 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한동윤. (2015. 5). 랩하는 여자는 다 예뻐. GEEK, 자료검색일 2016. 8. 6, 자료출처http://navercast.naver.com/magazine_contents.nhn?rid=1798&contents_id=89546
  27. Edwards, P. (2015). 힙 투더 합 힙합(최경은 역). 서울: 한스미디어. (원저 2015 출판)
  28. Frith, S., Straw, W., Street, J. (2005). 케임브리지 대중 음악의 이해(장호연 역). 서울: 한나래.
  29. HIPHOPPLAYA. (2016. 4. 6). 유행은 돌고 돈다, 돌아온 힙합패션. HIPHOPPLAY A. 자료검색일 2016. 8. 6, 자료출처 http://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3968616&memberNo=16707781
  30. Judith, T., & Ellen, K. (2002). 음악에서의 여성(이미배 역). 한국서양음악학회. 5, 115-156.
  31. Jeff, C. (2014). 힙합의 역사: 멈출 수 없는 질주(유영희 역). 경기: 음악세계. (원저 2007 출판)
  32. Shuker, R. (1999). 대중음악사전(이정엽, 장호연 역). 서울: 한나래. (원저 1998 출판)
  33. Starr, L., & Waterman, C. (2015). 미국대중음악: 민트럴시티부터 힙합까지, 200년의 연대기(김영대, 조일동 역). 경기: 한울. (원저 2013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