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장애아동을 위한 자기결정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연구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Self-Determination Group Progra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박정임 (서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투고 : 2017.11.07
  • 심사 : 2017.11.24
  • 발행 : 2017.12.28

초록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에서 확산되고 있는 장애아동을 위한 자기결정 집단프로그램의 효과크기를 통합하여 제시하고, 보다 효과적인 자기결정 집단프로그램의 실천전략을 제시하기 위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6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석 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메타분석의 대상선정기준에 따라 최종 17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메타분석을 위해서는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software 2.0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문제 1은 '자기결정 집단프로그램의 평균효과크기는 어느 정도인가'이었다. 연구결과, 랜덤효과모형에 따라 자기결정력의 효과크기는 1.695, 사회기술은 1.316로 나타나서 모두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연구문제 2는 '자기결정 집단프로그램은 조절변수에 따라 효과크기가 다른가?' 이었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는 '자기결정력'에 있어서 연령, 장애유형, 총 횟수, 주당 횟수, 1회당 시간, 진행자 전공 등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결과와 함의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Self-Determination Group Progra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Korea by using method of meta-analysi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master's theses, doctoral dissertations, and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Korea up to June, 2017 were systematically reviewed. As a result, a total of 17 studies were eligible for the inclusion criteria. The mean effect sizes and test for homogeneity of effect size(Q-statistic) were analyzed by using Comprehensive Meta-Analysis software 2.0.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effect sizes for Self-Determination Group Program were ES=1.695 of Self-Determination, ES= 1.316 of Social Skills. Second, the moderate variables of the effect size for Self-Determination Group Program was 'age' of 'a type of disability', 'sessions', 'the number of sessions within a week', 'time of one session' and 'a major of the director'.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research and practic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경양, 박은혜, "지체 및 중복장애 분야에서의 자기결정 관련 연구동향 고찰," 지체․중복․건강 장애연구, 제57권, 제1호, pp.45-68, 2014.
  2. 이숙향, "국내외 문화적 맥락에서의 자기결정에 대한 이해 및 현장적용을 위한 고찰: 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한 인식 및 영향요인에 대한 국내 외 문헌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제10권, 제1호, pp.1-32, 2009.
  3. 이옥인, 박은영, 신인수, "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한 중재프로그램의 효과: 메타분석," 중복 지체 부자유연구," 제54권, 제3호, pp.101-121, 2011.
  4. 김수진, 하정숙, "장애학생을 위한 자기결정 중재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 특수교육연구, 제20권, 제1호, pp.25-46, 2013.
  5. 오성삼, 메타분석의 이론과 실제, 서울: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7.
  6. R. M. Ryan and E. L. Deci,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Vol.55, No.1, pp.66-78, 2000.
  7. S. Field and A. Hoffman, "Steps to self-determination: A curriculum to help adolescents learn to achieve their goals. Austin, TX: Pro-Ed., 1996.
  8. M. J. Ward, "An historical perspective of self-determination in special education: Accomplishments and challenges," Research and Practice for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Vol.30, No.3, pp.108-112, 2005. https://doi.org/10.2511/rpsd.30.3.108
  9. F. Brown, C. R. Gothelf, D. Guess, and D. H. Lehr, "Self-determination for individuals with the most severe disabilities: Moving beyond chinema,"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Vol.23, No.1, pp.17-26, 1998. https://doi.org/10.2511/rpsd.23.1.17
  10. B. H. Abery and R. J. Stancliffe, "A triparite-ecological theory of self-determination," In Wehmeyer, M. L. Abery, B. H. Mithaug, D. E. & Stancliffe, R. J. Theory in Self-Determination: Foundations for Educational Practice. Charles C Thomas Publisher, LTD, Springfield, 2003.
  11. M. L. Wehmeyer, "Self-determination and individuals with severe disabilities: Re-examining meanings and misinterpretations," Research and Practice for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Vol.30, No.3, pp.113-120, 2006. https://doi.org/10.2511/rpsd.30.3.113
  12. A. S. Halpen, C. M. Herr, N. K. Wolf, and J. D. Lawson, Next Step: Student Transition and Educational Planniing, Austin, TX: Pro-Ed. 1997.
  13. B. Abery, L. Rudrud, L. Schauben, and J. Smith, "Evaluation a multicomponent program for enhancing the self-determination of youth with disabilities," Intervention in School and Clinic, Vol.30, No.3, pp.170-179, 1995. https://doi.org/10.1177/105345129503000307
  14. 김계현, 이윤주, 왕은자, "국내 집단상담 성과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상담학 연구, 제3권, 제1호, pp.47-62, 2002.
  15. 이영철, 신은희, "교과중심의 자기결정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지적장애연구, 제12집, 제4호, pp.67-95, 2010.
  16. 박성우, 김용욱, "자기결정 프로그램이 경도정신 지체 학생들의 자기결정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6권, 제2호, pp.135-154, 2005.
  17. 김수진, 정대영, "자기결정력 향상 프로그램 적용이 경도 발달장애 중학생의 자기결정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제27권, 제1호, pp.169-196, 2011.
  18. 배영철, 전보성, "디지털카메라 조작을 통한 자기결정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지적장애연구, 제10집, 제4호, pp.123-143, 2008.
  19. 신진숙, 최진성, "동영상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자기결정프로그램의 적용이 중등도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과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정신지체연구, 제10집, 제1호, pp.33-53, 2008.
  20. 임은영, 김자경, 김기주, 김주영, "자기결정프로그램이 경도정신지체 아동의 자기결정력에 나타난 효과," 정신지체연구, 제9권, 제2호, 2007.
  21. 조인수, 윤형진, "강점지능을 기반으로 한 자기 결정훈련 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자율성에 미치는 효과," 지적장애연구, 제11집, 제2호, pp.1-20, 2009.
  22. 김혜경, "자기결정훈련프로그램이 정신지체고등학생의 자기규칙과 심리적 역량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4권, 제2호, pp.87-108, 2003.
  23. 이영미, "장애청소년의 자기결정력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연구: 지체장애와 뇌병변장애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제21호, pp.260-286, 2006.
  24. 최진성, 동영상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자기결정 프로그램의 적용이 중등도 지적장애학생의 자기 결정과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5. 장유정, 초등학생의 생태학적 자기결정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화여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26. 류숙렬, 자기결정 활동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전이기 경도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대, 박사학위논문, 2002.
  27. 윤형진, 다중지능특성에 따른 강점기반 자기결정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자율성과 사회적 적응 행동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28. 김정연, 자기결정프로그램이 초등학교경도장애 학생의 선택하기 기술과 사회적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9. 신은희, 교과중심의 자기결정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 석사학위논문, 2010.
  30. 김재홍, 자기결정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직업적응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 석사학위논문, 2014.
  31. 윤형진, 다중지능특성에 따른 강점기반 자기결정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자율성과 사회적 적응 행동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32. 한승희, 자기결정훈련프로그램이 학습부진아의 문제해결력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 석사학위논문, 2005.
  33. 박정임, "장애아동을 위한 사회기술훈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4권, 제12호, pp.218-229,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