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Hipped-and-Gable-Roof Framework of Muryangsujeon of Buseoksa Temple

부석사 무량수전 측면 지붕부 결구의 구성방식에 관한 재고(再考) - 중국 원대(元代) 이전 목조건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 Cha, Ju-hwan (Division of Architecture, Mokwon University)
  • Received : 2016.06.28
  • Accepted : 2016.08.03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is research is a study on the side framework structure of the hipped and gable roof of Muryangsujeon at Buseoksa Temple. There is a record that Muryangsujeon was deconstructed and repaired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ncy, and its authenticity has continuously been called into question because the structure of the hipped and gable side roofs, and the bonding of the rafters and eaves were not in good order and very different from those of Joseon Dynasty. Scholars date it differently. It is either dated at 13th century or 12th century. This study compares the non-planar configuration of the middle and front proportions of Muryangsujeon's hipped-and-gable-roof framework with those of the Tang(唐) and Song(宋) Dynasties in China. It concludes that the hipped-and-gable-roof framework of those architecture were built with the same technique. The style of architecture that side rafters directly touch the internal security (梁), like in Muryangsujeon, is not usual even among the hipped and garble roofs of the Tang(唐) and Song(宋) Dynasties. The technique of constructing the hipped roofs developed much further after the Tang Dynasty because they began to use garble eaves to build the side structure. The technique seems to have developed greatly by the period of Ming and Qing Dynasties. It also seems that the parallel-flat (平行輻射椽) rafter, which is the form of rafters used between the parallelrafter period and the half-flat-rafter period is very similar to the construction style of the current rafters of Muryangsujeon. However, the Muryangsujeon's eaves do not touch the corner rafter from the middle part. This seems to be a unique style, which is not common in China. In conclusion, the style of the side roof framework of Muryangsujeon at Buseoksa Temple is not of the China's southern regions, but of the northern regions of Tang(唐), Song(宋) and Liao(遼) Dynasties. And when considering the construction year and proportions of the middle front and side front on the same flat, this must be an ancient technique of the northeastern regions of Asia. Since it is likely that the structure of the side roof framework of Muryangsujeon at Buseoksa Temple has not been altered but is a unique style of hipped and gable roofs, this roof can serve as a good guide to restoring the hipped and garble roofs of the pre-Goyreo Dynasty period.

본 연구는 부석사 무량수전의 측면 지붕부 결구 구조에 관한 연구이다. 부석사 무량수전은 일제시대에 해체 보수한 기록이 있으며, 팔작지붕의 측면 지붕부 결구 구조기법과 추녀, 귀서까래 등의 결합 수법들이 정연한 형태로 결구되지 않고, 조선시대 팔작지붕의 측면 지붕부 결구구조와 이질적인 요소가 많아 원형이 아닌 것으로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다. 또한, 그 편년에 대해 다양한 의견(13세기, 12세기 건축)들이 국내외 학자들에 의해 제시되어 왔었다. 본 연구는 동아시아 목조건축 구조틀이라는 관점에 근거하여, 중국 당 송대 팔작지붕에서 부석사 무량수전과 측면 지붕부 결구구조 기법과 유사한 건축을 대상으로 평면비 및 어칸과 퇴칸의 비례를 상호 비교하여 살펴 본 결과 부석사 무량수전의 측면 지붕부 결구구조는 팔작지붕에서도 볼 수 있는 기법으로 판단하였다. 부석사 무량수전처럼 측면 서까래가 내부 보(량(梁))에 직접 접하는 기법은 중국 당 송대 팔작지붕 건축에서도 흔하게 볼 수 없는 수법으로, 중국의 팔작지붕은 당대(唐代) 이후에 산화(山花, 합각) 양가(梁架)를 구성하여 팔작지붕의 측면을 구성하는 기법이 발달되어, 명청대 이전까지 크게 발전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귀서까래의 발달과정 중 평행서까래에서 말굽서까래로 전환되기 이전 방식인 평행복사연(平行輻射椽)이 현재 부석사 무량수전의 귀서까래 방식과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추녀의 중간부분부터 귀서까래가 걸치지 않는 부석사 무량수전의 방식은 중국에서도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은 방식으로 부석사 무량수전의 특성으로 보인다. 이런 기법들을 살펴본 결과 부석사 무량수전의 측면 지붕부 결구구조는 중국 남방지역에서는 볼 수 없으며, 북방 지역의 당 송대(唐 宋代) 및 요대(遼代) 시기에 볼 수 있는 기법으로, 건축물의 편년시기와 평면에서 어칸과 퇴칸의 비례 관계를 고려해볼 때 동아시아 북방지역에서 볼 수 있는 고식(古式)의 구조 기법으로 판단된다. 부석사 무량수전의 측면 지붕부 결구구조가 변형된 것이 아니고, 팔작지붕 고유의 방식일 가능성이 있는 만큼 향후 부석사 무량 수전의 평면과 어칸 및 퇴칸의 비례, 측면 지붕부 결구구조를 중심으로 고려시대 이전 폐사지 중 팔작지붕으로 추정되는 건물의 측면 지붕부 결구구조에 대해 복원 설계에 좋은 참고가 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1997, 感恩寺發掘調査報告書
  2. 김도경, 2000, 韓國 古代 木造建築의 形成過程에 關한 硏究, 고려대 박사학위논문
  3. 대한건축학회, 2011, 한국건축사, 기문당
  4. 류성룡, 2007, 鳳停寺 大雄殿 팔작지붕 架構에 관한 연구 -浮石寺 無量壽殿과 비교를 통해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5. 문화재연구소, 2015, 중국 절강성 등 기타지역 고건축
  6. 문화재청, 2002, 浮石寺 無量壽殿 實測調査報告書(圖板)
  7. 윤재신, 2010, 靈巖寺址 금당의 架構構造 복원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학회 제19호 5권
  8. 정영호, 1975, 新羅 石造浮屠 硏究, 신흥사
  9. 차주환, 2014, 중국 明代 이전 건축과 浮石寺 無量壽殿 轉角部 구조 특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10. 姜錚, 2013, 唐宋歇山建築轉角做法深析 2013年保國寺大殿建成1000周年系列學術硏討會文合集
  11. 郭黛姮 主編, 2009, 中國古代建築史 第3卷(第2版), 中國建築工業出版社
  12. 文化遺産保護硏究所 等 編著, 2011, 佛光寺東大殿建筑勘察硏究報告, 文物出版社
  13. 傅熹年 主編, 2009, 中國古代建築史 第2卷(第2版), 中國建築工業出版社
  14. 史向紅, 2012, 中國唐宋木構建築文化, 中國建築工業出版社
  15. 山西省古建築保護硏究所 紫澤俊 編著, 1996, 朔州崇福寺, 文物出版社
  16. 王其鈞, 2007, 中國建築圖解詞典, 機械工業出版社
  17. 王其亨, 1991(1期), 歇山沿革試析, 古建園林技術
  18. 劉智敏 編著, 2013, 新城開善寺, 文物出版社
  19. 李劍平 編著, 2011, 中國古建筑名詞 圖解辭典, 山西科學技術出版社
  20. 李百進 編著, 2007, 唐風建築營造, 中國建築工業出版社
  21. 張十慶, 2014, 營造法式 厦兩頭與宋代歇山頂做法 中國建築史論滙刊 第10輯
  22. 長治市文物旅游局 主編 賀大龍 著, 2015, 晉東南早期建築專題硏究, 文物出版社
  23. 趙春曉, 2010, 宋代歇山建筑硏究, 西安建筑科技大學 碩士論文
  24. 車周煥, 2014, 中韓古建築大木作中轉角構造及轉角鋪作比較硏究, 淸華大學校 博士學位論文
  25. 肖旻, 2006, 唐宋古建筑尺度規律硏究, 東南大學出版社
  26. 賀大龍, 2011, 潞城原起寺大雄宝殿年代新考, 文物

Cited by

  1. Reconsidering a proportional system of timber-frame structures through ancient mathematics books: a case study on the Muryangsujŏn Hall at Pusŏksa Buddhist Monastery vol.18, pp.5, 2016, https://doi.org/10.1080/13467581.2019.1680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