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aily Hassl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Focusing on the Mediation and Buffering Effects of Spiritual Well-Being and Coping Styles

중년 여성의 일상생활스트레스와 건강 관련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영적 안녕과 대처기제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Kim, Jean-Ie (Dept. of Social Welfare, Baekseok University)
  • 김진이 (백석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Received : 2016.09.22
  • Accepted : 2016.12.17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impact of daily hassles and the mediated effect of spiritual well-being and the moderated effect of coping styles on health and depression of middle-aged women.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30 Christian midlife women attending in the 10 churches on the metropolitan area. The data was analyzed using path analysis and moderator effect model wit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Daily hassles are found to act as causes that damage physical or mental health and also elevate the level of depression. Daily hassles have a direct impact on health and depression, and at the same time, they also produce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spiritual well-being as a mediation factor. In other words, daily hassles impede spiritual well-being, and the deteriorated spiritual well-being, although its connection to physical health is not clear, is shown to damage mental health and elevate the level of depression. Analysis of coping styles rela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hassles and health and depression showed that, of the 12 coping styles, three, namely, self-criticism, positive interpretation and self-control, produced significant buffering effects. This study hopes to reveal the mediation factors that can minimize negative impa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aged women's daily hassles and healthiness and provide the basic material for figuring out practical implications and policy measures regarding the issue.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일상생활스트레스가 건강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이 관계에서 영적 안녕과 대처기제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시내와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10여개 교회에서 40-50대 여성신도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응답자 중 230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으로 경로 분석, 조절효과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일상생활스트레스는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인 건강을 해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고, 우울 수준을 높이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생활스트레스는 건강과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동시에 일상생활스트레스는 영적 안녕을 매개로 하여 영향을 미치는 부분 매개 효과를 하고 있었다. 즉 일상생활스트레스는 영적 안녕을 저해하고, 저해된 영적 안녕은 신체 건강과는 연관성이 분명하지 않지만 정신건강을 해치고, 우울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생활스트레스가 건강과 우울간의 관계에서 대처기제들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12개 대처기제 중에서 자기비판, 긍정적 해석, 자제 등 3개의 대처기제가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년 여성의 일상생활스트레스 원과 건강특성 간의 관계에의 부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실천에의 함의와 정책 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