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Managerial Leadership on the Care Burden of Care Workers -Focus on the Leadership of Top-leader and Leadership of Mid-level Leader-

관리자의 리더십이 요양보호사의 케어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시설장의 리더십과 중간관리자의 리더십을 중심으로-

  • 임효연 (세종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이민정 (세종사이버대학교 경영대학원)
  • Received : 2017.08.30
  • Accepted : 2017.09.11
  • Published : 2017.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leadership of the top-leader and the mid-level leader on the care burden of care workers. A survey was conducted on 400 care workers work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Seoul and Gyeonggi area. We conducte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grasp the effect of the leadership of top-leader and mid-level leader on the care burden of care workers. Monthly income of care worker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are burden. In next step, the leadership of the top-leader affected the care burden of care workers. But, In last model 3, only the leadership of mid-level leader affected the care burden with monthly income. This findings suggested that it is urgent to stabilize the salary level of care workers, and to develop the leadership skills of mid-level leader. The improved leadership of Mid-level Leader will help to reduce jop chaos for care workers.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의 시설장과 중간관리자의 리더십이 요양보호사의 케어부담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서울과 경기지역의 노인요양보호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400명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총 391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시설장의 리더십과 중간관리자의 리더십이 케어부담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단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월평균소득은 요양보호사의 케어부담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요양보호사의 급여수준을 현실화 및 안정화 시키는 방안이 시급하게 요구되었다. 또한, 중간관리자의 리더십이 시설장의 리더십보다 크게 영향력을 미치고 있어, 중간관리자의 리더십이 실질적으로 요양보호사가 핵심직무인 케어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 케어부담감을 감소시켜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노인요양시설에서 실무자인 요양보호사에게 업무의 혼돈을 줄여주고 지속적으로 근무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중간관리자의 현장실무리더십 개발이 시급함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선희, 남희은, 박소진,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282-291,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4.282
  2. 김영태, 김희웅, 염영배, "요양시설과 재가시설의 요양보호사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46권, pp.53-75, 2009.
  3. 이영균, 허영란,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 영향요인 분석,"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16권, 제3호, pp.137-161, 2012.
  4. 조선희, 박현식,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결정요인 연구; 충남지역 입소시설요양보호사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pp.1199-1215, 2012.
  5. 이서영, 임효연, "요양보호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238-247,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238
  6. 강창범, "요양보호사의 소진과 직무만족의 관계," 노인복지연구, 제54권, pp.193-209, 2011.
  7. 남현주, 이현지, "시설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슈퍼비전, 소진과의 관계: 직업정체성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제71권, 제3호, pp.9-28, 2016.
  8. 이은주, "노인시설 요양보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개발연구, 제16권, 제4호, pp.417-443, 2010.
  9. 김영애, 김문겸, "사회적 지지가 요양보호사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6호, pp.351-361,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6.351
  10. 조추용,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요양보호사의 전문성 확보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연구, 제16권, pp.9-40, 2007.
  11. 이영선, 최낙관, "요양보호사의 전문성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4권, 제2호, pp.190-210, 2010.
  12. 신태휴, 최영준, 임동호, "요양보호사의 전문성 인식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제16권, 제9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pp.297-307, 2016.
  13. 권지성, 이재희, 김성원, 문정화, 성기옥, 안은미, "사회복지조직 중간관리자들이 구성한 중간관리자의 리더십," 사회과학연구, 제32권, 제1호, pp.105-140, 2016.
  14. 최낙관, 이서경, "사회복지기관장의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4권, 제1호, pp.147-168, 2010.
  15. 임성옥, 김현희,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전문직 정체성의 조절효과,"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3권, 제3호, pp.151-176, 2011.
  16. 김진수,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감정부조화,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제61권, pp.163-187, 2013.
  17. 고재욱,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 구성요소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제11호, pp.1-20, 2014.
  18. 강철희, 김유나, "요양보호사의 정서적 탈진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8권, 제2호, pp.235-266, 2016.
  19. 서문진희, 정여주, "장기요양필요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2권, 제4호, pp.3-30, 2011.
  20. 한숙정, 이세윤, 김지연, 김홍수, "치매노인 가족 부양자의 부양부담감 관련요인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노인간호학회지, 제16권, 제3호, pp.242-254, 2014.
  21. 김정은, 최해경, "돌봄대상자의 기여 요인이 가족 돌봄 노인의 돌봄 부담감과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제26권, 제2호, pp.123-150, 2015.
  22. 최윤숙, 배주희, 김남희, 태영숙, "노인암환자 가족원의 돌봄 부담감 영향요인," 종양간호학회지, 제16권, 제1호, pp.20-29, 2016.
  23. T. Goergen, "Stress, conflict,elder abuse and neglect in german nursing homes: A pilotstudy among professionalcaregivers," Journal of Elder Abuse & Neglect, Vol.13, No.1, pp.1-26, 2001. https://doi.org/10.1300/J084v13n01_01
  24. 윤순원,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의 치매지식, 치매행동심리증상 부담감 및 공감이 치매노인 돌봄 행위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간호학전공석사논문, 2015.
  25. 윤경아, 심우찬, 김기수,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전문직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공감만족과 공감피로를 중심으로,"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제15호, pp.77-101, 2015.
  26. 성희자, 권현수,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긴장, 소진, 이직의도와의 관계," 사회과학연구, 제24권, 제3호, pp.361-382, 2013.
  27. 김희경, 최은숙, "오락요법이 치매노인의 치매행동 및 정서와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제17권, 제1호, pp.44-55, 2005.
  28. 성미라, 김경아, 이동영, "치매노인 주 가족 간호 제공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간호학회지, 제14권, 제3호, pp.200-208, 2012.
  29. 송준아, 김유경, 김효진, "치매노인 정신행동증상 관리에 대한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교육요구도," 노인간호학회지, 제14권, 제3호, pp.220-232, 2012.
  30. 이주향, 서울.경기지역 요양보호사의 소진에 관한 연구: 노인요양시설과 재가시설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1. 남기민, "사회복지조직에서이 리이더쉽 통합모형," 한국사회복지학, 제5권, pp.51-79, 1986.
  32. 임은의, 김경숙, 김혜원, "한국사회복지조직의 리더십 연구경향분석," 사회과학연구, 제26권, 제4호, pp.479-513, 2015.
  33. 민경연, "노인장기요양기관 시설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투명성에 미치는 영향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학술대외자료집, 제10호, pp.193-196, 2015.
  34. 박봉길, 전선영, "사회복지실천에서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사회복지사의 역량강화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8권, 제4호, pp.341-369, 2006.
  35. 이종남, 한상미, "사회복지사가 지각한 장애인복지관 관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사회복지사의 사회자본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지체. 중복.건강장애연구, 제52권, 제3호, pp.113-133, 2009.
  36. 이주호, "사회복지사가 인식한 최고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 수준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학, 제62권, 제2호, pp.307-328, 2010.
  37. 이지영, 주효진, "사회복지사가 지각한 기관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직무만족에 대한 실증분석: 충북 지역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제18권, 제3호, pp.385-406, 2014.
  38. 신중환, 김정우, "사회복지사의 감성노동과 비과업행동의 관계에서 감정부조화의 매개효과와 감성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한국사회복지학, 제65권, 제4호, pp.137-163, 2013.
  39. 이은정, 박희수, "코칭리더십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9권, 제1호, pp.181-198, 2015.
  40. 이재성, 박영준, "중간관리자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리더신뢰 및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6권, 제3호, pp.401-434, 2014.
  41. Lewis, Judith A., Packard, Thomas and Lewis, Michael D, Management of Human Service Programs. (4th ed.), Belmont,CA:Thomson Brooks/Cole, 2007.
  42. 박광덕, "사회복지조직의 리더십의 유형과 조직성과간의 관계분석,"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12호, pp.1259-1292, 2014.
  43. 박광덕, "사회복지조직의 리더십의 유형과 조직성과간의 관계분석-노인장기요양기관을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보, 제20권, 제1호, pp.49-73, 2016.
  44. 하소연, "사회복지조직의 리더십 연구경향 분석," 사회과학연구, 제28권, 제2호, pp.201-223, 2012.
  45. S. H. Zarit, J. M. Zarit, and K. E. Reever, "Memory training for severe memory loss: Effects on senile dementia patients and their families," The Gerontologist, Vol.22, pp.373-377, 1982. https://doi.org/10.1093/geront/22.4.373
  46. 권중돈, 한국 치매노인 가족의 부양부담 사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47. 渡邉健, 石川久展, "高齡者介護施設に従事する 介護職員のバーンアウトに与える影響-組織の 支援体制を中心とした檢討," Human Welfare, 제4권, 제1호, pp.17-26, 2012.
  48.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 .html?code=940601&artid=201707122311005, 2017.07.12
  49. 公益財団法人介護安定センター (平成29年8月4 日) 平成28年度介護勞働實態調査
  50. P. M. Podsakoff, S. B. Mackenzie, and R. Fetter, "Transformational leader behavior and their effects on follower's trust in leader,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Leadrship Quarterly, Vol.1, pp.107-142, 1990. https://doi.org/10.1016/1048-9843(90)90009-7
  51. 강철희, 윤민화, "사회복지사와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41권, pp.7-42, 2009.
  52. W. G. Bennis and B. Nanus, Leader: Strategies for Taking Charge, New York: Harper & Row.,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