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erceptions of the Knowledge of the Channel ⓔ as educational media for school teachers

<지식채널e>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 Received : 2017.11.01
  • Accepted : 2017.11.26
  • Published : 2017.12.31

Abstract

The Knowledge of the Channel (e) is often used as educational materials; it delivers very short but compelling message of strong or interesting timeliness. However, as the media environment changes, expectations and demands for The Knowledge The Knowledge of the Channel (e) is used in school education and what should be improved upon to increase utilization of educational resources. We surveyed 361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nd analyzed the frequency of using, approach and learning activities of The Knowledge of the Channel (e) in school education. We also analyzed difficulties in using it in the school and what improvements should be made. Result show that the frequency of using The Knowledge of the Channel (e) in school is highest in elementary schools, followed by middle school, and then high school. Teachers strongly consider curricular relevance when selecting broadcasting contents for education, and among programs of EBS(Educational Broadcasting System), most frequently use The Knowledge of the Channel (e). The The Knowledge of the Channel (e) is mainly used as an incentive for increasing motivation. When examined by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is material is highly utilized in subjects with content such as society, morality, and science, or with approaches that require various perspectives. However, it is difficult for teachers to find materials directly related to their classes, and since other media content similar to The Knowledge of the Channel (e) is abundant, the utilization of The Knowledge of the Channel (e) is decreasing. To improve this, The Knowledge of the Channel (e) needs to improve its platform and transformed the type of The Knowledge of the Channel (e) content being provided on social media.

<지식채널e>는 한국교육방송공사의 미니 다큐멘터리로서, 교육 콘텐츠로 널리 활용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식채널e>의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실태를 조사하여, 성공적인 교육 콘텐츠의 특성을 분석하고, 교육용 미디어 콘텐츠가 지향해야 할 방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 중, 고등학교 교사 3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학교 교육에서 <지식채널e>의 활용 빈도, 접근 방법, 학습 활동, 문제점 및 개선점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식채널e>가 학교 교육에 활용되는 빈도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순이었으며, 교사들은 교육을 위한 방송 콘텐츠를 선정할 때 교육과정 내용과의 적합성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채널e>는 수업 동기 유발 자료로 주로 활용된다. 초등 교과별로 살펴보면, 사회, 도덕, 과학 등 내용 지식의 성격이 강하거나 다양한 관점의 접근이 필요한 주제에서 활용도가 높다. 그러나 수업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자료를 찾기가 어렵고, <지식채널e>와 유사한 콘텐츠가 풍부해졌기 때문에 <지식채널e>에 대한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지식채널e>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개선하고, <지식채널e>의 제작 방식을 소셜 미디어 환경에 맞게 전환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진혁(2010), 감성 지식의 탄생, 마음산책
  2. 강현구, 지식채널e의 경쟁력, 자막의 서사전략. 한국문예비평연구 32, 2010, 309-348.
  3. 구승용, 중학교 도덕 수업을 위한 EBS '지식채널(e)' 프로그램 활용방안, 2011, 경북대학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남일, 사회적 쟁점에 대한 발언으로서 다큐멘터리의 수사학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53, 2011, 53-72.
  5. 김남일, 이규정, 사회적 쟁점에 대한 발언으로서 다큐멘터리의 수사학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2011, 53-72.
  6. 김선진, TV 시사 다큐프로그램의 제작관행의 변화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1(4), 2011, 41-50.
  7. 김애경, 영상 자료를 활용한 쓰기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논술 쓰기 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다큐멘터리 지식채널e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8. 김지연, 이한규, EBS 프로그램을 활용한 <지식채널e연구회>의 커뮤니케이션 능력 개발에 대한 인식 연구-하버마스의 보편 화용론과 커뮤니케이션 능력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논문집(2014.11), 2014, 133-135.
  9. 류남이, 방송콘텐츠 서비스 전략에 관한 연구. 문화예술콘텐츠, 9.10.11(합본호), 2013,93-124.
  10. 박신영,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자극에서 문자와 음악이 수용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EBS <지식채널e>를 통한 비교 연구. 한국방송학보, 24(6), 2011, 166-208.
  11. 박유신, 이규정, 손지현, 교과용도서 내 영상물 선정 기준 연구,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2017, 47: 295-333.
  12. 신선혜, 초등과학 수업을 위한 지식채널 (e) 활용방안.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3. 윤영미, 영상 텍스트 비판적 읽기 지도 연구-EBS '지식채널e'읽기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4. 이경수, 사회과 수업사태에서 영상매체 활용 방안-지식채널e'를 중심으로. 한국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15. 이광수, 초등 사회과 수업에서 영상자료 '지식채널 e'의 활용에 관한 연구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6. 이상아, 윤여탁. 다큐멘터리의 언어적 창의성 연구. 국어교육연구, 31, 2013, 169-197.
  17. 이선혜, 이상원 초등환경교육을 위한 지식채널 (e) 활용방안. 환경교육, 26(2), 2013, 175-193.
  18. 이영주.김진혁, 지식 저널리즘과 텔레비전 문화: <지식채널(e)>를 중심으로. 방송문화연구, 21-2호, 2009, 49-80.
  19. 이은정, '지식채널e'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0. 이태구, 김규리, 이한주, 스포츠맨십 함양 체육수업 개발과 적용. 체육과학연구, 2016, 27(2), 362-381.
  21. 임종수, OSMU 미디어 환경에서 지식콘텐츠 제작 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2006, 20-4, 267-301.
  22. 임종수, 디지털 시대의 지식사회학: EBS <지식채널(e)> 읽기. 프로그램/텍스트, 2007, 16호, 165-176.
  23. 전윤주, 이상원, 지식채널 (e)를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한국초등교육, 26(2), 2015,47-66.
  24. 전은희, 중학교 인성교육의 실제에 대한 비판적 해석: 한계와 가능성을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54(2), 2016, 255-303.
  25. 조선혜, 임동택, 지식채널e를 활용한 초등 도덕과 교육방법. 전국도덕윤리교육학회 2014년도 하계학술대회 발표원고, 2014, 157-204.
  26. 조수선, 방송언어정보의 시각적 전달양상에 관한 연구-<지식채널e> 자막의 학습적 인지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6(6), 2012, 310-333.
  27. 최민성, 문자의 영상화와 그 문화적 의미에 관한 연구. 인문콘텐츠, 11호, 2008, 31-50.
  28. 한혜정 외, 2015 개정교육과정 총론 해설서 개발연구, 201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9. 김청연, '말 없는 5분 지식 동영상이 세상을 바꿨어요- [함께하는 교육] EBS 지식채널e 활용 수업 현장',한겨레신문, http://www.hani.co.kr/arti/PRINT/647866.html (검색일자: 2017. 10. 21)
  30. 안은별, 1초 듣보잡이 미친 존재감으로...어쿠스틱 인문삭, 지식채널e의 진화! 프레시안, 2001. 11.24.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65789 (검색일자: 10. 15)
  31. 이순이, '지식채널e'로 호기심과 수업참여 이끄는 교사모임, 행복한 교육 , 교육부, http://happyedu.moe.go.kr/happy/bbs/selectHappy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215&nttId=3160 (검색일자: 2017. 10. 10)
  32. 최원형, '지식채널e, 교육 다큐의 새 장 열다', 한겨레신문, 2013.4.30 (검색일자: 2017.10.20)
  33. 허남설, 5분, 세상을 담아내는 무한한 시간, 지식채널e의 10년, 경향신문, 2015. 09.17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09032218071&code=960801#csidxf4921a140ec3bff9cffe5a9cb597b49 (검색일자: 10.12)